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맞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하시면 영상과 같은 용접기가 되죠... 그런데 LiPo배터리를 이용한 모든 용접기는 비추합니다 위 영상을 만들고 한참 뒤에 알게되었는데.. LiPo배터리의 특성이 과충전 과방전에 매우 민감하여 순간 적이지만 대전류를 사용하는 스폿 용접기에는 조합이 매우 안 좋더군요 저도 배터리를 몇번 못쓰고 2번이나 갈았습니다 용접보드는 멀쩡한데 말이죠.. 하여 지금은 트랜스포머를 사용한 용접기를 새로 만들어 사용중인데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For spot welding A battery with an instantaneous C-rating of 100A or more is required. The battery performance used in this video is 180A (3Ax60c) Spot welding can be done with an automatic battery, but it should be around 100A 12v 1c thank you for watching
@@letsdiy9521 May I ask what external power supply you used for sourcing the Pcb ? 12V ? and how many Amps 2-3 amps is enough?I now this mosfet fail(blow) if voltage drop under 10v ( internal resistance increase and burn mosfet)
네 맞습니다 7~12V의 전원을 공급해 주시면 됩니다 말씀처럼 휴대용 미니 스폿기는 태생적으로 모스펫이 적으며 용접 선도 얇고 무엇보다 단일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장 확률이 높습니다 자작한 영상의 제품은 현재도 문제없이 잘 사용 중이어서 더 업그레이드된 보드는 관심을 둬 본 적이 없네요
안녕하세요. 님의 영상을 보고 만들어 봤습니다. 그런데 캐페시터가 없어 보드만 님의 빙식식데로 만들었는데 용접할 때 지연이 안되고 봉을 대는 순간 팍 튀는 현상이 있고 균일하게 스폿이 안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혹시 캐페시터는 어떤 것을 달아야 하는지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저와 같이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였다면 캐패시터는 전혀 필요 없습니다 다만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용접용 전원(리포배터리)만 연결하고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캐패시터가 필요하고 캐패시터 역할은 용접 순간 절력이 다운되어 모스팻에 전력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캐패시터의 용량은 클수록 좋으나 용접 품질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리고 자꾸 튄다고 하시는데 스폿용접기의 특성이 원래 그렇습니다 0.1초 정도의 시간으로 용접이 되는 것이기에 그렇습니다 만약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만큼 시간 지연이 된다면 니켈이 다 타버릴것입니다
3000mAh 배터리를 사용해 3s 11,1v 20a(30개)를 무리없이 만들어 본적이 있습니다만 용접강도 설정 등에 따라 사용가능 횟수가 달랄질 수 있으며 정확한 테스트는 하지못했습니다 1회 충전시 18650 50개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그리고 납산배터리 12v 80Ah로도 충분히 용접가능합니다 영상에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여쭤 볼께요. XT90단자의 허용전류가 90A인데.....8AWG실리콘 케이블 추천 전류는 190A인걸로 아는데...리튬폴리모 배터리 최대 전류가 3000mAh×60C= 180A이고....그래서 8AWG실리콘 케이블도 괜찮다고 하신것 같습니다. 근데 XT90단자는 허용 전류가 90A밖에 되지 않는데....괜찮은지요?
@@수수깡-j8z 제작상 XT90단자 보다 더 큰 전류를 수용하는 단차를 채용하기 어렵고 허용전류가 90A 이지만 아주 짧은 순간적인 전류를 사용하기에 더큰 전류를 보낼 수 있고 열이 발생하거나 해서 무리가 가지는 않습니다 제대로 용접을 하려면 150A이상이 필요한데 원래 보드에 장착된 단자는 XT60 입니다 전공이 아니라서 정확한 이론은 설명드릴 수 없네요..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저도 배터리를 이용한 스팟용접기 DIY를 하고싶은데, 베터리에 조금 고민이 있습니다. 현재 제 집에 11.1V 1800mah에 30C의 베터리가 있는데 최대 방전량?용량? 이 약 54암페어라 스팟용접에는 적절하지 않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스팟용접용 베터리는 따로 하나 사고 이녀석은 회로용 베터리로 사용할려고 하는데, 이녀석 회로용으로 충분할까요?
