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의 부처이야기] 23 함께 살면서 화합을 하려면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20 авг 2018
  • 행복학교 hihappyschool.com/
    정토불교대학 www.jungto.org/edu/junior/
    정토회 www.jungto.org
    #분쟁 #계율 #다른의견 #의견 #조율
    첫째, 같은 계율을 같이 지켜라.
    두 번째, 의견을 같이 맞추어라.
    세 번째, 공양 받을 것을 똑같이 나누어라.
    네 번째, 한 장소에 같이 모여 살아라.
    다섯 번째, 서로 자비롭게 말하라.
    여섯 번째, 남의 뜻을 존중해라.

Комментарии • 41

  • @user-um2dw3fv8b
    @user-um2dw3fv8b Месяц назад +1

    진정하신부처님의제자이신 지광법륜스님의 인생살이살아가는데있어서 스님의좋은말씀 재미 감동 웃음 유익 세심하신좋은말씀은혜감사감사드립니다

  • @user-um2dw3fv8b
    @user-um2dw3fv8b Месяц назад +1

    부처님은혜감사감사드립니다

  • @user-ux7qv6rq1i
    @user-ux7qv6rq1i Год назад +3

    같은 계율을 같이 지켜라, 투명하게 살아라, 나와 다름을 인정해하, 말은 부드럽게 해라, 의견을 맞추어라, 공양받은걸 똑같이 나누어라 6가지를 지키라는 말씀에 감사합니다

  • @user-vi5qi1lf3r
    @user-vi5qi1lf3r 3 года назад +6

    울 부처님 감사합니다 울 법륜스닝 고맙습니다 들아도 또 듣고싶은 가르침 계속 듣습니다 울 법륜스님 늘 많은말씀 끊임없이 가르쳐주시니 고개숙여 듣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 @user-uw5mk1fq1v
    @user-uw5mk1fq1v 2 месяца назад

    귀쫑긋하며 경청 합니다.
    60십 평생 처음 듣는 귀한 말씀 새기며 실천 햄동 으로 이어가겠습니다 .
    인연이 좀더 빨리 왔으면...^^
    제가. 복이....
    감사합니다
    관세음보살 ()()()

  • @user-sf6rz8pl3r
    @user-sf6rz8pl3r 3 года назад +4

    법륜스님 완전짱 이십니다.
    지혜로우신 법륜스님 존경합니다.
    듣는 귀를 더많이 열고 스님의 가르침을 따라 수행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barumashinyuwe7114
    @barumashinyuwe7114 2 года назад +3

    나란우선존재로살아가겟습니당
    스님의설답열심듣겟슴다감사함다

  • @user-rb7tc6xb9v
    @user-rb7tc6xb9v 2 года назад +4

    스님 감사합니다. 🙏🙇‍♀️

  • @user-bf7gu6fo9p
    @user-bf7gu6fo9p 2 года назад +3

    부처님의 말씀을 이토록 쉽고 재미있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부처님께서 민주주의를 말씀하신줄 이제야 알았습니다.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선 사상이나 기도 가피뿐만 아니라 부처님께서 해주신 이런 유익한 말씀이 더욱 널리 알려지고 회자되기를 기원합니다.

  • @helookscool
    @helookscool 3 года назад +4

    잘 들었습니다.

  • @user-hj4bi8mn3k
    @user-hj4bi8mn3k 5 лет назад +11

    부처님감사합니다 법륜스님 고맙습니다 보고싶은 부처님 설법 가르쳐 주시니 고맙습니다 늘듣고 행복하며 주인이 되여 살아가고있지요

  • @user-dt1il1vb5c
    @user-dt1il1vb5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법륜스님께선 부처님 가르침을 그래대로 따라 하심이 눈에 보입니다.

