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yer 2 Switching (Store-and-Forward/Fragment-free/Cut-through)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9 фев 2025
- 제작 : IT Best-Path & NETrain(넷트레인)
강사 : Kenneth Lee (이경태)
대분류 : Layer 2
중분류 : Switch 동작원리
강의 목차
1강. Switch 4대 기능 (Learning/Forwarding/Filtering/Flooding)
▶ 2강. Layer 2 Switching (Store-and-Forward/Fragment-free/Cut-through)
3강. Backplane/Forwarding rate/Throughput/Bandwidth
@ NETrain Home : www.netrain.co.kr
@ NETrain Cafe : cafe.naver.com/netrain
@ IT Best-Path Home : www.itbestpath.com
@ IT Best-Path Forum : cert.itbestpath.com
@ IT Best-Path Blog : blog.itbestpath.com
진짜 말도 안될정도로 좋은 강의네요...ㅠㅠ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이 Live로 Open Community 하는 날이죠! 한국에 와서 구독자 분들과 첫 미팅이네요. ^^
강의 너무 좋습니다!!
항상 힘이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대박 설명이 너무 좋아요
스위칭을 공부하면서 컷쓰루 방식을 사용하면 맥테이블은 어떻게 만들지? 에 대한 의문을 잠시 품은적이 있는데... 정확하게 집어주시네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항상 유익하게 시청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10:15에 hash하는 이유에서 16bit로 해쉬할 수 있는 이유가 한 스위치에서 모든 MAC 주소 개수인 2^48 숫자가 등록된다는건 말이 안되고 총 2^16 개수를 등록할 수 있게한다하면 충분하지 않을까해서 16bit로 하지 않았을까 예상해봅니다.
맞습니다. 16bit Hash 방식으로 구성을 해서 4K, 8K, 16K 단위, 또는 32 K 단위로 MAC을 등록하여 관리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VLAN 당 최대 MAC address는 4K, 8K, 16, 32K 단위로 정의되고 Maximum MAC은 64K인 경우가 과거에는 많았습니다..최근에는 17bit 방식으로 늘려서 128K 까지 되는 장비가 많습니다.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스위치에 A컴퓨터와 B컴퓨터가 연결되어 있고 mac adress table에 각 컴퓨터의 mac 주소가 저장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A컴퓨터를 다른 포트에 연결한 상황에서 B컴퓨터가 A컴퓨터에 데이터를 스위치를 통해 전송하면 A컴퓨터가 다른 포트에 연결하기 전 포트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는 건가요?
스위치는 Port가 Down되면 해당 Port에서 Dynamic하게 학습한 MAC은 모두 삭제됩니다. 그러므로 PC의 MAC은 이전 Port에서 Unplug 되는 순간 MAC address table에서 사라지게 되죠!
스위치 -> 스위치 -> 스위치 이런식으로 되어 있는 경우라면 모를까... 한 스위치에서 이전 Port로 갈 일은 없습니다.
@@ITBestPath 오 감사합니다!!!!
그럼 Store-and-Forward 방식은 ASIC 카드가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부분을 제외하곤 Data Plane에선 하는 일이 없는 건가요?
ASIC 이란 application(software)이 하는 일을 hardware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그래서, 장비마다, 제조사마다 기능 범위가 다릅니다! Switch에서 hardware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data plane에서 하는 일이 많아지겠죠! ^^
@@ITBestPath 아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CAM Table은 cisco 벤더가 아닌 다른벤더에서도 동일하게 사용되는 개념일까요(예를 들어 주니퍼나..) ?
CAM(Content Addressable Memory)과 TCAM(Ternary Content Addressable Memory)은 공통입니다. 참고로 주니퍼 TCAM 내용입니다. (www.juniper.net/documentation/en_US/junos/topics/concept/dtcam-acx-series.html)
@@ITBestPath 감사합니다. 이상하게도 주니퍼 사이트는 접속에 에러가 발생하네요.
www.juniper.net/documentation/en_US/junos/topics/concept/dtcam-acx-series.html
마지막 괄호까지 URL이 되어 있었네요.
ingress egress =ASIC 카드
예, Software가 하던 일들을 Hardware로 처리하는 Card를 ASIC card라 하니 결국 ingress, egress 모두 수행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