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수님! 병진운동과 돌림운동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해가 갔는데 강의 후 책을 읽으며 다시 복습하다보니, 돌림운동에 대해 살짝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 자유도 부분 책을 읽으며 팔꿉관절은 시상면 내에서의 돌림운동으로 자유도 1만을 갖는다라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럼 팔꿈치의 굴곡 신전의 움직임도 그 면 내에서의 돌림운동이라고 이해를 해야하는 게 맞을까요? 축을 가지고 거기서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것을 원을 그리는 경로의 돌림운동이라는 개념일까요? 책에 돌림운동 (rotation)이라고 되어있으니, 조..금 헷갈려서 여쭤본 것 같습니다 ^^; 중구난방으로 여쭤본것 같은데 답변 부탁드릴게요ㅠㅠ!
개념혼동의 포인트를 잘 짚어주신 중요한 질문입니다. 뉴만에서 돌림이라는 용어는 우리가 소위 얘기하는 굽힘 폄 등등의 돌림과, 병진운동과 돌림운동으로 언급하는 돌림을 구분하셔야 합니다. 개념을 알고 보면 별 거 아닌 내용일 수 있지만, 개념을 모르면 글자만 읽을 뿐 내용이 머리 속에 들어오지 않게 될 거예요. 뉴만 서적을 깊게 이해하는 과정으로 들어오셨네요 😀
21년 2월 한 달간 주 2회 업로드 됩니다. (월, 목 아침 9시)
* '좋아요'와 '구독'은
양질의 강의를 만드는데 큰 힘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2월 이후에는 어떤식으로 올려주시나여??
@@physio_therapist92 주 2회에서 좀 더 늘려볼까 생각 중입니다만, 개강을 해서 영상 찍을 시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ㅠ
3월 1일에 유튜브 게시글로 확정된 일정을 공지해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건강한인체를만드는방 감사합니다! 선생님🙂🥰
중간중간에 이해가는지 물어봐주시는 거 정말 좋네요! 실시간 강의 듣는 것 같아요 : ) 저도 모르게 대답하고 있어요~~ 간단한 문제도 내주셔서 공부한 이론 적용하여 생각해볼 수 있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정말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명강의입니다👍
항상 공부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인데 들었던 강의 중 가장 쉽게 설명해주시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선한 댓글 고맙습니다 🙏
연습문제까지 넘 좋아요~ 헷갈릴수 있는 것까지 짚어주시다니~ 감동
감사합니다, 좋아해 주시니 종종 돌발문제를 넣어서 강의해볼게요 😊
교수님감사합니닷ㅎㅎ오늘도쵝오최고🥰😇
교수님 덕분에 정말 재밌게 공부합니다 . 이렇게 좋은 강의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처음에 돌림축 이해가 안됐는데 다시 돌려보니 알겠습니다. 오늘도 감사합니다!
아아 1-4 기대됩니다!!! 스쿼트와 레그익스텐션 이라니 ㅎㅎㅎ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덕분에 운동학 공부할 용기가 생겼습니다.
기다리고 있습니다 ㅎㅎㅎ항상 감사합니다.
😄
너무 감사합니다 책만볼땐 이해가 안갔는데! 감사드립니다
연습문제 다 맞췄어요! 맞추는 재미가 있네요😊
수고하셨어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교수님!
드디어주말이 왔네요.올라온 수업 같이 쫓아갈게요 감사합니다 :) ❣❣
역시 또 첫 댓글을...🙏
계속 열공 함께해요 😊
항상 감사합니다 구독 했어요 👍
감사합니다. 🙏
강의 넘 이해잘되서 댓글남겼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댓글에 힘을 얻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교수님! 병진운동과 돌림운동의 개념에 대해서는 이해가 갔는데 강의 후 책을 읽으며 다시 복습하다보니, 돌림운동에 대해 살짝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
자유도 부분 책을 읽으며 팔꿉관절은 시상면 내에서의 돌림운동으로 자유도 1만을 갖는다라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럼 팔꿈치의 굴곡 신전의 움직임도 그 면 내에서의 돌림운동이라고 이해를 해야하는 게 맞을까요? 축을 가지고 거기서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것을 원을 그리는 경로의 돌림운동이라는 개념일까요? 책에 돌림운동 (rotation)이라고 되어있으니, 조..금 헷갈려서 여쭤본 것 같습니다 ^^; 중구난방으로 여쭤본것 같은데 답변 부탁드릴게요ㅠㅠ!
개념혼동의 포인트를 잘 짚어주신 중요한 질문입니다.
뉴만에서 돌림이라는 용어는 우리가 소위 얘기하는 굽힘 폄 등등의 돌림과, 병진운동과 돌림운동으로 언급하는 돌림을 구분하셔야 합니다.
개념을 알고 보면 별 거 아닌 내용일 수 있지만, 개념을 모르면 글자만 읽을 뿐 내용이 머리 속에 들어오지 않게 될 거예요.
뉴만 서적을 깊게 이해하는 과정으로 들어오셨네요 😀
선생님 뉴만 6p 돌림축에 대한 설명중 "모든 관절 내에 있는 각각의 축은 가동범위 내내 약간씩 이동하게 된다"라는 설명이 있습니다. 이 내용은 볼록 오목 법칙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같은건가요? 뭔가 익숙하고 헷갈려서 여쭤봅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약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긴 한데 계속 돌려봐야 할거 같아요. 어렵네요 아직..ㅎㅎ 수고하십시요!
정독 후 이해하면 시야가 달라지는 책이다보니, 뉴만은 참 어렵습니다 😭
계속 정주행해주세요~ 화이팅입니다
교수님 무릎관절이 왜 자유도 2인지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무릎관절은 두 가지 운동면에서 움직임이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라고 말씀드리는 게 댓글의 한계네요 😅
가능하시다면, 내일 예정된 유튜브 라이브 강의를 신청해주세요. 커뮤니티 글을 참고해주세요.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