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감사합니다. 점프 방법은 다양하며 말씀하신 것처럼도 가능합니다. 대신 도면에도 그렇게 표시를 해놓으셔야 작업에 대한 실수가 없어지므로 선생님 개인적으로 규칙을 만들어놓고 작업하시는게 좋습니다 실수로 잘못 꽂으시면 단락사고가 날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규칙성으로 위쪽이 1 아래쪽이 2라고 쓰게하며(실제 램프에 있는 번호 사용) 도면에 번호 쓰는 것과 제어판에 배치할 때 쓰는 것 그리고 실제 램프 연결에 이름과 번호 그대로 다 연결하시면 실수가 줄어든다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입니다.
너무 감사합니다.너무좋은 강의입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칭찬 감사드립니다!
푸시버튼에서, A접점 N 위에 바를 표시하면 덜 햇갈릴거 같네요. 어짜피 위쪽에 바는 a접점으로 쉽게 인식들을 할테니까요.
@@으악새-x2l 질문감사합니다.
그게 편하시면 선생님의 규칙으로 잡으셔서 하셔도 괜찮습니다.
야초에 목적이 구분만 제대로 하자라서용.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L과 GL 결선을 점프할 때,2번(L2)끼리 연결하라고 설명하셨는데, 다른 방법으로 가까운 단자대(L1,L2)를 연결해도 되지요?
질문감사합니다.
점프 방법은 다양하며 말씀하신 것처럼도 가능합니다. 대신 도면에도 그렇게 표시를 해놓으셔야 작업에 대한 실수가 없어지므로 선생님 개인적으로 규칙을 만들어놓고 작업하시는게 좋습니다 실수로 잘못 꽂으시면 단락사고가 날 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규칙성으로 위쪽이 1 아래쪽이 2라고 쓰게하며(실제 램프에 있는 번호 사용)
도면에 번호 쓰는 것과 제어판에 배치할 때 쓰는 것 그리고 실제 램프 연결에 이름과 번호 그대로 다 연결하시면 실수가 줄어든다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kwon-um17 네, 친절하신 답변과 설명 감사합니다.~~
테스트시 램프의 전구를 확인하라는 말씀의 정확한 의미를 좀 더 설명이 가능하실지요?
단순히 전구가 실물이 있는지 여부를 분해해서 확인하라는 의미는 아니신 것 같은데, 테스트시 어떻게 확인이 가능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램프 커버를 벗겨보면 안에 전구가 껴있는데 그 부분이 풀려있으면 램프가 작동을 안하기에 조여놓아야한다는 것 입니다!
명강의 감사합니다
공부 잘하고 갑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 가르쳐주시는 분들도 많은데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엔바씨로 하니까 더 어려운듯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여러가지 방법 중 저희가 쓰는 법을 알려드리는 것이며 실수 방지까지 재고해놓은 방법으로 어려우실 수도 있습니다.
원하시는 다른 편한 방법으로 무방합니당!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내부결선공통잡기한번찍어주세요 나오는모든오ㅣ부공통잡는 결선 외부결선이 에메메합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혹시 말씀하시는 것이 선을 줄이는 공통(점프)라면 기초설명(보라색썸네일) 11과 12를 한 번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초제어판 1.2에 각각 직접 사용하는 것을 작업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