영상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처럼 최대 방전량 54암페어는 너무 약합니다 최소 11.1v 150A 정도는 되어야 될 것 같으며 제가 사용한 배터리는 180A 입니다 그리고 회로 구동용으로는 용량이 충분하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에는 종지전압 관리회로가 없으니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나 12v 아답터를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ㅎ
good equipment and good skills! hello bro, if there is a choice of battery 2s 7600 mAH 120C, with 3s 2200 mAH 12OC, which one is the best for this tool? thank you and subscribe
저도 처음 공PCB에 부품 직접 실장해서 만든제품이 터진적이 있는데 회로전원을 따로줘야 안터지는군요,혹시 회로전원은 12V로 하고 리포4셀 5000미리 110C 이배터리(16.8V)로 써도 될까요? PCB제원에는 7~12V 로 되어있는데 이게 회로전원에만 국한 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전 스폿 용접기, 보내주신 아두이노 코드 적용해서 완성품까지 만들었으나 중국산 SSR을 사용해서일까요. 워낙 똥손이라 동작을 안해서 선생님과 같은 SSR을 재구매해서 수정대기 중입니다-_-;;; 그런데 훨씬 간단하고(?) 완성도 높은 업그레이드 작품을 올려주시네요. 우선 첫번째 작품 완성후 두번째 작품도 도전해보겠습니다! 완성작 메일로 보내드려도 될런지... 좋은하루 되십시요^^
안녕하세요 ㅎ 반갑습니다 SSR은 테스트해 보시면 고장 유무를 바로 알 수 있을텐데요? 트랜스 방식과 배터리 방식은 장단점이 명확하기에 용도에 맞춰 만드시면 됩니다만 저 처럼 기계를 좋아하시면 둘다 있는 게 든든하죠 자꾸 작품이라 하시니 부끄럽습니다만 기분은 좋아집니다 ㅎㅎ 아무튼 이번에도 꼭 성공을 바라며 완성하신 작품 저도 보고싶네요 메일 꼭 주세요~
안녕하세요. 용접시 6awg 케이블 보다 여유로운 감은(느낌) 없지만 8awg 케이블과 xt 60단자로 0.2T까지는 무난히 용접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중 전원을 사용하면 콘덴서는 필요 없습니다 만 저는 보드 구입시 딸려온 거라 그냥 붙였습니다 (단일 전원시 필요) 영상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용접하는 전류값이 회로에 유입되어 mosfet을 손상시킬수 있다는 말씀이군요. 그러면 알리에서 파는 미니 스폿 용접기에 회로 인입 전류만 단락시키고 따로 공급하는 것도 방법이겠네요.
네 맞습니다 말씀하신대로 하시면 영상과 같은 용접기가 되죠... 그런데 LiPo배터리를 이용한 모든 용접기는 비추합니다 위 영상을 만들고 한참 뒤에 알게되었는데.. LiPo배터리의 특성이 과충전 과방전에 매우 민감하여 순간 적이지만 대전류를 사용하는 스폿 용접기에는 조합이 매우 안 좋더군요
저도 배터리를 몇번 못쓰고 2번이나 갈았습니다 용접보드는 멀쩡한데 말이죠.. 하여 지금은 트랜스포머를 사용한 용접기를 새로 만들어 사용중인데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great job! brilliant enclosure. artistic! but from technical point of view, why are there 2 batteries in this design?
Dual power is used to protect the board (MOSFET)
See the More section for more details.
@@letsdiy9521 thaaanks!
What PCb use for sourcing this mosfet? and is better use Lipo battery os Lead auto battery 40Ah/CCR 300 ampa for example?
Thanks man
For spot welding
A battery with an instantaneous C-rating of 100A or more is required.
The battery performance used in this video is 180A (3Ax60c)
Spot welding can be done with an automatic battery, but it should be around 100A 12v 1c
thank you for watching
@@letsdiy9521 Thanks man👍
@@letsdiy9521 May I ask what external power supply you used for sourcing the Pcb ? 12V ? and how many Amps 2-3 amps is enough?I now this mosfet fail(blow) if voltage drop under 10v ( internal resistance increase and burn mosfet)
@@MihaSun 7v~15v 1A is enough for PCB driving power and it drives safely
@@letsdiy9521 thanks very much
자작에 늦게 입문해서 검색하다 영상을 시청했습니다 보드에 별도전원은 배터리 관계없이 12v만 넣어주면 되는건가요?? 알리서 파는 휴대 미니 스폿기보다 MOS칩이 마니 들어가 있네요
한번 만들어볼려고 합니다 수정버전이나 새로운게 있으면 링크 주시면 보고 공부하겠습니다
네 맞습니다 7~12V의 전원을 공급해 주시면 됩니다
말씀처럼 휴대용 미니 스폿기는 태생적으로 모스펫이 적으며 용접 선도 얇고 무엇보다 단일 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장 확률이 높습니다
자작한 영상의 제품은 현재도 문제없이 잘 사용 중이어서 더 업그레이드된 보드는 관심을 둬 본 적이 없네요
@@letsdiy9521 12v 5a 남는 아답타가 있어서요 여기다 쓰면 되겠네요 재료사러 가야겠네요
@@이댕기-m9y 00
where is the link for the display ?
