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말 해석 】 - 영화가 끝나기 전,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케이트와 전등이 깜빡이는 연출을 통해 관객들에게 누구의 아이인가에 대한 의심을 심어주며 열린 결말로 끝이 납니다. - 마지막 케이트가 임신한 아이가 누구의 아이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으며 각각의 해석에도 허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① 맷의 아이일 것이다. 두 번의 유산의 아픔을 딛고 결국 아이를 얻었다는 일반적인 해석이 가능함. 영화 속에서 방을 통해 끊임없이 욕망을 표출하며 즐기는 과정에서 둘이 관계를 갖는 장면이 많이 등장하기도 하고 집을 나갔던 케이트가 돌아와서 관계를 갖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케이트의 마지막 표정은 기쁜 표정이라기보다는 다소 두렵고 섬뜩함을 느낀 표정이었음. 그리고 영화 마지막 전등이 깜빡거린 것은 단지 혼란을 주기위한 영화적 장치였던 것일까? ② 셰인의 아이일 것이다. 영화 후반부 셰인이 케이트를 범하는 장면이 있기에 셰인의 아이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하지만 시간상 매우 짧은 시간이었고, 맷이 창문을 깨며 들이닥쳤기 때문에 마무리(?)가 되었는지도 알 수 없어서 셰인의 아이라 단정 지을 순 없다. 하지만 만약 마무리가 되었고 임신까지 이어졌다고 한다고 생각한다면 충분히 셰인의 아이로 보는 게 가능하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 수 있다. ‘셰인은 허상이고 허상이 만들어낸 아이 또한 허상이 아닌가? 아이도 없어져야 하지 않나?’ 이 물음에 대해선 존도가 했던 말(“창조주가 죽어야 피조물이 살 수 있다”)을 떠올려 보면 된다. 셰인(창조자)은 결국 재가 되어 죽었기 때문에 셰인의 아이(피조물)가 케이트 배 속에서 살아있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전등이 깜빡거리는 것도 셰인의 아이임을 암시하거나 또는 케이트의 배 속을 방이라 생각하고 셰인의 아이를 방이 만든 산물이라고 비유해 본다면, 방에서 아이가 만들어지고 있으니 전등을 깜빡거리게 연출한 건 아닐까? ③ 아직도 가상 공간일 것이다. 맷과 셰인이 몸싸움을 벌이다가 케이트가 기절했을 때, 그때 이미 맷은 살해되었고 셰인이 방을 통해 현실 같은 가상 세상을 만들어 놓고 다시 그 안에 이중으로 가짜 저택과 재로 변해 죽는 연기를 할 셰인도 만들어 놓았다면? 그렇게 생각해보면 케이트를 구하러 온 맷은 사실 맷의 탈을 쓴 셰인이었고, 재로 변해 죽는 셰인은 허상이었던 것. 평생 엄마와 살고 싶다는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그렇게 케이트를 완벽하게 속이고 현실 같은 가상의 세상에서 맷의 모습을 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직도 방이 만든 가상 속이기 때문에 전등이 깜빡인 건 아닐지? (3번 해석은 허술한 점이 많습니다.) - 해석에 대한 정답은 없지만 영화는 열린 결말을 던져줬고 해석과 판단은 관객의 몫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2번 해석이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시청하신 분들의 다양한 생각과 해석도 궁금하네요. 댓글로 남겨주세요! 【 육각형 】 - 영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모양은 육각형이다. 방의 철문에 새겨진 육각형 무늬(0:47), 지하실에 있던 전기장치 모양(1:15), 예술가인 맷이 바닥에 그린 육각형(9:19), 셰인이 장난감으로 만든 울타리 모양(9:21) 육각형 패턴의 벽지(13:43) 등. - 육각형은 영어로 hexagon이며 hex의 어원은 6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hex는 ‘홀리게 하다’, ‘마법을 걸다’라는 의미가 있음. - 셰인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 육각형 형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사람과 나무 장난감을 넣었다. 여기서 육각형 울타리는 방 또는 가상의 공간을 나타내며 사람 장난감 3개는 케이트, 맷, 셰인을 나타냄. (두 개의 흰색 장난감은 맷과 케이트, 잿빛을 띠는 장난감 하나는 셰인) 나무 장난감은 숲을 나타냄. 