  • @hanny91
    @hanny91 4 года назад +5

    감사합니다 법륜스님 :) (193)

  • @aeja8991
    @aeja8991 2 года назад +1

    가정이 단체가 나라가 화합하는 방법
    감사합니다

  • @user-vs5dx5kn5t
    @user-vs5dx5kn5t 3 года назад +4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늘 언제나 건강하세요~~

  • @user-dt1il1vb5c
    @user-dt1il1vb5c 6 месяцев назад

    법륜스님께서는 아주 투명 하게 히시죠. 타고난 성격 자체가 투명 하게 안 하고는건 있을수 없는 일입니다. 그것이 스님의 스타일이라 생각합니다

  • @Jay-el7kk
    @Jay-el7kk 5 лет назад +5

    부처님께서 제시하신 여섯가지는 (가족이든 친구든 단체든) 함께 사는 사람들이 지키면 서로 행복하게 생활 할 수 있겠습니다. 얼굴을 맞대고서 잘못을 지적해 주려면 많은 용기가 필요하고 쉽지 않겠지만 그렇다고 뒷담화를 해 버리는것은 성숙하지 못한거 같습니다. 아무리 옳은 지적이라도 뒷담화로 들으면 기분이 좋지 않을테니까요. 역지사지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스님!

  • @user-hj4bi8mn3k
    @user-hj4bi8mn3k 5 лет назад +9

    소중하신 법륜스님께서 끊임없이 설법해주시는 덕분에 이어리석은 제가 많이 유식하고 깨닫고 생각하게되며 제 마음이 즐겁습니다

  • @user-em8yq7ge2s
    @user-em8yq7ge2s 2 года назад

    말을 자비롭게 하겠습니다
    상대편을 이해하고 인정하겠습니다
    화합하는 생활을 해나가겠습니다
    잘알겠습니다 스님
    스님 감사합니다 🙏

  • @user-hj4bi8mn3k
    @user-hj4bi8mn3k 5 лет назад +5

    고마우신 법륜스님 항상 감사하며 고맙습니다 늘 행복하고 건강하셔서 울 울 곁에 오래오래 있어 주세요 사랑합니다

  • @user-hj4bi8mn3k
    @user-hj4bi8mn3k 5 лет назад +3

    훌륭하신 부처님 어리석은 중생에게 계속해서 부처님 설법 해주시는 법륜스님 그저 눈여게주시고 지켜봐주시여 오래설법할수있도록 지겨봐주세요 늘 부처님 죄송합니다 고맙습니다

  • @user-uz9ob1ob2k
    @user-uz9ob1ob2k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스님 잘알겠습니다

  • @gidbs-nm7vd
    @gidbs-nm7vd 2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 @user-vr8ro1wn4k
    @user-vr8ro1wn4k 2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스님

  • @young-seoppark521
    @young-seoppark521 Год назад

    정토회가 이상적인 사회주의 사회의
    시작을 보여주고 있네요

  • @user-pn1bb8ye6h
    @user-pn1bb8ye6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살다보면 "" 인생역전"" 얼마든지 할수 있답니다. 내가 언제 어찌 될지 모른다는 마음가짐으로 상대방을 진실하게 대했을때 어떠한 어려움과 힘든고비에 왔을때 "" 뿌린 만큼댓가"" 를 받게 되는게 "" 인지상정"" 아닌가 싶습니다.. 내가 죽어 백골이 되었어도 남겨진 자식이 누구의 자식이였구나 !!하고 밥 한끼는 대접 받을수 있게 그렇게 살다 가는게 ~~ 음~~ 그래 잘살다 가는구나 !!하고 한숨쉬고 숨을 내리 쉴수 있지 않나요? 조금만 조금만 더 깊이 생각하면 된다고 봅니다.. 잘못 살았을땐 죽음앞에 내려놓지 못하고 불안에 떨고 두려워 한답니다. 눈앞에 나만 생각하지말고 남아 살아갈 자식들 앞날도 생각하며 살아가다보면 문제 벌어질 일이 다섯개라면 네개줄어 하나만 생길정도로 엄청난 일들이 벌어질것입니다.. 자!! 잠시잠깐 가슴에 두손 모아 올리고 생각좀 해보고 바로 실행해 옮기도록 해봅시다.. 나만 잘사는게 아니고 다 잘살고 이나라의 무궁무진한 발전을 위해셔요🎉🎉🎊🎊

  • @user-yi3fi1jd1r
    @user-yi3fi1jd1r 5 лет назад +5

    감사함니다 법율스님 두타행

  • @user-zy9pd4ez1u
    @user-zy9pd4ez1u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user-bq3qn8mh1g
    @user-bq3qn8mh1g 2 года назад