Nice work! Someone can put english subtitles for the corean caption shown in the video? thanks
Of course you can put English subtitles!
I am not able to understand why u added two batteries pls explain
Please click more below the video Thank you
제 댓글이 삭제 되었네요.
위 형태와 비슷한 DC 스폿기는 (모스펫 5개 짜리)
제가 구매한 제품은 배터리 +극 IN과 OUT이 한 라인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두 용접봉 중 어느 극성을 배터리에 바로 연결해야 하나요?
회로를 못봐서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극을 다이렉트로 연결하면 될겁니다
안녕하세요.
님의 영상을 보고 만들어 봤습니다.
그런데 캐페시터가 없어 보드만 님의 빙식식데로 만들었는데 용접할 때 지연이 안되고 봉을 대는 순간 팍 튀는 현상이 있고 균일하게 스폿이 안되는 증상이 있습니다.
혹시 캐페시터는 어떤 것을 달아야 하는지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떤 보드를 사용하셨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만 튀는 현상과 균일성 유지는 콘덴서와는 전혀 관계가 없고 용접선의 굵기와 용접봉 청결성 그리고 배터리의 용량과 관계가 있습니다 영상의 콘덴서는 1000uF입니다
님하고 같은 보드입니다.
캐페시터는 12v1000uf라는 말씀인가요?
저와 같이 별도의 전원을 연결하였다면 캐패시터는 전혀 필요 없습니다 다만 별도의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용접용 전원(리포배터리)만 연결하고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캐패시터가 필요하고 캐패시터 역할은 용접 순간 절력이 다운되어 모스팻에 전력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캐패시터의 용량은 클수록 좋으나 용접 품질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리고 자꾸 튄다고 하시는데 스폿용접기의 특성이 원래 그렇습니다 0.1초 정도의 시간으로 용접이 되는 것이기에 그렇습니다 만약 사람이 느낄 수 있는 만큼 시간 지연이 된다면 니켈이 다 타버릴것입니다
리포배터리에서 스폿용접봉과 보드로 전원을 연결하고
리포배터리에서 12v전원을 따로 빼서 연결했습니다.
님이 하신 것 처럼요.^^
아.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각각 전원을 연결해야 겠네요.
착오가 있었습니다.
Great video. May I ask how many welds are You able do with this modification, till welder is overheat and it must have a break to cool it down?
It doesn't overheat at all because it has 8 MOSFETs.
(when used continuously for 1 hour)
thank you for watching my video
좋은 영상입니다,,,,,콘트롤전압공급은 스폿기 용접선 마이너스와 같이 물리는데 맞는건지요?그리고 양극선은 그냥 스폿기를 거치지않고 출력으로 뽑는걸로 보이는데 제가 잘 본것인지요,,감사합니다,,판매처 사진과 좀 달라서 헌덩이옵니다,,,,,
네 말씀대로 마이너스 선은 보드의 구동전원과 용접 전원과 같이 물리는 것 마고요
용접 전원 (리튬폴리머 배터리)플러스 선은
다이렉트로 용접봉으로 갑니다
용접 전원 마이너스를 보드에서 제어합니다.
@@letsdiy9521 영상을 잘 만드셔서 보고 따라하기 가 가능할것같아 주문했습니다,,,,감사합니다,,,,이런 재미를 경험하게 해주셔서요,,,,,
@@stanleyjang4015 영상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크게 어려운 건 없으니... 꼭 성공하시셔서 소소한 재미를 느끼시길 바랍니다 ㅎ
영상 잘 보았습니다 . PCB 왼편 아래쪽에 GND / KEY 로 표시된것이 있는데 여기에 KEY(택트스위치)를 연결해 보니 전혀 반응이 없는데 어떻게 쓰는지 부탁 드립니다 .
