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목난로 화덕 아궁이 완전연소 불 피는 꿀팁 2가지는?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 фе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27

  • @배대열-l4r
    @배대열-l4r 5 лет назад +3

    늘 멋진 분!
    온기가 여기까지 느껴집니다.

    • @Bomul-farm
      @Bomul-farm  5 лет назад

      벌써 일어나셧네요~
      대한민국을 빛낸 사람 대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

    • @김종환-t6s
      @김종환-t6s 5 лет назад +1

      보물농장 왕펜 입니다 계속해서 보내주십시요 열심히 보고듣고 배우고 있어요 정인구 사장님 감사 합니다 ♡♡♡

  • @발가는데로
    @발가는데로 4 года назад +3

    불피울때 기본이랄 내용이지만 이 영상을 통해 그동안 무시하고 지나쳤던 기본을 다시 일깨울 수 있었네요...

  • @예누의아트와정원
    @예누의아트와정원 3 года назад +2

    저도 해봤는데요.정말좋은방법감사해요.굴뚝설치후 결 로 목초액이 없어지고 불때는순서도 좋아요 화실문을 열고불때면 공기가 잘들어가 잘타는데 문닫고 하면 다시 연소가 약해서 바람을 넣어줘야되더라고요.

  • @김진영-r5j2k
    @김진영-r5j2k 4 года назад +1

    석유의 도움을 받으면 좀 수월해질 것도 같네요ㅋ . 석유랑 장작 두개 넣고 먼저 예열해준 다음에 잘 타면 쑤셔넣기

  • @stations4295
    @stations4295 3 года назад +2

    난로환경이 저렇게 문을 열어놔도 연기가 잘 세지않는 경우가 드물어요
    노하우가 많이 쌓이신거 같아요
    그런데 불완전 연소 상태로 불을 피워야 오랫동안 열을 유지할수있지 않나요?
    적은 장작으로도 오랫동안 피우는게 효율적인 방식이지 않을까

    • @Bomul-farm
      @Bomul-farm  3 года назад +2

      질문 감사합니다 ~
      불완전 연소상태로는 얻고자하는 열을 얻기가 쉽지 않죠~
      완전연소상태를 길게 유지하시려면 아궁이의 개방을 조정하면 됩니다^^

  • @hectorvelandia3830
    @hectorvelandia3830 5 лет назад +3

    Es una lastima no saber leer y enteder el idioma porque asi cualquier Latino americano podria interesarce por el producto

    • @Bomul-farm
      @Bomul-farm  5 лет назад

      thanks for your visit~
      where are you from?

  • @조금현-y1e
    @조금현-y1e 4 года назад +1

    초불이전에, 밑불은 어떻게 놓나요?

    • @Bomul-farm
      @Bomul-farm  4 года назад +2

      문의주셔서 감사합니다 ~
      밑불은 아궁이 안쪽에서 피워 주시다가 초불은 아궁이 앞쪽에서 놉니다~

  • @경철-s1g
    @경철-s1g 5 лет назад +1

    영상 잘 봤습니다 예불 초불 중불에 대하여 설명이 없네요

  • @hyeongjuncheon8068
    @hyeongjuncheon8068 5 лет назад +2

    말씀하시는 소리는 너무 작고 배경음악이 어떨때는 볼륨키웠을때 크게 나와서 대략 남감하네요....
    제일 궁금한게 연도 속에 카본등의 이물질로 막히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집 내부 화목난로 바로 위 에서 ㄱ자로 꺽어지면서 외부로 나가기 전까지의 연통에서 얼마나 카본덩어리나이물질이 안끼는지 한번 영상으로 확인 해 주셨으면,
    좋겟네요 제가 의심하는 것이 아니라 저의 짧은 소견으로 내부 가로로 연결된 긴 연통에서는 안낄 수가 없다고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서요.. 부탁드립니다.

    • @Bomul-farm
      @Bomul-farm  5 лет назад

      댓글 감사합니다 ~
      연통내부에 카본이 전혀 안낄수는 없겠죠 ~
      끼는 양이 중요한데 양은 태우는 나무상태, 불때는 시간,불타는 상태등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결과도 천차만별이겠죠^^
      연통을 청소할 때 영상에 담아 보겠습니다 ~

  • @다마루-o8o
    @다마루-o8o Год назад

    나무 소모가 많지요 특별한 기술은 없네요

  • @choding00l00
    @choding00l00 3 года назад +1

    그렇게 불을 피우면 연기가 많이 나고 장작소모가 심해집니다.

    • @Bomul-farm
      @Bomul-farm  3 года назад +1

      옛날 부모님들이 불피우던 때를 기억해 보시면 이해가 될겁니다 ^^불 피울때 처음 초불은 아궁이나 연통을 가열해서 상승기류를 만드는 단계입니다
      본불은 열기를 이용키 위한 단계니까
      앞쪽에서 불을 피웁니다^^

  • @산천초목-g9b
    @산천초목-g9b 5 лет назад +2

    어려우신가봐요
    공학적 기술(이차공기투입이라든지)
    없이 자연 현상을 꿀팁이라고 ㅠ

    • @Bomul-farm
      @Bomul-farm  5 лет назад +3

      댓글 감사합니다 ~
      푸하하하 ~
      요즘 다들 어렵지 않나요?
      엄청난 공학이 감춰져 있지요~
      보실수 있는 눈이 열리시길~~

    • @이창섭-y3p
      @이창섭-y3p 2 года назад

      하루죙일 난로앞에 붙어 잇을순 없지요

  • @유희상-z7t
    @유희상-z7t 2 года назад +1

    이과도 아니고..
    더더욱 공학은 모르지만..
    나무가 타는게 아니라 나무에서 나오는 가스가 타는 것이라고요?..
    어디에 근거한 논리 인가요??..
    살면서 이런 신박한 논리는 첨 듣다 보니 당황스럽네요..

    • @Bomul-farm
      @Bomul-farm  2 года назад

      저도 처음에는 님과 같이 알고 있었는데 불을 피우면서 자세히 보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

    • @유희상-z7t
      @유희상-z7t 2 года назад

      @@Bomul-farm
      가끔씩 불멍을 때리기는 하지만..
      우리 눈에는 물리적 작용은 보여도 화학적 작용은 보이질 않지요?..
      산화가 뭔지는 아시죠?..
      불에 탄다는 것도 빠른 산화작용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조회수나 댓글수를 보면 그냥 카더라 수준으로 말씀을 하셔서는 안될거 같은데요?..
      저에겐 무척이나 신박한 논리라서 이해할 만한 근거가 있을까? 했더니 보면 이해가 될꺼라고요?..
      그냥 뇌피셜일 뿐인가 보네요??.

    • @박정수-z7j5j
      @박정수-z7j5j Год назад +1

      나무가 타는게 아니고 나무에서 나오는 가스가 타는거 마자요
      휘발류도 휘발류의 윗 가스가 타는것이고
      경유같은것은 휘발성이 낮아서 일부러 아주 입자가 작은 미스트 즉 가스 형태로 만들어 점화되는겁니다.

    • @소나기-p5v
      @소나기-p5v Год наза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