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울 우, 예쁠 연 부부의 이름을 한 자씩 담은 도심속 Secret Courtyard House , 갈현동 단독주택 '우연재' 중정에서 꽃 피는 담소와 행복 “당신은 어떠한 공간에 살고 있나요?” 점차 주택 문화에 변화가 찾아오고 있습니다. 특히 마당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에 '마당 있는 집을 지었습니다'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집이라는 공간은 재테크 수단이 아닌, 우리네 삶과 함께 호흡하고 살아 숨 쉬는 장소라는 점을 다시 한번 알리고자 합니다. 그 일환으로 리슈건축 홍만식 건축가가 설계한 마당집들을 소개합니다. 건축주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니즈에 따라 만들어지는 다양한 마당들. 그 마당들이 집집마다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삶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둘러 보면서, 주거 공간의 의미, 더 나아가 주거와 삶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우연재의 이야기가 더 궁금하시면 아래 블로그 링크를 살펴보세요! 홍만식 건축가 리슈건축 이야기 _ blog.naver.com/richuehong2 우연재 _ blog.naver.com/richuehong2/222295431941 상담 신청하기 _ naver.me/GbrWFzwc @네모마당 _ instagram.com/nemo_madang/ @리슈건축 _ instagram.com/richue_official/ 네모마당팀 richuehong2@naver.com
정말 좋네요. 같은 동네 살기도 해서 몇번씩 돌려봤습니다. 도심이나 택지지구에 정말 적합한 것 같습니다. 프라이버시 때문에 외관이 입면에 꽉 찬 데다가 길 쪽으로 난 창이 적어서, 길에서 보면 너무 답답하지 않을까 했는데 밝은 마감재와 와이드한 액자창, 주차장 루버와 군데군데 영롱쌓기 덕분에 길을 지나는 행인 입장에서도 답답함보다는 세련됨이 더 느껴질 듯 합니다. 도심, 택지지구 단독에서 프라이버시 만들기가 참 여의치 않은데 영상 잘 봤습니다.
원래 이런 요새집이 판교 단독주택 단지에서 처음 유행한건데, 멋때문에 유행한건 아니고 거기 건축 규제때문에 규제 피하면서 간지나는집 만들려면 저 형태로밖에 안되어서 저게 유행하게됐습니다. 저는 몇년전에 팔고 나온사람이구요. 판교 단독주택 대지는 보통 200제곱미터 깔고 들어가는 곳이라 땅이 엄청 넓어요. 그래서 건폐율 50%로 저런 중정형 요새집 지어도 중정도 아주 크게 나오고 집도 동선이 쫙쫙 길게 나옵니다. 그런데 이 영상에 나온곳은 베드민턴도 못치는 숨구멍 중정만 나온 집인데 너무 좁죠. 영상이 이쁘게 찍혀서 감이 잘 안올수있는데 전체 모습 보면서 생각 잘해보세요. 차고에 차 들어가고, 중정으로 비는 공간도 있는데, 그러면 저 집에 사람 사는 공간이 얼마나 좁게 나올지. 저런 집이 잘못됐다는게 아니고 서울 비싼 땅값에 좁은 대지에 넣는 집 유형이 아니라는 겁니다. 저런 요새집은 대지가 네모 반듯한 모양에 땅 면적도 200제곱미터는 되어야 진짜 마당이 있는 집이라고 말할 정도로 지을수 있습니다. 최근에 올라온 심우재 영상 보시면 완전히 느낌이 다른걸 알수있어요. 물론 심우재는 내부 인테리어도 급이 아예 다르긴 합니다. 이 영상 집은 돈을 많이 아끼면서 지은집이고요
도울 우, 예쁠 연
부부의 이름을 한 자씩 담은
도심속 Secret Courtyard House , 갈현동 단독주택 '우연재'
중정에서 꽃 피는 담소와 행복
“당신은 어떠한 공간에 살고 있나요?”
점차 주택 문화에 변화가 찾아오고 있습니다.
특히 마당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이에 '마당 있는 집을 지었습니다'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집이라는 공간은 재테크 수단이 아닌, 우리네 삶과 함께 호흡하고 살아 숨 쉬는 장소라는 점을 다시 한번 알리고자 합니다.
그 일환으로 리슈건축 홍만식 건축가가 설계한 마당집들을 소개합니다.