트리거 버튼 스위치 텝일겁니다 (수동으로 용접할때 사용) 안 해봐서 정확히는 모르겠네요
m.ruclips.net/video/0-OmBPwmKk4/видео.html 3:00min
영상 너무 잘 봤습니다. Lipo배터리 3000mAh사용하면 한번에 충전없이 얼마나 사용가능할까요? 또 Lipo배터리 대신 납산배터리 12v 80Ah사용해도 가능한지요?
3000mAh 배터리를 사용해 3s 11,1v 20a(30개)를
무리없이 만들어 본적이 있습니다만
용접강도 설정 등에 따라 사용가능 횟수가 달랄질 수 있으며
정확한 테스트는 하지못했습니다
1회 충전시 18650 50개 정도는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그리고 납산배터리 12v 80Ah로도 충분히 용접가능합니다
영상에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letsdiy9521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편안한 주말 되십시오. 구독^^ 좋아요는 행복입니다^^
하나만 더 여쭤 볼께요. XT90단자의 허용전류가 90A인데.....8AWG실리콘 케이블 추천 전류는 190A인걸로 아는데...리튬폴리모 배터리 최대 전류가 3000mAh×60C= 180A이고....그래서 8AWG실리콘 케이블도 괜찮다고 하신것 같습니다. 근데 XT90단자는 허용 전류가 90A밖에 되지 않는데....괜찮은지요?
@@수수깡-j8z 제작상 XT90단자 보다 더 큰 전류를 수용하는 단차를 채용하기 어렵고
허용전류가 90A 이지만
아주 짧은 순간적인 전류를 사용하기에 더큰 전류를 보낼 수 있고
열이 발생하거나 해서 무리가 가지는 않습니다
제대로 용접을 하려면 150A이상이 필요한데
원래 보드에 장착된 단자는 XT60 입니다
전공이 아니라서 정확한 이론은 설명드릴 수 없네요..
@@letsdiy9521 감사합니다. 보드에는 XT60이 달려 있죠 ㅎㅎ
а батареи как у вас хватает по мощности, или подскажите какую батарею лутше купить для этой сварки
영상 너무 잘봤습니다. 저도 배터리를 이용한 스팟용접기 DIY를 하고싶은데, 베터리에 조금 고민이 있습니다. 현재 제 집에 11.1V 1800mah에 30C의 베터리가 있는데 최대 방전량?용량? 이 약 54암페어라 스팟용접에는 적절하지 않은거 같습니다. 그래서 스팟용접용 베터리는 따로 하나 사고 이녀석은 회로용 베터리로 사용할려고 하는데, 이녀석 회로용으로 충분할까요?
영상관심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처럼 최대 방전량 54암페어는 너무 약합니다
최소 11.1v 150A 정도는 되어야 될 것 같으며
제가 사용한 배터리는 180A 입니다
그리고 회로 구동용으로는 용량이 충분하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에는 종지전압 관리회로가 없으니
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나 12v 아답터를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ㅎ
@@letsdiy9521 답변 감사합니다! 참고해서 멋지게 함 만들어봐야겠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good equipment and good skills! hello bro, if there is a choice of battery 2s 7600 mAH 120C, with 3s 2200 mAH 12OC, which one is the best for this tool?
thank you and subscribe
Both types of batteries are very good batteries.
I would choose the 2s 7600 mAH 120C battery because it will last longer.
멋찌네요 나중에 한번 만들어보고싶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꼭 만들어 보세요~
저도 처음 공PCB에 부품 직접 실장해서 만든제품이 터진적이 있는데 회로전원을 따로줘야 안터지는군요,혹시 회로전원은 12V로 하고 리포4셀 5000미리 110C 이배터리(16.8V)로 써도 될까요? PCB제원에는 7~12V 로 되어있는데 이게 회로전원에만 국한 된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답변이 많이 늦었네요
별도로 회로전원은 12V로하시면 되는데 16.8V는 일반적이지는 않은 전압입니다 용접 전압이 너무 높아 용접이 잘 안되며 불꽃도 많이 튀고 보드에도 안 좋을 것 같습니다
와우..작은크기에 성능이 좋습니다. 가지고 싶습니다.
혹시, 테스트한 니켈은 순수니켈인가요? 또한, 핸들에 미니 스팟스위치는 달수 없나요?