    👍🙆

  • @user-in7wl4ds5s
    @user-in7wl4ds5s Год назад

    ㅅㅁ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5 лет назад +2

    똑같이 나누어라...는 말은 의문이 듭니다.
    어떤 의미에서는 찬성하는 면이 없지는 않습니다만...
    (스님의 말씀은 이런 뜻으로 얘기하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여러분은 열심히 일하여 번 돈을 일하지 않은 사람에게 공평하게 나누어 주나요?
    극히 일부는 그렇게 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대부분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이러면 열심히 일하지 않지요.
    사람들은 이기적입니다. 그 이기적인 것을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되도록 사용 하는 것이
    시장경제라고 생각합니다. 시장에서는 모두가 이타행 경쟁을 합니다.(물론 일부 아닌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남에게 이득이 되는 일을 할 때 자기에게 이익이 되도록 만들어진 것입니다.
    북한공산당은 열심히 일하나...놀면서 일하나... 모두가 똑같이 배급을 받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람은 이기적이기 때문에... 그렇게 하니... 모두가 열심히 하려고 하지 않게 되고 결국 망했다고 합니다.
    뜻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모두가 잘 사는 것...
    그러나 그 방법이 잘못되면 반대로 가게 됩니다.
    저는 모든 사람들이 공산주의가 왜 망했고... 시장경제가 살아 남았는지...
    곰곰히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은 이기적인 동물인데... 이기적인 존재가 아니게 고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진보라고 하고,
    사람은 이런 것이다라고 받아들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풀어가는 것 겸손한 자세...이것이 보수라고 들었습니다.
    다음에 작성한 댓글을 보아주셨으면 합니다. 앞으로 걱정이 됩니다.
    좋은 사회 만들겠다고 하지만... 그 방법이 잘못되어 나쁜 사회가 되는 것이 보이기 때문입니다.
    시장경제는 모두가 똑같이 만들어주지는 않지만...
    모두가 잘사는 사회로 한발 한발 나아가게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자기의 것을 나누는 것은 몇사람에게 하는 것이지만...
    시장경제에 의해 나누어지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하는 것입니다.
    어느 방법으로 나누어야 할까요?
    자기의 것을 나눈다는 것은 꿈과 같은 이상향에서 이루어지지만...
    시장경제를 통해 나누는 것은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ruclips.net/video/qBbgp2Q_wDM/видео.html

    • @TuckerProgramming
      @TuckerProgramming 5 лет назад +6

      경제적 발전이 꼭 좋다고 보진 않습니다.
      우린 지난 반세기 동안 눈부신 경제적 발전을 했습니다. 풍요를 누리고 삽니다만, 마음의 병은 더 커졌고 자연환경은 더 파괴되었습니다. 자본주의가 지구를 갉아먹으며 인류에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제 우리는 우리가 치른 행위에 대한 댓가를 온난화, 환경 오염, 자원고갈 등으로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인류의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히는 플라스틱은 썩지않고 바다를 표류해서 태평양에 한국의 3배 크기의 플라스틱 섬이 생겨났고, 플라스틱이 마이크로 미터까지 쪼개져서 물고기와 바닷새의 뱃속을 채우고 있고, 그것은 그대로 먹이사슬의 꼭대기에 있는 인간의 뱃속에 차오르고 있습니다.
      자본주의는 점차 막다른 길로 향해 가고 있습니다. 그간 자본주의 근간은 소비였습니다. 다품종 대량 생산으로 대변되는 자본주의는 이제 소비의 고갈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소비가 받쳐주지 못하면 자본주의는 몰락합니다만, 소비의 근간은 소득이고 소득의 근간인 일자리는 창출되고 있지 않습니다. 앞으로 AI 기술 발전으로 우린 대실업 사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고, 현재는 그에 대한 아무런 대안도 없는 상태로 마치 브레이크가 고장난 자동차가 절벽을 향해 달려가듯이 가고 있습니다.
      스님이 얘기 하셨던 적도 있지만 50년후 우리 사회는 몰락의 길로 가게 될지 모릅니다. 현재 우리는 누구도 장미빛 미래를 예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다같이 살기위해선 소득에 대한 현명한 분배가 필요합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포도 농장 주인의 일화 처럼 시장 경제적 논리로만 재화를 분배할 것이 아니라 그에 초월하는 인류애 적인 마음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법륜 스님께서 말씀하신 이것은 제 생각에는 어디까지나 승단에 관한 계율이라고 봅니다. 이것이 전체 사회로 나아갈수 있다면 더 좋고 행복한 사회가 되겠지만, 그것은 불가능한 일일 것입니다. 다만, 그곳을 향해 나아가도록 노력해야 겠죠. 당장 저부터 플라스틱 빨대 사용을 하지 않고 내가 얻는 것에 대해서 사회에 감사하는 등 노력해야 겠죠.
      Plum village 라고 탓닉한 스님께서 만드신 공동체 마을이 있습니다. 우리가 그런 공동체를 만들어갈 때 구성원 모두가 평안한 사회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5 лет назад

