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THE 국내대학순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1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9

  • @pnu.
    @pnu. 4 года назад +9

    대학 서열화 X
    연구 역량 및 교수 논문 영향력으로 본 대학 발전 가능성 O

  • @jaewonha7744
    @jaewonha7744 4 года назад +4

    올해 국내톱10내에서 순위가 상승한 대학은 7개교. [2021 THE 세계대학순위중 국내대학순위]
    서울대(64위→60위) KAIST(110위→96위) 고려대(179위→167위) UNIST울산과학기술원(201-250위→176위)
    연세대(197위→187위) 경희대(301-350위→251-300위) 세종대(401-500위→301-350위)

  • @RK-hi9uf
    @RK-hi9uf 4 года назад +2

    근데 저 THE랭킹 말고 QS랭킹이 좀더 대학자체의 수준을 반영한 평가임.. THE랭킹은 강대국이면 높음 그냥. 비영어권이면 일단 글로벌 지수가 너무 낮음

    • @RK-hi9uf
      @RK-hi9uf 4 года назад

      @최고 그냥 유학 준비하면서 알아봣죠 어차피 대학 평가기관 많지도않은데요 뭐

    • @RK-hi9uf
      @RK-hi9uf 4 года назад +2

      @최고 THE 평가 기준 보시면 논문 인용지수, 외국인 학생 비율 등의 카테고리가 상당히 비중이 큽니다. 반면에 QS에서 보는 지표들은 실제로 학생들이 가서 교육적인 부분을 바로 느낄수있는 지표들입니다.

    • @RK-hi9uf
      @RK-hi9uf 4 года назад

      @최고 student faculty ratio, 랑 교수들 인지도, 재정상황 등요

    • @RK-hi9uf
      @RK-hi9uf 4 года назад +1

      @최고 그 연구 성과라는걸 냈다고 학부생들한테 가르치는게 아닙니다. 어차피 매년 코스는 거의 안변해요. 원래 대학이라는 기관은 연구를하는 기관인데 그 본질에 더 초점을 맞춘 평가가 THE, 학생들이 들어가서 배우는 수준을 평가한건 QS라고 보시면 됩니다.

  • @seonbi6353
    @seonbi6353 4 года назад +5

    입시성적순의 순위가 아닌 대학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평가한 것임. 예로 서강대가 입시성적이 높으나 순위가 낮은것은 대학규모가 적은것임. 하지만 앞으로는 대학역량으로순으로 입학순위가 될 것으로 예상됨. 참고로 한국 종합병원 순위를 보면 서울대병원, 아산병원, 삼성병원 3대병원 여기에 세브란스병원, 서울카톨릭대병원를 더하여 5대 병원임

  • @곽인수-b6r
    @곽인수-b6r 4 года назад +18

    이제 스카이는 옛말이고 성균관이 고대 연대 제끼고 머지않아 서울대도 제끼겠구낭 성균관이 조선 유림의 최고 교육기관이니 1등이 당연하지

  • @Patlane727
    @Patlane727 4 года назад +8

    사실 THE 타임지보다 QS가 더 객관적이라고 보고 지표로삼죠

  • @supark_
    @supark_ 4 года назад +13

    세종대가 한양대보다 높다니 뭔...

    • @user-dr1vy9cv4p
      @user-dr1vy9cv4p 4 года назад +1

      시카코대가 예알대보다 노벨상이 많죠..그러면 안되나요..시키코대 뉴욕대 모두 지방대인데..

  • @귀염둥이-x7w
    @귀염둥이-x7w 2 года назад

    세종대는 아닌듯... .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12

    성균관대가 3등...2020년 다른 곳은 2등.이제는 성균관대가 지난 10년이상동안 서성포카연고 경쟁에 완벽히 자리잡았다는 느낌 세계대학순위에서 이 다섯개 대학은 평가기관마다 다르지만 서로 물고 물리고 있음 좁게 보면 이 중에 서울대는 단독1위고 나머지 5개 대학이 순위권에서 치열하게 싸움중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1