후에 가상 공간에 세 사람이 있는 걸 암시함. (9:21) 【 셰인의 장난감 】 - 셰인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장면이 등장한다.(10:14) 마트료시카(인형 속에 계속 인형이 나오는) 같은 캡슐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이는 집(방)안에 또다른 공간을 만드는 것을 암시. 【 존 도 】 - 존도 역시 그 방에서 태어난 허상의 존재였지만, 방으로 존도를 만든 부부를 살해함으로써 실제 세상을 살 수 있게 된 것. 방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신원 미상이었다. - 존도(John Doe)라는 이름은 영미권 국가에서 신원 미상의 남자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의 ‘아무개’, ‘홍길동’ 정도에 해당하는 이름. (여성일 땐 제인 도Jane Doe 아기일 땐 Baby Doe)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 아들이 동성인 아버지에게는 적대적이지만 어머니에게는 호의적이며 무의식적으로 성적 애착을 가지는 복합 감정. 영화 속 셰인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짐. 【 욕망 = 한 줌의 재 】 - 방에서 만들어진 물건이 재가 된다. 이는 밖으로 나가는 순간 순식간에 ‘시간이 빠르게 흘러’ 풍화되어 재가 되는 것. 그래서 사람은 바로 먼지가 되지 않고 시간이 빨리 흘러 늙게 되는 것이고 그 이후 재가 된다. - 모든 것들이 세월이 지나면 한 줌의 재가 되어 사라지는 것처럼, 모든 재물과 욕망의 산물은 한순간일 뿐 시간이 지나고 보면 결국 허무하고 덧없는 것.
2번이 맞다면 관계를 맺지 않았어도 셰인이 소원으로 아기를 케이트 배에 있도록 만든 것이 아닐까 싶어요. 그럼 창조주가 죽은 거니까 소원으로 인한 것이 남아있는 것도 말이 되죠. 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1번이라고 생각하고 싶어요. 케이트가 기뻐하지 않았던 이유는 아직 방에 있는 것이 아닐까, 아이를 가져도 출산이 잘못돼지 않을까, 아이에 대한 책임감 등의 문제를 생각해서 혼란 스러운 것일 가능성이 있죠.
【 결말 해석 】
- 영화가 끝나기 전,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케이트와 전등이 깜빡이는 연출을 통해 관객들에게 누구의 아이인가에 대한 의심을 심어주며 열린 결말로 끝이 납니다.
- 마지막 케이트가 임신한 아이가 누구의 아이인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으며 각각의 해석에도 허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① 맷의 아이일 것이다.
두 번의 유산의 아픔을 딛고 결국 아이를 얻었다는 일반적인 해석이 가능함. 영화 속에서 방을 통해 끊임없이 욕망을 표출하며 즐기는 과정에서 둘이 관계를 갖는 장면이 많이 등장하기도 하고 집을 나갔던 케이트가 돌아와서 관계를 갖는 장면이 나온다. 하지만 케이트의 마지막 표정은 기쁜 표정이라기보다는 다소 두렵고 섬뜩함을 느낀 표정이었음. 그리고 영화 마지막 전등이 깜빡거린 것은 단지 혼란을 주기위한 영화적 장치였던 것일까?
② 셰인의 아이일 것이다.
영화 후반부 셰인이 케이트를 범하는 장면이 있기에 셰인의 아이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하지만 시간상 매우 짧은 시간이었고, 맷이 창문을 깨며 들이닥쳤기 때문에 마무리(?)가 되었는지도 알 수 없어서 셰인의 아이라 단정 지을 순 없다. 하지만 만약 마무리가 되었고 임신까지 이어졌다고 한다고 생각한다면 충분히 셰인의 아이로 보는 게 가능하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 수 있다. ‘셰인은 허상이고 허상이 만들어낸 아이 또한 허상이 아닌가? 아이도 없어져야 하지 않나?’ 이 물음에 대해선 존도가 했던 말(“창조주가 죽어야 피조물이 살 수 있다”)을 떠올려 보면 된다. 셰인(창조자)은 결국 재가 되어 죽었기 때문에 셰인의 아이(피조물)가 케이트 배 속에서 살아있는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 전등이 깜빡거리는 것도 셰인의 아이임을 암시하거나 또는 케이트의 배 속을 방이라 생각하고 셰인의 아이를 방이 만든 산물이라고 비유해 본다면, 방에서 아이가 만들어지고 있으니 전등을 깜빡거리게 연출한 건 아닐까?
③ 아직도 가상 공간일 것이다.
