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상 알고싶었던 내용 보고싶었던 강의 검색하면 나오는거나 강의내용이 이해되는건 리베하얀님 강의에요 ㅠㅠ 진짜 큰 도움 받고있습니다. 돈들인 강의는 다른가 하고 돈내고도 들었었는데 진짜 바로 못듣겠더라고요.. 처음부터 차근차근 꼼꼼하고 함께하는듯한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 👍👍 최고에요 !!
em과 rem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1. px의 단위를 순수하게 비율에 맞춰서 변환되는거라 결국 미디어쿼리 분기는 다 쳐줘야 한다. 2. px to em or rem 을 할시 1px 당 em, rem의 증가되는 비율이 일정치 않다. 3. (2번의 증가되는 비율이 일정치 않은 이유 때문에) 최대 px이 정해져있고, 그 이상의 em, rem의 수치를 알수가 없다.
rem은 일반사이트가 아닌 반응형(모바일포함) 전용이기 때문에 1번항목에 대한 문제는 없을것같네용~ 2번같은 경우도 본래 rem사용이 반응형에 최적화라 보기 때문에 그 비율에 대한 기준을 맞추는것이 본래의 의도라 생각이 듭니다. 일반웹처럼 정확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레티나 디스플레이도 다르고, 해상도도 다양하기 때문이죠 3번에 대한 문제점은 이미 2번에서 해소~~☺ 소중한의견 감사합니당~~^^
@@rebehayan pc, tablet의 디자인이 확연히 다른 경우라면 분기가 많을수밖에 없지만 저는 삼성과 같은 방식을 선호하고있어서 모든 해상도에서 100퍼로 보이는 기술을 쓰고있어요. 그래서 모바일에서도 분기를 별로도 치지 않고 tablet->mobile 가는 단 한번의 스타일로 모바일의 해상도를 맞춰요. 이 방식을 쓰면 특히나 모바일에서 분기를 여러개를 나눌필요가 없더라구요
기준값에 의해 자식들이 영향을 받는 em 영향을 받지 않는 rem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메일에 답변 주셨던 것도 감사합니다. 덕분에 원하는 것을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영상속 멘트 하나하나가 정말 시청자 이해중심에서 많이 고민하시고 방향까지 제시해주시는게 느껴져서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 설명을 열심히 들었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24:00 분에 말씀해주신 것처럼 덕분에 나중에 심화학습 할 수 있을거라 기대해봅니다 ^^
과찬이십니다 ^^; ㅎㅎㅎ;;
이건 개념이니~ 힘들수있고
나중에 응용해서 만들때 보시면 도움되실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늘 px만 쓰던 사람이에요.. em과 rem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가 필요했는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변화가 일어나면 뭔가 혼란이 오죠.. ㅠㅠ 저같은경우 그랬습니다.. 차츰차츰 적응하실거라 믿습니다 ^^
반응형 px로 배우고 있었는데 rem, em에 대해서도 알게되어 너무 좋습니다! 필요한 정보였어요!!
두루두루 알면좋죠~^^👍
항상 알고싶었던 내용 보고싶었던 강의 검색하면 나오는거나 강의내용이 이해되는건 리베하얀님 강의에요 ㅠㅠ 진짜 큰 도움 받고있습니다. 돈들인 강의는 다른가 하고 돈내고도 들었었는데 진짜 바로 못듣겠더라고요.. 처음부터 차근차근 꼼꼼하고 함께하는듯한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 👍👍 최고에요 !!
ㅎㅎ.. ㅠㅠ 과분한 말씀이십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정확히 알고 싶었는데 이걸 보고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리베하얀님 영상보면서 하나하나 배워가고 있어요 ~좋은 강의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되신다니 다행이네요~
진짜 영상 볼 때 마다 항상 느끼지만 알아야할 포인트를 정말 잘 정리해서 설명해 주시는 것 같아요.