링코어 수지 1.5k 무거워서 가벼운걸 찾고 있습니다 ^^
네 저도 예상보다 성능이 좋아서 놀랐습니다 ㅎ
보드 기능 중에 수동 모드가 있어 핸들에 스위치 연결가능 합니다만 자주 사용할 게아니라서 안 달았네요
@@letsdiy9521 답글 감사합니다. ^^
볼트메타가 특이 하네요
전류계인지 볼트메타 led숫자판은 그리 크지 않은데 볼트메타 같은데 뒷편에 ㄷ자 구리심 박혀 있군요
전압만 표기되는 0.36" 볼트메타로 달아도 되는지요
네 전류,전압 겸용인데 집에 있는거라 그냥 사용했고요
전압계 전용으로 달으면 더 좋죠~
Podrias poner en la descripción el enlace para comprar los productos necesarios para realizarlo?
yes i will Thank you for your interest in my video
а какой провод использовали 6 awg или 8 awg??
I used 6 awg
but 8 awg is also possible
@@letsdiy9521 спасибо
а сколько метров??
@@СергейШаловский-ю9э Length is 45cm
Nice project. I liked it
Thanks again for visiting
HBZ-B 11.1v 2200mAh 3S 35C Max 70C 이 배터리도 가능하겠죠? 최대 154 a인 제품인데요,,
영상 끝 부분에 2200mAh 2S 50C배터리로 테스트하는 컷도 있으며 잘 됩니다 문의하신 배터리로도 문제 없이 잘 될 것 같습니다만 방전량 표시방법이 최소,최대치로 나뉘어 있어 좀 걸리네요
@@letsdiy9521답변 감사합니다
회답 감사합니다. 그리고 전원을 켜면 LED가 약 5초 간격으로 잠간식 커지는데 이때가 자동트리거 작동 시점인가요? 이 5초 간격을 조정하는 방법이 있는지 부탁드립니다.
네 맞습니다 버튼을 길게 누루고 있으면 LED가 깜박이고 그때 버튼에서 손을 놓으면 시간이 변경됩니다
다시 버튼을 길게 누루면 점점 더 자동 트리거 시간이 길어집니다 기본값은 3 초, 최대 10 초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letsdiy9521 네, 잘 알았습니다 . 감사합니다 .
подскажите а какой размер корпуса??
PCB 스펙보면 4S까지 사용되던데 3S로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전압이 높으면 스파크가 많아지고 자주 용접봉 끝을 갈아줘야 됩니다
3S 11.1v면 충분하며 굳이 더 비싼 4S를 사용할 필요는 없어요~
안녕하세요.
이전 스폿 용접기, 보내주신 아두이노 코드 적용해서 완성품까지 만들었으나 중국산 SSR을 사용해서일까요. 워낙 똥손이라 동작을 안해서
선생님과 같은 SSR을 재구매해서 수정대기 중입니다-_-;;;
그런데 훨씬 간단하고(?) 완성도 높은 업그레이드 작품을 올려주시네요. 우선 첫번째 작품 완성후 두번째 작품도 도전해보겠습니다! 완성작 메일로 보내드려도 될런지...
좋은하루 되십시요^^
안녕하세요 ㅎ 반갑습니다 SSR은 테스트해 보시면 고장 유무를 바로 알 수 있을텐데요?
트랜스 방식과 배터리 방식은 장단점이 명확하기에 용도에 맞춰 만드시면 됩니다만 저 처럼 기계를 좋아하시면 둘다
있는 게 든든하죠 자꾸 작품이라 하시니 부끄럽습니다만 기분은 좋아집니다 ㅎㅎ 아무튼 이번에도 꼭 성공을 바라며
완성하신 작품 저도 보고싶네요 메일 꼭 주세요~
dsn- vc288 전류계에 연결선이 케넥터에 노랑 흑색 적색선이 있던데 동영상에는 스위치선에서 오랜지색 마이너스선 청색 베터리 +는 적색을 사용했던데 전류계 커넥터선 어는색과 연결 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예} 오랜지색 스위치는 노랑 적 흑중 어느것 색상과 연결도 부타요^^ 좋은하루세요
쉽습니다
전류계의 전원입력단에 용접보드 전원을 같이 물려주시고
전류계의 전압전류 측정입력단에는 리포배터리+를 연결해 주시면 되요
마이너스선 공통이고요 ㅎ
전류계의 황색선은 전압전류 측정선이며 적색선은
전류계의 전원공급선입니다
@@letsdiy9521 감사합니다 제작할려 하는데 많은도움 되었씁니다 즐거운하루 되세요^^
부품 알리에서 저렴하게 구입해서 만들어 보았는데 성능 좋네요 ㅠㅠ 저도 만들기 좋아해서 제 나름데로 동영상 참조해서 많은도움 감사해요
@@장영록-x8o 잘 작동하신다니 뿌듯하시겠네요 ㅎ
즐거운 시간 되세요~
영상에서 사용한 택트 스위치 크기(높이)는 몇으로 했느지요 ^^ 싸이트 찿아보니 4.1h~29h로 표기되어 얼마나 높이가되는지 그림으로 알수었네요 부탁드립니다
다리 빼고 25mm네요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작품최고 입니다
만들고 싶은데 재료는어디서구매하는지요 그리고가격은얼마정도이며구매방법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영상에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재료구매는 더보기란에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전압계에 대한 링크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스에 led 타공구멍에 돋보기 작은거넣었나여? 아니면 led 다시박으신거지?
