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군이 보유한 대인지뢰. 발목지뢰, 도약지뢰. 한이 많은 무기체계

Поделиться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31 янв 2025

Комментарии •

  • @hohohaha4543
    @hohohaha4543 2 года назад +16

    구독자 4만이네요
    올해 안에는 10만 돌파되기를..

  • @인묵최-h9i
    @인묵최-h9i 2 года назад +14

    감사합니다 선생님
    내일이면
    구독자 4만명이 되겠습니다
    3만명이 지닌 6월 17일 이였 습니다
    미리 축하 드립니다
    늘 건강 하세요

  • @lowtop1000
    @lowtop1000 2 года назад +8

    항상 높은 품질의 지식을 전달해 주시네요

  • @むぎ-k8t
    @むぎ-k8t 2 года назад +7

    항상 수고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아이스아메리카노-w1v
    @아이스아메리카노-w1v 2 года назад +11

    박사님 오늘도 고맙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 @hsk4215
    @hsk4215 2 года назад +3

    구독자 4만 돌파 축하드립니다 짝짝!
    40만 돌파 보고싶네요~

  • @gadaegi
    @gadaegi 2 года назад +9

    예전에도 군생활할때 사고사례나. . 근래에도 유실지뢰로 외국인 노동자들중에 사고가 있었더군요.
    그 오랜 시간에도 작동한다는데 놀랍기도하고 참.. 어찌하기도힘들고

  • @artmouse74
    @artmouse74 2 года назад +6

    구독자 4만 축하드려요🎉

  • @leebyungchul9537
    @leebyungchul9537 2 года назад +3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 @thecorea
    @thecorea Год назад +1

    탐지안되는 최악의 발목지뢰.. 프라스틱으로 반영구라는게 골치죠..
    도약지뢰는 공중폭박은 끔직하죠..밟고나서 발을 띠어야 올라오죠. 영화에서 밟고 꼼작못하는 상황이 나올수 있죠.
    인계철선은 핀빠지면 바로 올라와 터지고..

  • @magmagie7425
    @magmagie7425 2 года назад +11

    폭약종류 TNT, Composition B, Pentolite, Tetryl, RDX, PETN 은 화학적으로 상당히 오래 간다고 합니다. 보관만 잘하면 백년도 쓸 수 있다고 하네요.
    캔에 들어 있는 테트릴은 밀봉이 되어 있다면 반영구적일 겁니다.
    뇌관이 못쓰게 되거나 외장이 오래 되어서 금이 가 습기에 노출되거나 여름이나 겨울 열교차로 못쓰게 되기를 바랍니다.

  • @jango2184
    @jango2184 2 года назад +6

    4만 축하드립니다 ^^

  • @isjoo6501
    @isjoo6501 2 года назад +4

    지뢰지대 구축과 제거에는 공병부대에서도 주로 하지만
    지뢰지도 구축에는 보병부대에서도 많이 매설 합니다
    전시 전방 사단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여러곳의 적전차 차단선을 구축해야 하고
    일반인이 놀랄 정도로 넓고 길다랏게 계획적으로 구축하고 지도에 표시를 해두는데
    대전차 지뢰1에 대인지뢰 2~3 발목지뢰 2~3 비율로 여러 겹을 설치하고 제거와 접근을 어렵게 하기위해서 부비트렙과 철조망 지대를 조합하기도 합니다
    주방어지역 전방일 경우 대전차 무기와 기관총 진지를 구축하기도 하죠
    도로 대화구는 긴급하게 적전차를 지연할 목적으로 도로에 구덩이를 파서 아군의 후퇴할 시간을 벌거나 대전차 무기로 기습이 필요할때 쓰기도 하는데
    이도 장벽지대(철조망지대와 지뢰지대를) 및 대전차 와 기관총 진지와 혼용하여 설치하죠

  • @이준석-w7d
    @이준석-w7d 2 года назад +3

    중리산일대 매설된 발목지뢰는 한 20여년전 지뢰제거 작전 실시했다네요 그러나 아직도 미회수된 지뢰가 남아있는걸로 추정된다는군요
    그리고 부산뿐만 아니라 전국 방공기지에 매설된 지뢰가 상당하네요 자료보니

  • @warriet29
    @warriet29 2 года назад +7

    저 군생활 할 때만 해도 발목지뢰는 꽤 흔했고, 당시엔 언론에 나오지는 않았지만 지뢰사고도 자주 발생했었지요. 북한군 잡으려는 지뢰에 탈영병이 먼저 잡힌다는 농담 아닌 농담도 했을 정도였지요. JSA영화에서처럼 벌초작업 못하는 지역에 불을 내면 지뢰가 여기저기서 터지곤 했었지요. 최근엔 사고가 나면 언론에 나올텐데 소식이 없는걸 보니 소해작업을 많이 했나봅니다.

