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호근 한국철학 1강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8

  • @정주연-l5i
    @정주연-l5i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 강의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될 때 까지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fy1gj6ye9c
    @user-fy1gj6ye9c 2 года назад +1

    우연히 한국철학 7강을 듣게 되었는데 강의내용이 너무 훌륭하셔서 1강부터 찾아서 듣고 있구요 고맙습니다.

  • @수운스피노자
    @수운스피노자 5 лет назад

    진짜 고수의 내공이 느껴지는 명강연입니다.

  • @kanghunahn5839
    @kanghunahn5839 2 года назад

    23:20 이 부분은 Thomas Metzger 가 아니라 A.C. Graham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 @책읽어주는잠언137
    @책읽어주는잠언137 8 лет назад +5

    40회 하신 강의를 어디서 볼수있나요?

  • @전성희-f8x
    @전성희-f8x Год назад

    강의가참좋은데잡음때문에.ㅠ

  • @prolitariat5032
    @prolitariat5032 3 года назад

    언어란 정신을 담는 그릇이요 형식이다. 한국어는 원시어 형태이고 한글은 단지 소리를 내는 발음 기호일 뿐이다. 원시적이라는 말은 고로 한국인 고유의 철학이 없다는 의미다. 왜냐하면 순수한 우리 말에는 철학을 표현하는 단어가 없다. 즉 우리 조상 고유의 생각에는 철학적 사상이 전혀 없었다는 것이다. 즉 학문적, 철학적 사유나 제도, 문명 모두는 외래에서 유래한 것이다. 우리는 외래 문명을 자의든 타의든 받아 들이지 않았다면 지금도 아마존 강 유역의 원시인들처럼 살고 있을 것이다.

    • @순영정-e7h
      @순영정-e7h 2 года назад +1

      문화란 고유의 독창성도 있지만,
      흐름과 창조적 모방으로 새론 지평을 여는
      사례가 많은데 동의할 수 없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