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시에서는 도용이 실제로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다못해 트위터 계정까지도 비슷하게 만들어 사람들을 속이고 있지요. 컬렉션마다 트위터 계정인증을 받아 마크를 박는 방법이 최근에 업데이트 되었고 그 외엔 메인 프로필에 있는 소셜 미디어 링크 등으로 진위여부를 컬랙터가 가려내야되는 불편함은 아직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커뮤니티 활동하시는 분들은 서로 서로 스캠 신고를 적극적으로 해주어 가짜 계정이 금방 내려가는 등 순기능이 있긴합니다만 본질적인 예방법은 아니지요ㅠ
안그래도 준범님의 어도비 정보를 듣고 공부해보니 그런 사례가 많고 창작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 영상을 꼭 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 먹으면 도용하는 건 막을 수 없겠지만, 원본을 그냥 다운 받을 수 있게 한건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팔리지 않는 수많은 창작자의 작품이 그냥 쉽게 사용될 수 있는 거니까요. 저는 마치 무료 스톡 사이트를 열어 놓은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서 기존의 제 작품은 다 지웠고 조금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했습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나중에 같이 논의해 보도록 해요.
@@joowon77 오픈시의 취약한 부분을 잘 짚어주셨고 어도비 자격증명도 시연해주셔서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로서는 리사이즈본을 리스팅하고 언락커블 컨텐츠를 이용해 해당 컬랙터에게만 원본 파일을 받을 수 있는 링크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린 오픈시 컬랙션별 인증 요소로 트위터 외에도 다른 소셜 채널 연결할 수 있게 개선해 나갈 것 같으니 추이를 지켜보시고 멋진 작품들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likesnake 네 현재 그래서 파일 자체를 NFT화 하려는 시도들이 있다는 걸 들었는데 네트웍 트래픽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정도는 오픈씨에서 새로운 창이 뜰 때 작은 사이즈로 보여준다던가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좀 지켜봐야겠지요. 구글이나 트위터를 찾아 보니 이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점도 놀라웠습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오픈시 공용 컨트랙트 계약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 프로젝트 컨트랙트 계약을 만들어서 자신들이 발행한 NFT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누군가 도용해서 올려도 그 컨트랙트 주소는 공식 컨트랙트 주소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캠으로 바로 구별이 되거든요. 그래서 딱히 문제 제기하는 사람이 없을 거예요. 아티스트들이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들이 발행한 정식 NFT만을 인증하게 해주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최소한의 장치로 NFT 생성 후 생기는 토큰 ID를 개인 공식 홈페이지에 박아놓거나 그런 식으로 이게 정품이라고 올려놓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디자이너고 어도비 모든 앱을 구독 중인데 알려주신 방법대로 따라 해보려고 했으나 오류가 뜨네요... 아직 베타 버전이라 불안정한 것 같습니다 ㅠ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자세하게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막연히 알던 정보를 이렇게 상세히 설명해 주시니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Adobe 같은 경우는 아직 베타라 그런지 작동하지 않는 분들이 꽤 많은 것 같습니다. 저한테 문의 주신 분도 많고요. Adobe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하고 재설치 해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nft뿐만 아니지 않나요? 그런 게 무서우면 정말 아무것도 못할 것 같아요. 요즘엔 사람들이 저작권에 관한 인식이 높아져서 함부로 도용 안하지 않나요? 저작권등록을 해놓고 인스타그램에 토큰주소를 써놓으면 될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걱정이 많았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인스타그램에도 그림도 못 올릴 것 같더라구요.
@@joowon77 네. 그런 것 같습니다. 오픈씨에서 한 번 리스팅된 아이템은 리스팅을 취소해도 계속 남아서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건가요? 리스팅을 취소했는데도 아이템에 나오더라구요. 숨김처리를 해도 보여지구요. 원본미디어를 클릭하니 300dpi너무 고화질로 되서 취소하고 다시 올리려고 했는데 정말 답답하네요. 오픈씨에서는 답변도 없어요.