맷과 셰인이 몸싸움을 벌이다가 케이트가 기절했을 때, 그때 이미 맷은 살해되었고 셰인이 방을 통해 현실 같은 가상 세상을 만들어 놓고 다시 그 안에 이중으로 가짜 저택과 재로 변해 죽는 연기를 할 셰인도 만들어 놓았다면? 그렇게 생각해보면 케이트를 구하러 온 맷은 사실 맷의 탈을 쓴 셰인이었고, 재로 변해 죽는 셰인은 허상이었던 것. 평생 엄마와 살고 싶다는 자신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그렇게 케이트를 완벽하게 속이고 현실 같은 가상의 세상에서 맷의 모습을 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아직도 방이 만든 가상 속이기 때문에 전등이 깜빡인 건 아닐지? (3번 해석은 허술한 점이 많습니다.)
- 해석에 대한 정답은 없지만 영화는 열린 결말을 던져줬고 해석과 판단은 관객의 몫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2번 해석이 가장 유력하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시청하신 분들의 다양한 생각과 해석도 궁금하네요. 댓글로 남겨주세요!
【 육각형 】
- 영화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모양은 육각형이다. 방의 철문에 새겨진 육각형 무늬(0:47), 지하실에 있던 전기장치 모양(1:15), 예술가인 맷이 바닥에 그린 육각형(9:19), 셰인이 장난감으로 만든 울타리 모양(9:21) 육각형 패턴의 벽지(13:43) 등.
- 육각형은 영어로 hexagon이며 hex의 어원은 6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hex는 ‘홀리게 하다’, ‘마법을 걸다’라는 의미가 있음.
- 셰인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 때, 육각형 형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사람과 나무 장난감을 넣었다. 여기서 육각형 울타리는 방 또는 가상의 공간을 나타내며 사람 장난감 3개는 케이트, 맷, 셰인을 나타냄. (두 개의 흰색 장난감은 맷과 케이트, 잿빛을 띠는 장난감 하나는 셰인) 나무 장난감은 숲을 나타냄. 후에 가상 공간에 세 사람이 있는 걸 암시함. (9:21)
【 셰인의 장난감 】
- 셰인이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장면이 등장한다.(10:14) 마트료시카(인형 속에 계속 인형이 나오는) 같은 캡슐 장난감을 가지고 논다. 이는 집(방)안에 또다른 공간을 만드는 것을 암시.
【 존 도 】
- 존도 역시 그 방에서 태어난 허상의 존재였지만, 방으로 존도를 만든 부부를 살해함으로써 실제 세상을 살 수 있게 된 것. 방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신원 미상이었다.
- 존도(John Doe)라는 이름은 영미권 국가에서 신원 미상의 남자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우리나라의 ‘아무개’, ‘홍길동’ 정도에 해당하는 이름. (여성일 땐 제인 도Jane Doe 아기일 땐 Baby Doe)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 아들이 동성인 아버지에게는 적대적이지만 어머니에게는 호의적이며 무의식적으로 성적 애착을 가지는 복합 감정. 영화 속 셰인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가짐.
【 욕망 = 한 줌의 재 】
- 방에서 만들어진 물건이 재가 된다. 이는 밖으로 나가는 순간 순식간에 ‘시간이 빠르게 흘러’ 풍화되어 재가 되는 것. 그래서 사람은 바로 먼지가 되지 않고 시간이 빨리 흘러 늙게 되는 것이고 그 이후 재가 된다.
- 모든 것들이 세월이 지나면 한 줌의 재가 되어 사라지는 것처럼, 모든 재물과 욕망의 산물은 한순간일 뿐 시간이 지나고 보면 결국 허무하고 덧없는 것.
2번이 맞다면 관계를 맺지 않았어도 셰인이 소원으로 아기를 케이트 배에 있도록 만든 것이 아닐까 싶어요. 그럼 창조주가 죽은 거니까 소원으로 인한 것이 남아있는 것도 말이 되죠.
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1번이라고 생각하고 싶어요. 케이트가 기뻐하지 않았던 이유는 아직 방에 있는 것이 아닐까, 아이를 가져도 출산이 잘못돼지 않을까, 아이에 대한 책임감 등의 문제를 생각해서 혼란 스러운 것일 가능성이 있죠.
@@백귀계 근데 셰인이 갑자기 그 상황에서 소원으로 케이트의 배 안에 자신의 아이를 갖게 해달라고 빌진 않았을것 같네요 그냥 성적 욕망만 그득 했을것 같은데..
@@kha2398 가능성이 없지는 않다는 거죠. 실제로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해요.
