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 em? rem? 차이점과 실무응용하기~!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43

  • @haha_ys
    @haha_ys 5 лет назад +6

    기준값에 의해 자식들이 영향을 받는 em 영향을 받지 않는 rem 너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메일에 답변 주셨던 것도 감사합니다. 덕분에 원하는 것을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 @haha_ys
    @haha_ys 5 лет назад +9

    영상속 멘트 하나하나가 정말 시청자 이해중심에서 많이 고민하시고 방향까지 제시해주시는게 느껴져서 늘 감사한 마음입니다. 설명을 열심히 들었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24:00 분에 말씀해주신 것처럼 덕분에 나중에 심화학습 할 수 있을거라 기대해봅니다 ^^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과찬이십니다 ^^; ㅎㅎㅎ;;
      이건 개념이니~ 힘들수있고
      나중에 응용해서 만들때 보시면 도움되실거라 믿습니다.
      감사합니다~

  • @resther
    @resther 5 лет назад +6

    저도 늘 px만 쓰던 사람이에요.. em과 rem에 대한 정확한 개념 이해가 필요했는데 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네 변화가 일어나면 뭔가 혼란이 오죠.. ㅠㅠ 저같은경우 그랬습니다.. 차츰차츰 적응하실거라 믿습니다 ^^

  • @am102400
    @am102400 5 лет назад +6

    반응형 px로 배우고 있었는데 rem, em에 대해서도 알게되어 너무 좋습니다! 필요한 정보였어요!!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1

      두루두루 알면좋죠~^^👍

  • @정예원-u8f
    @정예원-u8f 3 года назад +1

    항상 알고싶었던 내용 보고싶었던 강의 검색하면 나오는거나 강의내용이 이해되는건 리베하얀님 강의에요 ㅠㅠ 진짜 큰 도움 받고있습니다. 돈들인 강의는 다른가 하고 돈내고도 들었었는데 진짜 바로 못듣겠더라고요.. 처음부터 차근차근 꼼꼼하고 함께하는듯한 설명 너무 감사드려요.. 👍👍 최고에요 !!

    • @rebehayan
      @rebehayan  3 года назад

      ㅎㅎ.. ㅠㅠ 과분한 말씀이십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

  • @miny-t1g
    @miny-t1g 5 лет назад +2

    정확히 알고 싶었는데 이걸 보고 제대로 이해했습니다 리베하얀님 영상보면서 하나하나 배워가고 있어요 ~좋은 강의올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해가 되신다니 다행이네요~

  • @unoweb4438
    @unoweb4438 5 лет назад +3

    진짜 영상 볼 때 마다 항상 느끼지만 알아야할 포인트를 정말 잘 정리해서 설명해 주시는 것 같아요.
    너무 감사합니다. (_ _)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1

      ㅎㅎ 과찬이십니다 ^^
      도움되신다니 다행입니다~!

  • @Jerry-e7p
    @Jerry-e7p 4 года назад +1

    영상 정말 감사합니다~~

  • @mutludadol
    @mutludadol 5 лет назад +1

    잘봤어요! 아직 헷갈리는데 말씀대로 써보면 익숙해지겠죠? 감사합니다~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네~ 맞아요. 쓰다보면 익숙해저요 ^^

  • @rudwnok
    @rudwnok 5 лет назад +3

    em과 rem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
    1. px의 단위를 순수하게 비율에 맞춰서 변환되는거라 결국 미디어쿼리 분기는 다 쳐줘야 한다.
    2. px to em or rem 을 할시 1px 당 em, rem의 증가되는 비율이 일정치 않다.
    3. (2번의 증가되는 비율이 일정치 않은 이유 때문에) 최대 px이 정해져있고, 그 이상의 em, rem의 수치를 알수가 없다.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rem은 일반사이트가 아닌 반응형(모바일포함) 전용이기 때문에 1번항목에 대한 문제는 없을것같네용~
      2번같은 경우도 본래 rem사용이 반응형에 최적화라 보기 때문에 그 비율에 대한 기준을 맞추는것이 본래의 의도라 생각이 듭니다.
      일반웹처럼 정확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레티나 디스플레이도 다르고, 해상도도 다양하기 때문이죠
      3번에 대한 문제점은 이미 2번에서 해소~~☺
      소중한의견 감사합니당~~^^