NFT를 일반 사진 저작권 개념으로 다가가면 안됩니다. 사실 NFT의 이미지는 단순한 껍데기일뿐이고 실제는 안에 넣어둔 코드가 핵심인데 말이죠. 예를 들어 똑같은 이미지라 하더라도 원본은 어떤 모임의 멤버쉽이나 게임상의 아이템 등 넣어둔 코드에 따른 역할이 가능하나 복사하여 만든건 그런 기능을 넣을 수가 없죠. 그래서 원본과 똑같이 생긴 복사본의 금액차이가 발생하는거고요. 어쨌든 피싱하기 위해 만든 외형만 같은 NFT가 문제긴하나 NFT 저작권의 접근방법을 다르게 생각하셔야 할듯 합니다.
맞는 말씀이시긴 한데요. 사진 같은 경우 NFT화 시킨다고 모든게 끝나는게 아니랍니다. 원본을 다운 받아 몰래 다른 용도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기에 창작자에 대한 이런 기본 안전장치가 지금 플랫폼에 부족하다는 말을 하는거에요. 저 역시 도용을 많이 당해 봐서 이런 영상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오픈시에서는 도용이 실제로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다못해 트위터 계정까지도 비슷하게 만들어 사람들을 속이고 있지요. 컬렉션마다 트위터 계정인증을 받아 마크를 박는 방법이 최근에 업데이트 되었고 그 외엔 메인 프로필에 있는 소셜 미디어 링크 등으로 진위여부를 컬랙터가 가려내야되는 불편함은 아직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나마 커뮤니티 활동하시는 분들은 서로 서로 스캠 신고를 적극적으로 해주어 가짜 계정이 금방 내려가는 등 순기능이 있긴합니다만 본질적인 예방법은 아니지요ㅠ
안그래도 준범님의 어도비 정보를 듣고 공부해보니 그런 사례가 많고 창작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 영상을 꼭 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음 먹으면 도용하는 건 막을 수 없겠지만, 원본을 그냥 다운 받을 수 있게 한건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팔리지 않는 수많은 창작자의 작품이 그냥 쉽게 사용될 수 있는 거니까요. 저는 마치 무료 스톡 사이트를 열어 놓은 것과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서 기존의 제 작품은 다 지웠고 조금 다른 방법을 생각해 보기로 했습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나중에 같이 논의해 보도록 해요.
@@joowon77
오픈시의 취약한 부분을 잘 짚어주셨고 어도비 자격증명도 시연해주셔서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현재로서는 리사이즈본을 리스팅하고 언락커블 컨텐츠를 이용해 해당 컬랙터에게만 원본 파일을 받을 수 있는 링크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린 오픈시 컬랙션별 인증 요소로 트위터 외에도 다른 소셜 채널 연결할 수 있게 개선해 나갈 것 같으니 추이를 지켜보시고 멋진 작품들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래봅니다!
@@likesnake 네 현재 그래서 파일 자체를 NFT화 하려는 시도들이 있다는 걸 들었는데 네트웍 트래픽 등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정도는 오픈씨에서 새로운 창이 뜰 때 작은 사이즈로 보여준다던가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좀 지켜봐야겠지요. 구글이나 트위터를 찾아 보니 이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이 별로 없다는 점도 놀라웠습니다.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오픈시 공용 컨트랙트 계약을 이용하지 않고 자체 프로젝트 컨트랙트 계약을 만들어서 자신들이 발행한 NFT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누군가 도용해서 올려도 그 컨트랙트 주소는 공식 컨트랙트 주소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스캠으로 바로 구별이 되거든요. 그래서 딱히 문제 제기하는 사람이 없을 거예요.
아티스트들이 개인 홈페이지에 자신들이 발행한 정식 NFT만을 인증하게 해주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최소한의 장치로 NFT 생성 후 생기는 토큰 ID를 개인 공식 홈페이지에 박아놓거나 그런 식으로 이게 정품이라고 올려놓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디자이너고 어도비 모든 앱을 구독 중인데 알려주신 방법대로 따라 해보려고 했으나 오류가 뜨네요... 아직 베타 버전이라 불안정한 것 같습니다 ㅠ
안녕하세요. 좋은 정보 자세하게 써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막연히 알던 정보를 이렇게 상세히 설명해 주시니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Adobe 같은 경우는 아직 베타라 그런지 작동하지 않는 분들이 꽤 많은 것 같습니다. 저한테 문의 주신 분도 많고요. Adobe 프로그램을 완전히 삭제하고 재설치 해 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작가님! 갤러리에 작품들은 삭제 안하시는지요!! 오픈씨말고 원본저장 못하게 막는 다른 사이트는 없을까요? 오픈씨 등록하려다가 이거보고 등록 안하려고요^^
블로그에도 답글을 달았지만 현재는 과거의 작품을 아카이빙 차원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어도비 자격 증명을 이용해 저장 후 구매자에게만 구글 드라이브를 통해 공유하는 방법을 쓰셔도 좋겠습니다
5:18 저 여기 이거를 클릭해도 아무반응도 없는데 혹시 jpg가 아니면 저거도 반응이 없나요? 완전히 포멧도 해보고 제거도 해봤는데 반응이 없네요.. 혹시 해결방안이 있을까요?