    세계대학평가기관과 국내대학평가기관의 대학평가를 완전히 배제 그리고 전공 선호도와 주관적 판단을 제외한 객관적인 수치만을 가지고 현재 대학입결성적으로만 본 학생실력
    오로지 실력인 정시 상위3% 이내 상위대의 입결과 위상(단 뒷구멍성향강한 자기추천전형이니 뭐니하는 수시로 입학한애들 제외)
    상위 0.2% 메의저 5대의대(서울 연세 성균 카톨 울산)>>상위 0.3%고려 한양 경희(순서는 무의미)의대>상위 0.4% 이화 아주 중앙 인하 가천의대(역시 순서는 무의미 상위0.3~0.6%까지는 미세한 차이라 매년 언제든 그 순위변동가능)=서울대치대=서울대 컴공>=상위 0.5% 순천향대 한림대 인제대의대>상위 0.6% 부산 경북등 지방거점국립대의대=연세대치대>상위1% 서울대수리과학부=삼룡의를 제외한 지방사립대 와 지방거점을 제외한 지방국립대의대=경희대치대>상위 1.5%서울대 전기전자등 상위권공대=조선 제주 고신의대=경희대 한의예=부산경북등 거점치대>상위2%서울대 중위권 공대=대구 부산대 한의예=카이스트애들 평균=강릉대 원광대치대>상위 2.5%서울대 중하위권공대=컴공 사이버국방등 연고대상위공대=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포항공대평균=나머지 한의예>상위3%서울대 최하위권 공대=성균관대 소트웨어=한양대 미자공=연고대 중위권공대
    아마 내후년도쯤에 약대도 대학입시로 돌아오면 서울대약대는 서울대 상위권공대나 고신 제주 조선대 의대쯤에 성균관대 중앙대 이화 부산대 연고대약대는 서울중위권~ 중하위권공대위치쯤에 나머지 약대는 서울대 최하위권공대나 연고대상위공대 극소수 비선호 지방사립대약대는 연고대 중위권공대쯤에 위치할거라 판단됨
    물론 AI가 빠르게 도입되고 자동화가 빨라진다면 대부분 약대는 서울 성균 중앙 이 화 고려 연세등 상위약대뻬고는 90년대 보통약대위상처럼 상위 3~4%인 연고대 중하위권공대수준이나 서울대 농대와 의류 간호나 그 이하인 상위 4~6%인 성균한양중하위권공대수준으로까지 추락할 수도 있음

  • @이석-k6k
    @이석-k6k 4 года назад +6

    서연고.성한 100년지나도 똑같네

  • @shins3s
    @shins3s 4 года назад +11

    경희대가 한양대보다 위라니 ㅋㅋㅋ 거기에 세종대는 또 뭐지? 경희대는 이해가 가지만 세종대는 도저히 ㅋㅋ

    • @김경원-n3h
      @김경원-n3h 4 года назад

      이 타임지 순위가 교수연구실적이 가장 중요해서 그렇습니다. 이해가 가는게 세종대가 지난 몇년간 가장 공격적으로 교수를 채용한 학교라서요. 논문실적이 가장 중요한 채용기준이었다고 합니다.

  • @이성주-c5s
    @이성주-c5s 4 года назад +6

    이제 국내외 모든 순위에서 skys~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4

    포항공대는 2015년 즈음해 반짝 뜨고 나서 서카에 확실히 밀리는 느낌이다. 연고와 포항공대를 선택하라면 2010년대초까지만 해도 망설임없이 포항공대였지만 지금은 수도권학생들은 연고를 택하는 경우도 꽤 있을 듯함

  • @shinsh5815
    @shinsh5815 4 года назад +5

    햐~경희대가 한국의 8대 명문으로 거듭나는구나야~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현실적으로는 여러대학평가기관 평가를 종합해보면 9등~11등이 맞음.

  • @user-dr1vy9cv4p
    @user-dr1vy9cv4p 4 года назад +2

    순위따지는 후진적사고가 결국 노벨상1개없는 대한민국 이죠..히로시마대 교토대 도호쿠대등 일본지방대에서도 노벨상아왔지만....서울대는 1개도 없네요..땀과 노력으로 100세시대에 100세때 웃는자가 성공인

    • @찌비아빠-68
      @찌비아빠-68 4 года назад

      고광수 일본지방대? 히로시마대는 모르겠는데 교토대, 도호쿠대는 뿌리가 제국대학으로 우리로치면 서울대 지방캠퍼스임. 일본은 입결이 각 지방 대표 국립대 다음이 명문 사학임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3