      박석순교수의 진짜 환경이야기
      goo.gl/zDXbVh
      goo.gl/19YRfj
      환경에 대한 오해가 많다는 것을 배웠으면 합니다.

    • @TuckerProgramming
      @TuckerProgramming 5 лет назад +4

      어떤 부분에 오해가 있다는 건가요? 온난화를 말씀하신 것이라면 온난화가 분명 논쟁이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 크게 이것은 지구의 자연적인 변화라는 의견과 인류의 행위에 의해서 가속화 되었다는 의견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둘 다라고 봅니다. 우선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도 증가는 분명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그것은 수십년동안 여러 논문으로 증명되어 왔습니다. 물론 그에 반대되는 논문들도 있습니다. 그럼 우리 입장에서 한쪽 논문은 맞고 한쪽 논문은 틀리다고 단정할 근거가 무엇이 있습니까? 유투브에서 무슨 교수가 말했다고 해서 그 사람 말이 맞다는 건 아닐 것입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정은 둘다 어느정도 영향이 있다는게 타당한 결론 이라고 봅니다. 이산화탄소 발생에서 인간이 하는 행동은 극히 작고, 대부분은 바다에서 발생한다는 논문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지난 수십년간 급격히 진행된 온난화가 사라지는건 아닙니다. 온난화는 그것이 자연현상이든 인류의 행위에 의하든, 또는 둘다 이든, 간에 지금 이순간에 진행되고 있는 사안입니다. 그것에 대해서 인류 전체는 그것을 막든지 아니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노력해야 합니다.
      그런데 온난화가 자연 현상이라고 주장하는 쪽은 어떻습니까? 거바 자본주의가 잘못된게 아니잖아. 기름 막써도 되. 라고 하면서 지금도 지구를 갉아먹고 있지 않습니까? 그들이 온난화를 어떻게 대응할지, 또 매번 극심한 피해를 얻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 들과 곧 가라앉을 태평양의 작은 섬에 사는 사람들의 고통은 나몰라라 하고 있지 않습니까? 또는 사십도의 여름을 에어콘 없이 좁은 방에서 나야 하는 가난한 분들의 고통은 생각하고 있지 않지 않나요?
      그리고 태평양의 플라스틱 섬은 분명한 사실이고 플라스틱이 잘게 쪼개져서 물고기 뱃속에 쌓이고 있고, 바닷새들이 죽어가고 있는건 분명한 사실입니다.
      모든 생명체를 하나로 보는 부처님의 가르침이 더욱 필요한 때라고 생각됩니다.

    • @user-ho9qj2xu7f
      @user-ho9qj2xu7f 5 лет назад

      다 본 것은 아니기 때문에요. 부분 봤지만 환경단체의 주장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환경에 관심이 많으신 것 같아서 연구해 보시라고 답글 담니다.

    • @TuckerProgramming
      @TuckerProgramming 5 лет назад +3

      온난화에 대해 논쟁이 있다는 건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양쪽 모두 지구가 더 더워질거라는 건 부정하지 않습니다. 제 의견은 그렇다면 이에 대한 피해를 어떻게 방지할 것인지 인류가 논의해야 하는데, 그에 대한 논의는 하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또, 온난화가 인류의 행위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주장은 선진국의 책임 회피용 주장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겁니다. 온난화에 따른 피해보상금을 내고 싶지 않기 때문이죠. 지금은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니 라고 싸울 때가 아니라 앞으로 극심한 피해를 입을 개발도상국과 빈곤국에 대해서 대책을 논의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우리가 전쟁이 나면 난민을 받아주듯이 환경 난민 수용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