베타 버전이라 컴퓨터에 따라 작동하지 않는 분도 꽤 있는 듯 합니다. 포토샵을 완전히 지우고 폴더까지 지우시고 다시 설치해 보시거나 다른 컴퓨터에서 같은 현상인지 체크해 보시길 바랍니다.
정말 도움되었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작권 파일 만들어보려 했는데 포토샵에 유료가 아니어선지 컨텐츠자격증명활성화가 없어요 ㅠ
혹시 일러스트 프로그램도 가능할까요?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유료 구독자만 가능한거 같습니다. 아직 베타라 일러스트는 지원하지 않는 것 같은데요. 향후 영상 파일 등에도 적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작가님 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정보를 알고 갑니다. 다름이 아니라 한가지 궁금하게 있어서 여쭤보고 싶은데요. 인스타에 올린 사진들을 오픈씨에 올려도 무방한가요? ㅎㅎ
네 가능합니다. 대신 용량과 사이즈를 좀 큰걸로 올리는게 좋습니다.
막 진입하려던 찰나, 이런 문제가 있다는 점을 인지시켜주셔서 감사합니다. 좀 더 신중해야하나 싶네요.
그래도 많이 하시니 차근차근 도전해 보세요. 해보셔야 시스템 이해가 빠르답니다
다소 당황스럽네요, 여태 원본사진이 저장되고 있다는걸 몰랐습니다. 오픈씨 CS에 문의메일 넣어 봤습니다.
샘플이미지도 아니고 원본 그대로 저장이 되어버린다면..흠.....
아 오픈씨 cs 센터가 있군요. 답변 결과 나오면 제게도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연말 즐겁게 보내세요.
답변 너무 궁금해요!
@@joowon77 네넵 답변 받으면 꼭 말씀드릴게요~~!!
@@kimnareun 안녕하세요 혹시 답변을 받으셨는지요?
@@AJ-db4iv 아니요... 순차적으로 답변을 주겠다는 자동 답변 메일만.. 두번째 받았습니다 ㅜㅠ ㅠㅠ
nft뿐만 아니지 않나요? 그런 게 무서우면 정말 아무것도 못할 것 같아요. 요즘엔 사람들이 저작권에 관한 인식이 높아져서 함부로 도용 안하지 않나요? 저작권등록을 해놓고 인스타그램에 토큰주소를 써놓으면 될 것 같아요. 저도 처음엔 걱정이 많았는데 그렇게 생각하면 인스타그램에도 그림도 못 올릴 것 같더라구요.
모든 분야든 다 똑같지요. NFT는 디지털 이미지라 계약서 빼고는 보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여러 방법으로 자신의 작품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joowon77네. 그런 것 같습니다. 오픈씨에서 한 번 리스팅된 아이템은 리스팅을 취소해도 계속 남아서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건가요? 리스팅을 취소했는데도 아이템에 나오더라구요. 숨김처리를 해도 보여지구요. ㅠ
@@joowon77 네. 그런 것 같습니다. 오픈씨에서 한 번 리스팅된 아이템은 리스팅을 취소해도 계속 남아서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건가요? 리스팅을 취소했는데도 아이템에 나오더라구요. 숨김처리를 해도 보여지구요. 원본미디어를 클릭하니 300dpi너무 고화질로 되서 취소하고 다시 올리려고 했는데 정말 답답하네요. 오픈씨에서는 답변도 없어요.
NFT를 일반 사진 저작권 개념으로 다가가면 안됩니다. 사실 NFT의 이미지는 단순한 껍데기일뿐이고 실제는 안에 넣어둔 코드가 핵심인데 말이죠.