    동종학문 동종학과로 본 현대학입시평가 서카>포>=연고>성한서 >이중경시외 >건동홍 부산 경북 인하 아주 > 나머지 지방도대표국립대학과와 취업 잘되는 각 대학교 대표학과 예)국민자동차 광운전자 세종대 호텔경영등등 >나머지는 의미 없이 도토리 키재기 개인실력 이 정도만 해도 서열 많이 세분화해서 그룹한 것임
    그런데 이렇게 세세하게 구분한 그룹내에서 각각 대학간 같은 부류 순위매기는거 크게 의미 없고 학생과 대학 교직원 자위용임(자부심과 자기위안용) 같은 부류내에서는 매년 위치 바뀌고 취업시장에서는 더욱 의미 없음 예를 들어 연고에서 연세대와 고려대 순위경쟁 의미 없음 이중경시외도 이대 중앙대 이화여대 시립대 한국외대 순위경쟁 의미 없음 극단적으로 말하면 상당수 취업시장에서는 서카포(연고) 성한서이중시경외 건동홍인하아주지방도대표국립대 나머지지방사립대 혹은 서카포연고 성한서~지방도대표국립대 그리고 나머지 지방사립대 이렇게까지 보통 3~4단계 정도로만 봄 그러니 같은 부류 집단 서로 누가 더 잘났는지 취업시장에서는 큰 의미없고 그 큰 부류안에 속할 수 있는지 무엇보다 취업시장에서는 80%이상은 학벌보다 개인능력이 중요함

  • @mcgk7023
    @mcgk7023 4 года назад +6

    이과 입결기준 의치 서카포 한의 연고 성한서 지디유 중시경 건동인아홍 까지!

  • @참결-c9w
    @참결-c9w 4 года назад +10

    1류 설카
    2류 포성연고
    3류 서한이외
    4류 중시경
    5류 인서울.지방국립.아주.인하

    • @shins3s
      @shins3s 4 года назад +5

      이외가 중시경보다 떨어질라요 ㅋ 올해 수능좀 보시고 경희 중앙 시립 지원해보시고 댓글 다시죠

    • @mckinseyand2022
      @mckinseyand2022 4 года назад +3

      @@paulgold1926 뭔 헛소냐?
      입결, 공헌도, 평판도, 취업선호도, 고시까지 포함해서.......
      1 설
      2. 성
      3. 연,고
      4. 한,외,경희, 부산, 경북
      5. 인서울, 아주, 인하
      cf) 카, 포 등은 특수대로 인정.

    • @user-dr1vy9cv4p
      @user-dr1vy9cv4p 4 года назад +2

      100세시대에,,,땀과 노력으로 100세때 웃는자가 진정한 1류입니다..국졸 정주영,대학중퇴이병철, 국민의힘5선 원내대표 주호영은 영남대법대, 넥슨타이어회장은 동아대출신입니다....순위따지는 저질 유튜브는 사라져야 선진국 입니다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1

      거의 맞는데 이외는 아니다. 이외는 중시경라인

    • @홍태순-i8u
      @홍태순-i8u 3 года назад

      @@자유와평등-u8u 왜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8

    포항공대 카이스트 포함해도 성균관대는 도대체 몇년간이나 전국대학 최소 5위권이내 진입이냐? 10년은 넘은 것 같다 그리고 이제는 성균관대는 입결은 서포카 연고 성한서 중경외시이고.....대학평가는 서카포성고연........한 또는 서카포성 고연...... 한가 확실히 자리 잡힌것 같다 이제는 여세를 몰아 입결마져도 연고나 고연을 따라 잡아야 할꺼다

    • @이달랑
      @이달랑 4 года назад +3

      근데 별로 성대는 가기 싫은게 사회의 지배층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모두 연세대 고려대임 성대는 인식면에서 항상 낮을 수밖에

    • @kjujoho4193
      @kjujoho4193 4 года назад

      orbi.kr/00028028185
      이과 입결 고대가 연대보다 더 높음

  • @MrKimingu
    @MrKimingu 4 года назад

    어떤기준인지... 아예 빠진곳두있고......

