담즙 배액관 관리(PTBD) 방법 알아보세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5 фев 2025
  • 암환자 담즙 배액관 관리 영상 입니다!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Комментарии • 12

  • @별그대-q8d
    @별그대-q8d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소독시 소독액을 바르고 왜 입으로 불면 안되는지요?

    • @koreacancerinfo
      @koreacancerinfo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1

      안녕하세요~국가암정보센터입니다^^ 입 안에도 균과 바이러스가 존재합니다. 그런데 소독 후 빨리 마르게 하겠다는 이유로 입으로 불면 입안의 균과 바이러스가 옮겨 갈 수도 있습니다. 그럼 소독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입으로 불지 말라고 하는 것입니다.

  • @ymc8109
    @ymc8109 Месяц назад

    피구와 배액관 겹치는 부분에 염증이 생겼서 솜에 뭍어나오는 데요 어떻게 관리하면 될까요?

    • @koreacancerinfo
      @koreacancerinfo  Месяц назад

      국가암정보센터입니다. 피부와 배액관이 겹치지 않도록 Y거즈를 끼우고 드레싱 밴드를 덮으시나요? Y거즈를 끼워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만약 그렇게 했는데도 염증이 생겨 농양이나 발적 등이 발생했다면 빠른 시일 내에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 @ymc8109
      @ymc8109 Месяц назад

      @koreacancerinfo 고름이 계속 나와서 병원에 왔는데요 스텐트 갈아끼우면서 배액관도 갈아 끼웠는데 도 고름이 나는것 같아요.
      계속 고름이나면 구멍을 다시 뚫어야 한다고 하시고 다른방법이 없다 하셔서
      걱정되네요. 피부에 염증이 생기면 방법이 없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 @koreacancerinfo
      @koreacancerinfo  Месяц назад

      @@ymc8109 국가암정보센터입니다. 새로운 배액관으로 교체했는데도 염증 증상이 계속 된다면 기존의 배액관은 빼고, 다시 삽입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염증이 생기기 전에는 소독이 중요하지만, 염증이 만성이 되어 소독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더 큰 부작용(패혈증 등)이 생기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박순천-t4q
    @박순천-t4q Год назад +3

    배액관은 퇴윈후 얼마만에 제거하나요

    • @koreacancerinfo
      @koreacancerinfo  Год назад

      국가암정보센터입니다. 담즙 배액관을 제거하는 기간은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담즙이 잘 배출되어 황달이나 가려움증 등 증상이 호전되었을 때 의사의 판단으로 제거하게 됩니다.

  • @초록초-e7u
    @초록초-e7u 3 года назад +1

    가정에서 배액관 관리할때 24시간 열어두라고 하던데 맞나요?

    • @koreacancerinfo
      @koreacancerinfo  3 года назад

      국가암정보센터입니다. 경피경간담즙배액술(PTBD)은 담즙이 흐르는 경로에 암이나 다른 원인에 의해 담즙이 배출되지 못해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해소하고자
      기구나 관을 삽입하여 다른 경로로 배출하는 시술입니다. 그러므로 답즙이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항상 오픈 상태이어야 하며, 임의로 잠가두어서는 안 됩니다. 또 관이 꼬이거나 잠기지 않았는지 자주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 @ddd7085
    @ddd7085 2 года назад

    잠겼나안잠겼나 확인 어떻게하나요?

    • @koreacancerinfo
      @koreacancerinfo  2 года назад +1

      국가암정보센터입니다. 배액관의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담즙 배액관(PTBD)는 잠금장치가 없습니다.
      필요에 따라 잠금장치를 달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연배액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갑작스럽게 배액양이 확연히 줄거나 삽입관 주위로 배액이 흐르는 경우 꼬여 있거나 막힌 경우일 수 있으므로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