안녕하세요 타공 후 아크릴을 잘라 붙였습니다 PCB에 붙어 있는 LED빛이 전달 되도록...
@@letsdiy9521 많은도움이 되엇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 잘봤습니다. 그러면 전원을 공급하는게 두가지인가요? 용접봉에 공급하는 전원과 회로에 공급하는 전원 두가지라는 말인가요?
네 맞습니다 편법입니다만 모스펫 고장 방지를 위해 이중으로 전원을 공급합니다 영상 초반의 자막을 읽어보세요~
0.2t 테스트 하신거는 니켈도금플레이트 이겠죠
순수니켈은 링코어 2k 이상은 되야 잘될듯 싶은데요
순수니켈 0.2t도 잘되면 가성비 죽이는거죠
네 니켈도금 입니다 아쉽게 순수니켈은 테스트를 히지 못했습니다만 5단이상 올리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습니다
택트 스위치는 제품 사이즈가 [4개 납땜 부위 넓이]다 동일 한건가요
제품 사이즈가 여러가지 이면 어떤 품명으로 사야 되는지요
높이는 25mm 라고 아래 댓글에서 봤구요
@@똘이-r8z 택트 스위치는 2종류 밖에 못봤어요 큰거 작은거.. 작은걸로 구입하시면 되요~
와우 비싼 슈퍼콘댄서 용접기 살게 아니고 이걸 만들어야 겟내요
네 케이스 제외하면 2~3만원에 아주 좋은 용접을 할 수 있습니다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배터리 30C가 있는데 이걸로 될까요.. 안되면 새로 사야해서..
0.15T 까지는 강도 최대로 해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letsdiy9521 배터리 구매해야겠군요.
플리머 리튬 배터리 3s 말고 리튬이온 18650 3셀 배터리11.1로도 가능한가요
리튬이온은 안 되요
Nice video
혹시 도면 가능한가요?
도면은 아쉽게도 없네요..
@@letsdiy9521 네 감사합니다^^
영상 잘보고있습니다
저도 따라서 만들어 보려고 하는데
케이블 8awg 사용하면 xt단자 60으로 그냥 사용해도 무방하겠죠?
그리고 추가로 붙인 콘덴서 같은거 어떤걸 구입해야 하나요? 링크나 검색할수있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용접시 6awg 케이블 보다 여유로운 감은(느낌) 없지만 8awg 케이블과 xt 60단자로 0.2T까지는 무난히 용접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중 전원을 사용하면 콘덴서는 필요 없습니다 만
저는 보드 구입시 딸려온 거라 그냥 붙였습니다
(단일 전원시 필요)
영상에 관심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letsdiy9521 정성스런 답글 감사합니다
한가지 더 여쭈어볼께요
이중전원 전압 몇볼트 몇 암페어로 해야 하나요?
영상 다시 봐야 겠습니다
@@봉구-f4r 회로용 전원은 7~12v 0.5a로 구동되고요 용접 전원은 11.1v 180a이상 공급하시면 되요~
@@letsdiy9521회로전원이 영상에 18650 2S 로 만 표시되고
있네요
아~ 그냥 2S 로 +- 색상으로 연결하면 안될듯 한데
회로전원도 기판같은게 보이는데
2S bms 인가요?
그냥 2s 7 볼트 정도 물리면 되죠?
@@봉구-f4r 네 2S bms 맞습니다 기판의 +- 단에 연결하면 됩니다 혹시 여유셀이 더 있으면 3s로 만들면 더 안전하겠죠 (7v이하로 떨어지면 회로 고장날 수 있음)
좋네요
1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