건축주들의 라이프스타일과 니즈에 따라 만들어지는 다양한 마당들.
그 마당들이 집집마다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삶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 둘러 보면서,
주거 공간의 의미, 더 나아가 주거와 삶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우연재의 이야기가 더 궁금하시면 아래 블로그 링크를 살펴보세요!
홍만식 건축가 리슈건축 이야기 _ blog.naver.com/richuehong2
우연재 _ blog.naver.com/richuehong2/222295431941
상담 신청하기 _ naver.me/GbrWFzwc
@네모마당 _ instagram.com/nemo_madang/
@리슈건축 _ instagram.com/richue_official/
네모마당팀 richuehong2@naver.com
진짜 멋진 집이네요.잘 봤습니다.
외부에서 보이는 차고의 모습이 인상적이네요. 단독주택 지을 때 참고하고 싶습니다.
본적은 없지만 꿈은 꾸어본듯한 집들만 소개하시네요. 늘 잘 보고있답니다.
돈만 있다면 의뢰해보고 싶은 꿈 같은 영상입니다.
개인적으로 단독주택에서 느낄수있는 최고의 만족은 마당이라고 생각하는데요.지금은 어쩔수없이 아파트 생활중이지만 태어나고 40년가까이 옥상과 마당이 있는 단독에서 살았을떄의 만족감은 아파트에서 절대로 느낄수없는 무언가가 있슴.집이 정말 좋네요.잘보았습니다.
캬ㅠ ㅠ 넘 멋집니다 ㅠㅠ 채광 들어오는게 참 좋네요 도시속에서 자연만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느낌입니다
최고다
정말 좋네요. 같은 동네 살기도 해서 몇번씩 돌려봤습니다. 도심이나 택지지구에 정말 적합한 것 같습니다. 프라이버시 때문에 외관이 입면에 꽉 찬 데다가 길 쪽으로 난 창이 적어서, 길에서 보면 너무 답답하지 않을까 했는데 밝은 마감재와 와이드한 액자창, 주차장 루버와 군데군데 영롱쌓기 덕분에 길을 지나는 행인 입장에서도 답답함보다는 세련됨이 더 느껴질 듯 합니다. 도심, 택지지구 단독에서 프라이버시 만들기가 참 여의치 않은데 영상 잘 봤습니다.
이랬으면 좋겠다, 저랬으면 좋겠다 하며 막연히 생각하고 종이에 도면도 아닐 낙서처럼 그려 본 꿈같은 집을 실제로 보니
경험을 반영한 건축주의 의견을 멋드러지게 표현해 낸 설계자와 시공자의 환상적인 삼박자.
그 또다른 우연들이 참 포근하면서도 좋네요...
너무 맘에 드는 집이네요
너무 좋다 보는 내내 힐링이 되네요
정말 좋네요~ 제가 찾던 컨셉입니다
집 예쁘고 사생활 보호 잘 될 것 같아 보입니다.
중정주택 구조랑 디자인 이쁘네요 사생활 보호도 되는 것 같아서 더 좋은것 같구요
우연재 집 너무 이뻐요! 서울에도 이런 예쁜 집을 지을 수 있구나:) 네모마당에 나중에 꼬옥 의뢰할래요!
중정이 있는게 너무 좋아요.
주거 공간을 양보하고 대신 마당을 만들었군요 ㅎ 비싼 도시에선 가장 합리적인, 마당있는 집이네요
진짜 이쁘다
Good ❤
와.... 집 멋있네요!
꿈에 그리던 제가 원 하던 집이네요..
진짜 디자인 머리 잘썼다
좋네요. 잠깐이나마
일본의 유명한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이 생각났습니다.
집 진짜 멋지다
너무 멋진 집이다..
멋지다
😊😊
중정 느낌이라기보다는 그냥 우물 같은 집이네요
딱 그렇게 짓고 싶어요. 이제 이사를 하거나 집을 지어야 하는데 딱 그평수의 땅입니다.
건축비용과 건축사도 알고 싶네요. 알수있을까요~?
건축비용알수있을까요?
40평이라고 하셨는데 땅이 엄청 넓어보여요.
단독은 2층까지가 살기좋고 3층부턴 나중엔 점점 불편해짐..
이게 무서운게... 수십년 아파트만 살아서 체질이 바뀜. 아파트서 집안 청소하는것도 힘들어 하다보니... 저런집 볼때마다... 청소는... 관리는... 부터 생각남...