  • @enothyoon1096
    @enothyoon1096 2 года назад +3

    91년 말인가 92년 초인가? 기억도 안나는데 정말 힘든 과정을 통해서 수도통합병원에 몇달 입원해 있었는데(쥐가 뛰어다니는 불결, 환자가 죽기를 바라는지 의문스러운 영양실조를 바라는 배식등...) 어느 병사 (상병? 이었던것으로 기억)가 헬기로 수송되어서 병동에 들어오는데 옷이 매우 깨끗했음. 정신을 잃은 상태였는데 뭔가 이상해서 보니 한쪽에 전투화가 없는 상태였음. 고무링은 끼어져 있었고... 그이하가 없었음.
    그날 밤에 몇번 신음하더니 그 이후에 명랑한 척을 하는지 웃으면서 지내는 모습을 봤던 기억이남. 말로만 듣던 발목지뢰... 그 지뢰가 남기는 것을 느꼈던 그런 경험이었음.
    대조적으로 특전사 중사인가가 술마시고 오토바이타다가 사고로 들어왔는데 아프라도 고래고래 소리를 질러대서 병동바깥으로 침대체 쫓겨났던 기억이 남 그때 선글라스낀 상사인가가 몇번 쥐어밖던 기억도... 뭐 몇일후에는 그냥 아저씨였지만...

  • @357LoGo
    @357LoGo 2 года назад +3

    금속탐지가 불가능한 악명의 나치의 유리지뢰 때문에 접근 금지된 지역이 아직 있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예전에 접한 지뢰로 부비트랩을 만드는 방식을 보면 가장 안전하게 제거하는것은 하나하나 찾아서 폭약으로 유폭시키는것 뿐이라..
    시간과 자금이 엄청나게 드는것 같습니다.
    예전 기억으로는 북한에서 식물의 잎처럼 생긴 지뢰도 배포했다는 이야기도...

  • @정수호-j6z
    @정수호-j6z 2 года назад +1

    구독자 4만 축하드려요

  • @여름이아빠-i7n
    @여름이아빠-i7n 2 года назад +2

    아마 공병보다 보병이 담당하는 지뢰매설 비중이 월등히 높을것입니다. 방어거점 도착해서 주력으로 하는게 개활지상 지뢰-철조망 장애물지대 구축이었는데 생각보다 꽤 방대합니다. 문제는 일상적인 작업들과 다른 교육훈련이 많다보니 정작 해당 요원들의 숙련도에 문제가 있고, gop근무교대와 전역등으로 인해 병 뿐만이니라 소-중대장 간부들도 역량을 못갖추고 있는게 현실이라고 봅니다. 교범 보고 학습하고, 공병부대 방문해서 실물실습하는데~ 사실상 간부의 존재감은 없고 병사들이 터득해가면서 실행하는거죠. 요즘에는 복무기간도 짧아서 담당소대 내력으로 전해지는 노하우 전달도 잘 안될것 같습니다. 물론 지뢰라는게 간단해서 짧은 학습만으로도 충분히 다룰수 있지만,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되는건 여전할것 같습니다.

  • @wwkkkk9684
    @wwkkkk9684 2 года назад +1

    29그람 폭약이 shaped charged 형상이네요. 발목이 jet에 박살나는 구조군요..

  • @chansung71
    @chansung71 2 года назад +2

    지금이야 그렇지
    내 군생활할때 밀린다는 개념으로
    저 지뢰 신뢰했다

  • @parmenideskim9739
    @parmenideskim9739 2 года назад +2

    현존하는 최고의 지뢰탐지기는 "개"라고 들었습니다. 지뢰가 쇠로 되있건 나무로 되있건 개는 공기중에 떠돌아다니는 극미량의 화약을 탐지해 미사일 시커처럼 방향과 거리를 측정해 찾아간다네요. 미육군에서 오랫동안 인공 개코를 만들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지만 실패했다고 합니다. 현존하는 그 어떤 센서도 개코정도의 민감도와 분별능을 획득하지 못 했다고 합니다. 일단 개의 코 구조가 민감도를 극도로 올리는 구조로 되있어 만들다 만 인공개코도 생긴게 개코와 비슷하다고 하네요. 거기다 개의 뇌 속에선 고도의 기계학습이나 인공지능같은 방식으로 노이즈 필터링을 하는 것 같습니다.