@@백귀계 그쵸 선생님 말이 틀렸다는게 아니구 영화 마지막 장면을 그냥 대놓고 열린결말로 해놨으니 저는 모든 해석이 정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매번 잘 보고 있습니다. 특히나 결말 해석에서 제가 놓쳤던 부분도 짚어주셔서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진짜 항상 감사하고 계속 만들어주세요 제발ㅜ
꾸준히 만들어보겠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해요😄
해석도
좋고 내용도 좋네요
좋은목소리의 영화리뷰도 너무좋았지만, 댓글에 나오는 다각적인 해석이 더몰입감을 높혀줘요! 감사합니다:)
와 씨 마지막에 임신한거 남편아기 아니고 가상의존재의 아기잖아..
그래서 놀란듯 ㄷㄷ
너무 잼있게 봤어요 ^^
좀 자주 올려주셨으면 하네요 ㅠㅠ
재밌게 봐주셔서 감사하네요!ㅎㅎ 더 열심히 만들어보겠습니다🤣
과한 욕심은 파멸을 부릅니다.. 그런 느낌이군여.
오 재밋당
상상력 대박
한도 없는 체크카드 가지고 싶어 하고, 온라인으로 아마존 살거사고 주식사고 그러면 어케되는거지?
온라인으로 사면 실물이 존재하고
주식도 배당금은 실물 존재하고
되팔아도 실물 존재해야 하지만 영화 설정상 안된다 하더라도 배당금은 실물이겠지?
와 해석 미쳤다
영상 마지막에 항상 나오는
음악이름이 뭐예요?
후덜덜덜
옆 집? 없던데?
나라면 최신형 컴터 + 최고급 레스토랑 음식 3끼 + 문화상품권 무한 + 심심할때는 방 공간을 바닷가로 만들고 캠핑 ㅋㅋㅋ 할거 ㅈㄴ 많은데 외국애들 이런 영화 대부분이 만족을 못하고 트롤짓하더라 ㄷㄷ
3:00 참나... 삶의 의미를 잃다니 ㅋㅋㅋㅋ 진짜 그럼 지금 재벌들 다 죽어야겠네 감독이 문제야 작가가 문제야 ㅋㅋ
재벌들은 재산을 밖으로 가지고 다닐수 있죠 365일 하루종일 나가지 않고 집에만 있다고 생각해보세요
지금당장이라면 냉면한그릇 시원하게 먹고싶다
이번주 1등 로또 번호용지를 줘 한다음에
그 번호로 긁으면 되잖아
오? ㅋㅋㅋㅋㅋㅋㅋ
어찌보면 생명의 무게를 가볍게 본 대가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소원으로 생명을 쉽게 만든다면 그건 생명을 가볍게 여기는 행동이 되니까
애초에 집에 가두고 갔으면 임신 안하는거였는데
굳이 현타에 들어간 이유가 뭔가요? 저는 이해가 안되는데. 혹시 뭐든 쉽게 나와서 삶이 지루해진 건가요?
그렇겠죠~!?
근데 제목은 어딨나요ㅠㅠ
제목은 더룸입니다😃
영상 내용 설명, 영상 마지막 좌측상단에나옵니다!
감사합니다
근데 존도는 부모 죽여서 자기가 살아봤자 평생 정신과 신세인데 그 삶이 핸복할까 벌이나 열심히 받아라 + 저런집살면 최소한 배달비는 걱정없겠당ㅋ
설마 임신한 거....
근데 궁금한 게 있는데요. 컴퓨터나 휴대폰에 뭔가 깔아놓는 소원(유료앱이나 전자화폐금액 등)을 빌고 밖으로 나가면 그것도 사라질까요?
제 생각에는..어떤 형태가 있는 것을 만들어주는 방이라서 휴대폰안에 다운받는 등의 소원은 처음부터 안 될 것 같아요!
@@gamjamovie 그러고 보니 직업을 달라는 소원은 성취가 안됐죠.
@@gamjamovie그럼 카드안에 돈 넣어달라는 소원도 못 이루겠네요 ㅋㅋㅋ
@@IllIllllIIIIllIlIl 어떻게 아셨어요?
@@gamjamovieATM만들어서 돈 집어넣으면? 불법이라 걸리려나?
기기괴괴 생각나네.
항상 기분 좋게 해달라고 소원 빌었더니
정신병원에서 계속 기분 좋다고 웃으며 끝났는데
그건 금요일이요.
그럼 지우면 대잖음
부동산•보석등 현물을 소유한 사람을 집으로 불러들여 웃돈 주고 계약한 후 먹튀 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