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3년차 백엔드 개발자의 후회
HTML-код
- Опубликовано: 7 фев 2025
- 🧑🏻💻 SI 3년차 백엔드 개발자의 후회
🔍 링크모음 : solo.to/dongju...
🔥 이력서판매 - 템플릿/합격이력서/기업추천
🦄 유데미강의 - 실전 프로젝트 설계
🍀 인프런강의 - AWS서버리스
🍀 인프런강의 - AWS ElasticSearch
🍀 인프런강의 - Express + AWS EC2 RDS
🍀 인프런강의 - 이력서 포트폴리오
🍀 인프런강의 - 프론트엔드 로드맵(전자책증정)
🍀 인프런강의 - 백엔드 로드맵(전자책증정)
🎧 이력서, 포트폴리오 상담
📚 전자책 (프론트엔드 로드맵)
📔 전자책 (백엔드 로드맵)
🍓 디스코드 커뮤니티 - 구독하시고 디스코드에 질문해보세요!
👩🏻💻 합격 데이터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
🔍 solo.to/dongjun_yang
✅ 합격자 이력서 / 관련 노하우 판매중
✅ 기업 관련 B2B 서비스 운영
요즘 개발 관련 글들을 스레드에서 많이 접하는데 어떤 분께서 당근도 1000만 사용자가 돼서야 msa 같은 것들 도입했다는데 작은 기업에서 msa, 대용량 트래픽 처리 기술 도입하는 것은 순전히 자기 스펙 때문 아닌가 ? 라는 글을 봤는데 뭔가 맞는 것 같기도 하면서 개소리인것 같기도 하고 그랬네요 ㅋㅋ
솔직히 필요없는데 그냥 잘나가는곳들이 쓰니깐 쓰는곳이 꽤 많을거라 생각합니다 ㅋㅋ
@@마틴-t4d 요즘 스레드 보는 맛에 삽니다 재밌어요 ㅋㅋ
일종의 유행, 패션개발
산업 분야마다 다를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 b2b 서비스 스타트업은 오버스펙일수 있는 부분이 많을것이라고 생각하네요. 개발자 입장에선 개꿀이 맞음.
저희는 10명 언저리 스타트업인데 정부과제 중에 msa, 카프카 등 신기술써서 서비스 운영해 보겠다고 보고서 제출하니까 통과되고 투자받아서 사용한 케이스네요..
풀스택을 원한다: 기업 업무가 개빡세고, 경력도 어정쩡하게 쌓을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유튜버분이 말하는거처럼 3년전 공고하고 지금 공고가 다른거면 트렌드가 굉장히 빠른건데, 개발자 5,6년하고 때려칠것도 아니고 3년차면 30초일거 같은데. 지금 트렌드의 기술스택과 맞지않아서 경력이 망했다? 음.. 잘 와닿진 않네요
달리기를 하는데 30초 늦게 출발한다. 이게 얼마나 의미 있는 시간인지 잘 모르시는 것 같네요.
남들만큼 뛰려면 2~3배는 빨리 뛰어야 되는겁니다.
@@1_2_52 그렇지도 않아요
동준님 신입으로 입사한지 벌써 4개월차가 되어가네요. 백엔드 노드로 들어갔지만 첫 프로젝트가 리액트 개발이라 노베이스로 리액트 개발을 하고 있는데, 그냥 기능만 돌아가도록 useState랑 useEffect로 적당하게 상태관리와 랜더링으로 개발하며 코드 읽고 이해하는 속도와 빠르게 개발하는 법이나 익히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맞는지 모르겠네요. 그래도 혼자서 독학할때보다 저보다 조금이라도 더 잘하는 사람을 옆에서 볼 수 있어서 혼자서 공부할 때보단 자극도 많이되고 영감도 많이 받는데, SI에서의 경험이 개발자로서의 경험에 도움이 되는게 맞는지 고민이 많네요.
그나마 타입스크립트를 쓰는 리액트라서 불만이 덜하지만 그래도 신입 백엔드는 백엔드 업무만 하더라도 정신없을텐데 굳이 기술스택을 늘리는게 과연 맞나 싶기도 하고 그렇네요
프백 나누는거 진짜 별로라고 생각하긴 했어요
규모가 큰 경우에서나 효율적일 수 있지 얼마 되지도않는곳 까지 나눠서 해버리니 업무 효율도 안나고 인건비만 엄청 잡아먹는경우가 많더라고요
대학 다니던 중 스타트업 회사의 인턴 붙게 되었는데 제가 가고 싶은 분야랑 조금 다른 회사라 고민입니다.
일단 취업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가고 싶은 회사를 목표로 좀 더 공부하며 준비하는게 맞을까요?
신입공고에도 docker cicd많이 보이는데.. 경력이면뭐 당연할듯요
혹시.노트앱 어디껀지.알수잇을까요
excalidraw.com
국내에서 제대로된 msa, 대용량 처리를 경험할 수 있는 직장이 정말로 많은가요?
공고에 msa가 있다면 거의 쓰는 기업일겁니다
배민 같은데나 제대로 msa쓰지 나머지는 다 핫바리 입니다... 말만 다 MSA지. 1개 서버 죽으면 다른 서버 다 사이드 이펙트가 가게끔 돼 있습니다.
@@koiw1202 배민도 그런데요 ?ㅋㅋ 김영한이가 입을 너무 잘털어놨어
@@koiw1202 ㅇㄱㄹㅇ
Docker는 3일만 투자해도 이해 될텐데,
기본기 & 자신감 부족인듯.. 아무리 트렌드가 빠르게 발전한다하더라도.. 기본기만 있으면.. 금방 익힐텐데.. 사실 회사에서 공부하는게 개꿀이고.. 배운거 금방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수 있는건데.. 배움의 여건도 취준생보다 몇배는 유리한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