식구가 늘면 이사 가야겠네요.
냉난방비만 좀 감수하면 진짜 너무 천국같은 곳일듯..
어차피 아파트 살아도 공동관리비 나오니깐 또이또이겠네
원래 이런 요새집이 판교 단독주택 단지에서 처음 유행한건데, 멋때문에 유행한건 아니고 거기 건축 규제때문에 규제 피하면서 간지나는집 만들려면 저 형태로밖에 안되어서 저게 유행하게됐습니다. 저는 몇년전에 팔고 나온사람이구요. 판교 단독주택 대지는 보통 200제곱미터 깔고 들어가는 곳이라 땅이 엄청 넓어요. 그래서 건폐율 50%로 저런 중정형 요새집 지어도 중정도 아주 크게 나오고 집도 동선이 쫙쫙 길게 나옵니다. 그런데 이 영상에 나온곳은 베드민턴도 못치는 숨구멍 중정만 나온 집인데 너무 좁죠. 영상이 이쁘게 찍혀서 감이 잘 안올수있는데 전체 모습 보면서 생각 잘해보세요. 차고에 차 들어가고, 중정으로 비는 공간도 있는데, 그러면 저 집에 사람 사는 공간이 얼마나 좁게 나올지. 저런 집이 잘못됐다는게 아니고 서울 비싼 땅값에 좁은 대지에 넣는 집 유형이 아니라는 겁니다. 저런 요새집은 대지가 네모 반듯한 모양에 땅 면적도 200제곱미터는 되어야 진짜 마당이 있는 집이라고 말할 정도로 지을수 있습니다. 최근에 올라온 심우재 영상 보시면 완전히 느낌이 다른걸 알수있어요. 물론 심우재는 내부 인테리어도 급이 아예 다르긴 합니다. 이 영상 집은 돈을 많이 아끼면서 지은집이고요
진짜 존나 좋은데...? 마당에 풀 나는게 주택의 큰 단점중에 하난데
관리가 귀찮아서 그렇지 만족도는 마당이 고트
이건 단독주택이라 부른다 아파트는 공동주택이고.중정이 뭐냐 중원이 맞다
답답해보이네요. 시선이 닿는 곳에 원경이 하나도 없네요. 외부창마저 높게 내서 고개를 들어야 보이겠어요 저런 중정은 단층집이나 마당이 좀 넓어야 답답하지 않을 거 같아요
한정된 땅 넓이에서 할수있는 만큼 한거 아닌가 싶습니다. 땅이 더 넓으면 원경이 나오겠지만요. 답답함을 느끼시는분들은 땅을 더 많이 사는게 좋겠네요 ^^
위치상 주변 건물때문에 다 뚫어놔도 원경은 안나올꺼같네요 그래서 깔끔하게 포기하고 프라이빗한 중정 마당에 집중하신거같아요
@@leoyoon5717 좁은 대지를 ㅁ자로 뚫어놔서 그런 거 같아요. 차라리 기억자로 하고 담을 세우고 마당을 넓히면 정원같을 거 같네요
좁은 택지 그안에서 취할건 취하고 놓을건 놓는게 건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wkfehlfrjdi 그럼 딱 한국인들이 제일 많이하는 그저그런 디자인의 흔하디흔한 단독주택이죠....딱 님같은 노인분들이 제일좋아하실만한
주차장 출구에 주차하는 사람 많을듯
X O ㅋㅋㅋ
나이들면 저거 계단때문에 무릎나가요~ 장담합니다.
40이후엔 계단 없는 환경이 필수임
누수만 아니면 좋겠네요
네?
하지만 현재는 건물 더 높이느라 다
헐고 공사중입니당 ~!!!
진짜요? 헐
부모님께 유산상속 많이 받아야겠네
이런집짓고 집지을 땅 구입할려면..
집 한가운데에 나무 심는 건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것들이나 하는 건데
왜인가요~?
니는 뭘 안다고 까불락대?
르꼬르 보타 라이트 ..가지가지 갖다 붙였네.
워쪄,저기는 프로방스도 플로리다도 아닌..은평구.. 가각에세치를 둔 또아리..또아리 속에서 그랴 억스러 편하것네...붙일 땐 알고나 붙이자.. 알고나 달고나 뭘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