  • @서영준-h4h
    @서영준-h4h 2 года назад +1

    도약지뢰는 언제봐도 잔인하고 무섭네요.

  • @jango2184
    @jango2184 2 года назад +1

    고체연료 로켓에 대한 논평 부탁드립니다

  • @biwai3946
    @biwai3946 2 года назад +2

    출석

  • @mbsim5679
    @mbsim5679 2 года назад +2

    M14는 야구공이아니라 골프공만 합니다
    한국군이 쓰는 km14는 지탐기에 잡히게
    와셔 넣는다고 했지만 유실이 잘된다 합니다

  • @jinshiksung
    @jinshiksung 2 года назад +1

    로드에는 아스팔트에 파묻기 힘들어서 요즘은 부비트랩 트리거 미사일 지향사격 시스템

  • @마룡-s6y
    @마룡-s6y 2 года назад +2

    아하~

  • @고인돌-s6z
    @고인돌-s6z 2 года назад +1

    테트릴이 TNT보다 위력이 약간 약하다고 하셨는데 아닙니다 TNT보다 1.25배 강합니다(위력계수 1,25)

  • @추공-j5i
    @추공-j5i 2 года назад +1

    창동국군병원에서 만낫던 동기. 이넘은 gop에서 족구하다가 공줒으러 갓다가 대인지뢰 밟아서 실려온 놈이엇는데
    다행인지 불행인지 모르겟지만 발목이 날아가진 않앗고 복합골절이 와서 장애인으로 살아야 한다는 진단을 받앗는데
    생활하는건 밝앗엇다는..........잘 살고 잇냐????? 지뢰 어뢰 이런 무기는 참 비인간적인 무기체계가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 @업로드-n1v
    @업로드-n1v 2 года назад +2

    효과적인 무기지만 휴전선을 따라서 묻힌 지뢰는 필요라고 주장하지만 속 내용은 미국이 우리가 소통하는 것을 몹시 경계하는 마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미국의 의도가 맞다면 동포는 오히려 러시아랑 군사 동맹을 맺어서 현재 있는 전선을 일본 쪽으로 물리고 그래서 쎄지게 되는 우리 국력으로 일본 왕권을 없애고 흡수했으면 좋겠습니다.

  • @ninek4120
    @ninek4120 2 года назад +1

    발목지뢰 너무 끔찍하다 ㅠㅠ

  • @자미성-c5l
    @자미성-c5l 2 года назад +8

    정치적인 목적이든 무식해서 그러던 국민목줄 잡고 놀고 있는 정부가 참 역격네요 거기에 유검무죄 유검무죄

  • @대차게살자
    @대차게살자 2 года назад +2

    용산에다가 좀. 어디 외국에 못나가도록…

  • @김영희-t2x
    @김영희-t2x 2 года назад +3

    100년묵은지뢰가 강남에 또아리 틀어
    가난한집아들 최전방에보내 지들 알 지키라고하는 나라도 있습니다.

  • @타우러스-q1c
    @타우러스-q1c 2 года назад +3

    선생님 우리나라가 개발하는 자폭드론이
    무엇이 있는지 궁굼합니다 그리고 이란 자폭드론 북한 자폭드론
    비교 부탁드려도 될까요

  • @kjchoi7853
    @kjchoi7853 2 года назад +2

    한국 군발이. 답없는 집단.

    • @nondam_4u
      @nondam_4u 2 года назад +5

      비난 범위가 너무 넓은 거 아닌가?

    • @357LoGo
      @357LoGo 2 года назад +4

      군발이라는 단어가 나이들고 세상사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갈수록 없어져야 하는 의미가 아닌가 생각하게됨

    • @JAN_BEER
      @JAN_BEER 2 года назад +2

      나 못날걸 왜 남탓을 하는지...
      과정이 옳은 비판은 사회를 바로세우지만
      맹목적인 비난,조롱,혐오는 사회의 앎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