  • @이석-k6k
    @이석-k6k 4 года назад +1

    말도 안되는 순위

  • @자유와평등-u8u
    @자유와평등-u8u 4 года назад +9

    성균관대는 의학 자연 공대과학분야의 연구분야와 대학업적은 이제 일부는 서연고포카 혹은 서포카랑만 경쟁하지 서강대 한양대나 한양대나 서강대랑 아예 경쟁상대가 아니다. 현재는 입학성적인 커트라인만 동일학과 동종학문에서 그들과 경쟁함 아마도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계속 존재하고 이 추세대로 계속 성장하면 10년~20년후에는 연구 분야와 대학업적은 서포카랑만 경쟁하는 구도가 완전히 굳어지고 한서랑은 아예 입결경쟁상대가 아니고 입결은 연고랑 경쟁할 가능성이 높다.
    10년전에는 연구분야는 서강대 한양대랑 경쟁했지만 입학생 커트라인은 중앙대 이화여대랑 경쟁했다.
    20년이상전에는 연구분야는 중앙대 이화랑 경쟁했고 실제 입학생커트라인은 인하아주와 부산대 경북대 건동홍이랑 경쟁했다.
    이렇듯 지난 20년이상동안 성균관대는 연구 분야와 교수업적은 입결보다 항상 한단계 상위클래스였다.
    지난 20년간 가장 장족의 발전을 거듭한 대학을 하나만 뽑으라면 당연 성균관대다. 90년대초반까지만 해도 의학계열이 없던 성균관대 수능입학생성적은 놀랍게도 각학과의 커트라인은 정시기준해서 4.*%~15.*%였다. 그런데 지금은 0.2%~5%이내다 놀라운 발전이다. 짧은기간에 가장 놀라운 성장이다.

    • @이달랑
      @이달랑 4 года назад

      근데 별로 성대는 가기 싫은게 사회의 지배층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모두 연세대 고려대임 성대는 인식면에서 항상 낮을 수밖에

    • @sunny-d7l1c
      @sunny-d7l1c 3 года назад +2

      @@이달랑 지금부터 20년후에 나타날겁니다
      왜냐하면 요즘 입학한 학생들이 사회지도층이
      될려면 적어도 20년후에
      나타나겠지요
      앞으로는 아마도 연고대랑
      격차가 서서히 줄어들것같네요

  • @홍성하-o5g
    @홍성하-o5g 4 года назад +4

    다 좋은데 ㆍㆍㆍ
    매번 부산 해운대ㆍ경주 첨성대를 누락시키는 이유가 뭐요?
    상당히 고의적 인것 같은데 혹시 해운대나 첨성대 떨어지고 연고대ㆍ서울대 간것 때문인가요
    하긴 뭐 해운대나 첨성대에서 꼴등하던 애들이 서울대로 전학가면 대부분 전액 장학금 받는 우수한 성적을 내다보니 해운대ㆍ첨성대를 시기하고 질투할수 밖에 없다고 보기는 합니다만ㆍㆍㆍㆍ

    • @이상윤-e2w
      @이상윤-e2w 4 года назад +3

      드립이 이리 재미없기도 힘든데

    • @pnu.
      @pnu. 4 года назад +1

      @@이상윤-e2w 드립이 아니고 아버님 세대셔서 그래요. 예전 부산 경북 라인은 지금과 다르니까요.

    • @이상윤-e2w
      @이상윤-e2w 4 года назад +1

      @@pnu. 뭔 소리에요 해운대랑 첨성대가 대로 끝나는 단어인데 그냥 ㅋㅋ

  • @황별희-c2b
    @황별희-c2b 4 года назад +1

    홍익대는 어디갔죠? ㅜㅜ

    • @pardus-o2v
      @pardus-o2v 4 года назад +1

      잔인하지만 홍대는 단지 지리적 이점때문에 입결과 인지도가 생긴 대학입니다. 캠퍼스는 그냥 고등학교 두개 붙어놓은 수준의 인프라고 연구성과도 괜찮은 학교도 아니고요.

    • @gafunkul8789
      @gafunkul8789 4 года назад +1

      의과대학이 없으면 해외평가에서 점수안나옵니다

  • @MA-dw2yl
    @MA-dw2yl 4 года назад

    요즘 특히 AI와 코로나로 인한 언택트가 대세가 되는 시대에 한국대학 순위 같은 이야기가 의미가 있을까요? 어쩐지 이제 흘러간 옛날이야기 듣는 기분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