너무 감사합니다. (_ _)
ㅎㅎ 과찬이십니다 ^^
도움되신다니 다행입니다~!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잘봤어요! 아직 헷갈리는데 말씀대로 써보면 익숙해지겠죠? 감사합니다~
네~ 맞아요. 쓰다보면 익숙해저요 ^^
em과 rem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1. px의 단위를 순수하게 비율에 맞춰서 변환되는거라 결국 미디어쿼리 분기는 다 쳐줘야 한다.
2. px to em or rem 을 할시 1px 당 em, rem의 증가되는 비율이 일정치 않다.
3. (2번의 증가되는 비율이 일정치 않은 이유 때문에) 최대 px이 정해져있고, 그 이상의 em, rem의 수치를 알수가 없다.
rem은 일반사이트가 아닌 반응형(모바일포함) 전용이기 때문에 1번항목에 대한 문제는 없을것같네용~
2번같은 경우도 본래 rem사용이 반응형에 최적화라 보기 때문에 그 비율에 대한 기준을 맞추는것이 본래의 의도라 생각이 듭니다.
일반웹처럼 정확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레티나 디스플레이도 다르고, 해상도도 다양하기 때문이죠
3번에 대한 문제점은 이미 2번에서 해소~~☺
소중한의견 감사합니당~~^^
@@rebehayan pc, tablet의 디자인이 확연히 다른 경우라면 분기가 많을수밖에 없지만
저는 삼성과 같은 방식을 선호하고있어서 모든 해상도에서 100퍼로 보이는 기술을 쓰고있어요. 그래서 모바일에서도 분기를 별로도 치지 않고 tablet->mobile 가는 단 한번의 스타일로 모바일의 해상도를 맞춰요. 이 방식을 쓰면 특히나 모바일에서 분기를 여러개를 나눌필요가 없더라구요
@@rudwnok 모바일과 pc의 디자인이 동일하다는건 그리 복잡하지 않은 디자인으로 보이네요.
그렇다 하더라도 모바일기기에서의 px같아야 하는 기준은 모호합니다. ㅎㅎㅎ;;;
기기마다 해상도도 다르고 레티나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죠~
영상 잘봤습니다 :) 포토샵에서의 자간 '1'을 CSS 에서 구현시 (폰트크기를 차치하고) 1/1000로 계산해서 표현하는게 맞나요?
네 1/1000은 맞습니다. 다만 px이 아닌 em입니다 ^^.
넘감사합니다..(__) 이제막 공부시작했는데 도움이되는 강좌네요..
감사합니다 ^^ ㅎㅎ
ㅜㅜㅜㅜㅜ클리어부쓰편 보고 이거 보고있는데 정말 최고에여
감사합니다 ^^😍
궁금했었는데 많이 알아갑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
음 이해가 잘됬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친절하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em,rem에 익숙해지도록 해야겠네요~ 전 걍 px로 베이스 잡고 미디어쿼리로 노가다로 px값을 조정하고 있...ㅋㅋㅋ
디테일한건 어쩔수없죠;; ㅎㅎ..
지금 막 코딩을 일단 해보자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반응형을 만들면서 모든단위를 vw로 주고 있어요 ㅜ 어렵네요...
vw는 위험해요~ 전부다 사용하시면 힘드실것 같아요~ ㅠㅠ
강사님 안녕하세요 혹시 종로에 어던 학원 강사님 맞으신가요?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아마도 그런것 같네요ㅋㅋㅋㅋㅋ
모바일 만들거나 피시만 만들때는 px써도 되나용
모바일은 rem을 추천드리고 pc는 px쓰셔도 무관합니다.
반응형은 rem을 추천드립니다.
그럼 이미지들도 rem 으로 해야하나요?
이미지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면 필요합니다 ^^.
무조건은 아닙니다~~ 때론 %가 필요할때도 있습니다.
%, px, em, rem 단위가 다양해서 많이 혼동될 것 같네요.
사용해야할 시기가 있어서 각각 어떨때 활용해야되는지 이해가 중요할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