    • @rudwnok
      @rudwnok 5 лет назад +1

      @@rebehayan pc, tablet의 디자인이 확연히 다른 경우라면 분기가 많을수밖에 없지만
      저는 삼성과 같은 방식을 선호하고있어서 모든 해상도에서 100퍼로 보이는 기술을 쓰고있어요. 그래서 모바일에서도 분기를 별로도 치지 않고 tablet->mobile 가는 단 한번의 스타일로 모바일의 해상도를 맞춰요. 이 방식을 쓰면 특히나 모바일에서 분기를 여러개를 나눌필요가 없더라구요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2

      @@rudwnok 모바일과 pc의 디자인이 동일하다는건 그리 복잡하지 않은 디자인으로 보이네요.
      그렇다 하더라도 모바일기기에서의 px같아야 하는 기준은 모호합니다. ㅎㅎㅎ;;;
      기기마다 해상도도 다르고 레티나도 모두 다르기 때문이죠~

  • @CroqueMonsieur7
    @CroqueMonsieur7 Год назад +1

    영상 잘봤습니다 :) 포토샵에서의 자간 '1'을 CSS 에서 구현시 (폰트크기를 차치하고) 1/1000로 계산해서 표현하는게 맞나요?

    • @rebehayan
      @rebehayan  Год назад

      네 1/1000은 맞습니다. 다만 px이 아닌 em입니다 ^^.

  • @김현종-r8d
    @김현종-r8d 5 лет назад +2

    넘감사합니다..(__) 이제막 공부시작했는데 도움이되는 강좌네요..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ㅎㅎ

  • @죠르디-d6e
    @죠르디-d6e 5 лет назад +2

    ㅜㅜㅜㅜㅜ클리어부쓰편 보고 이거 보고있는데 정말 최고에여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감사합니다 ^^😍

  • @pandagun00
    @pandagun00 5 лет назад +1

    궁금했었는데 많이 알아갑니다~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

  • @literacy_01
    @literacy_01 4 года назад +1

    음 이해가 잘됬습니다 감사합니다.

  • @yonghunlee6018
    @yonghunlee6018 5 лет назад +1

    친절하게 잘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 em,rem에 익숙해지도록 해야겠네요~ 전 걍 px로 베이스 잡고 미디어쿼리로 노가다로 px값을 조정하고 있...ㅋㅋㅋ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1

      디테일한건 어쩔수없죠;; ㅎㅎ..

  • @kuyp32
    @kuyp32 5 лет назад +1

    지금 막 코딩을 일단 해보자는 식으로 하고 있는데 반응형을 만들면서 모든단위를 vw로 주고 있어요 ㅜ 어렵네요...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vw는 위험해요~ 전부다 사용하시면 힘드실것 같아요~ ㅠㅠ

  • @bea-dv5gp
    @bea-dv5gp 5 лет назад +1

    강사님 안녕하세요 혹시 종로에 어던 학원 강사님 맞으신가요?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 @rebehayan
      @rebehayan  5 лет назад

      🤔🤔🤔🤔🤔🤔 아마도 그런것 같네요ㅋㅋㅋㅋㅋ

  • @jennifer6773
    @jennifer6773 3 года назад +1

    모바일 만들거나 피시만 만들때는 px써도 되나용

    • @rebehayan
      @rebehayan  3 года назад +1

      모바일은 rem을 추천드리고 pc는 px쓰셔도 무관합니다.
      반응형은 rem을 추천드립니다.

  • @graphipro
    @graphipro 4 года назад +1

    그럼 이미지들도 rem 으로 해야하나요?

    • @rebehayan
      @rebehayan  4 года назад

      이미지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면 필요합니다 ^^.
      무조건은 아닙니다~~ 때론 %가 필요할때도 있습니다.

  • @kingchobo
    @kingchobo 2 года назад +1

    %, px, em, rem 단위가 다양해서 많이 혼동될 것 같네요.

    • @rebehayan
      @rebehayan  2 года назад +1

      사용해야할 시기가 있어서 각각 어떨때 활용해야되는지 이해가 중요할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