예를 들어 똑같은 이미지라 하더라도 원본은 어떤 모임의 멤버쉽이나 게임상의 아이템 등 넣어둔 코드에 따른 역할이 가능하나 복사하여 만든건 그런 기능을 넣을 수가 없죠. 그래서 원본과 똑같이 생긴 복사본의 금액차이가 발생하는거고요.
어쨌든 피싱하기 위해 만든 외형만 같은 NFT가 문제긴하나 NFT 저작권의 접근방법을 다르게 생각하셔야 할듯 합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사진 같은 경우 소유권을 판매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복제가 되어 다른 곳에 사용될 우려가 있어 이 영상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최소한의 안전 장치를 해두는게 좋지요.
@@joowon77 작가님들이 공들여 만든 사진들이니 충분히 이해는 갑니다.
이미지 저장은 크롬 부가앱만 써도 거의 되는거 아닌가요? 오픈씨말고도 미술 경매 사이트들 되는곳 넘쳐나는데
작가님 안녕하세요 동영상 설명대로 설정하고 connect account를 눌렀는데 창이 뜨지 않습니다. 혹시 왜그런지 여쭤봐도 될까요??
요즘 메타마스크, 오픈씨가 좀 문제가 있어요. 저도 연결이 잘 안되서 몇번 지우고 깔고 그랬습니다. ㅜㅜ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저도 cs 구독중인데 기술미리보기에서 컨텐츠자격베타 활성화 버튼이 없네요 ㅠ
수현 작가님 유튜브 보니 작품이 침 좋습니다. 혹시 포토샵 업데이트가 안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최근에 생긴 기능입니다.
막 nft에서 전시 에이전시 관련하여 진행중인데 넘 유익한 정보였어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작업 프로그램에 없는 기능이라 좀 걱정했어요. 작품 저장하고 포토샵에 다시 열어서 따로 저장해야겠군요. 감사합니다.
네 찾아 보니 NFT 세계에서 생각보다 도용이 많이 일어나고 이걸 법적으로 어찌할 방법도 없는 것 같습니다. 판이 좀 더 키지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저는 프로크리에이트로 캐릭터 작업 해서 오픈시에 올려보려고 생각했는데. 작가님 처럼 작업물을 포토샵으로 들어가서 영상의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할까요?
캐릭터 같은 경우 그렇게 까진 필요 없을 듯해요.
맞아요. 그런게 의아한 의문이고, 신경 쓰이는 부분 중
하나 였죠.
맞습니다. 조심해서 나쁠건 없습니다.
작가님 영상보고 많이 공부하고 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제가 gif 파일로 작업을 했는데 gif 파일엔 콘테츠증명 지원을 안하더라구요 ㅠㅠ gif파일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작가님..
네 현재는 베타 버전 기술로 JPG 파일만 지원합니다. ㅠㅠ
귀한 정보 감사합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어도비에서 gif로 제작해서 저작권추가해서 저장하려는데 결론은 움직지않은 모습으로 저장이 되어서요 혹시 그건 어떻게 해야하나요?? 감사합니다!!
아직 베타라 움직이지 않은 그림 파일만 지원하는 듯 합니다
@@joowon77 오 감사합니다 !!
이기능 작가님 영상보고 열심히 사용하고 있었고 이것때문에 포토샵 결제했는데, 갑자기 이 기능이 사라졌네요? 저만그런건가요??? ㅠㅠㅠ
아직 저는 그 기능이 있던데 포토샵을 지웠다가 다시 설치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넘 도움됩니다....어도비 구독하고 있어서 정말 좋은 팁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지갑 정보도 노출이 되나요?
지갑 주소는 노출될 수 있기에 많이 노출 안하는게 좋겠지요?
@@joowon77 감사합니다 👍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아직 안정적이지가 않으니까 그런 문제가 생길 것 같긴 해요 근데 그럼 어떻게 접근 하면 좋을지 고민이네요
안정되진 않았지만, 초기 시장에서 배우고 성장해가는 것도 좋습니다. 도전해 보세요.
그런데 이것도 화면캡쳐한 다음 다시 자기 어도비로 인증해서 원본인척 올린다면 소용 없지 않을까요?
네 그렇게 까지 한다면 막을 수 없습니다. 작은 안전 장치라도 해두는게 좋지요.
그냥 오픈씨에서 워터마크 박으면 안되나.. 구매자만 원본 감상할수있게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오픈씨는 그런것 별로 신경쓰지 않는 것 같네요. 창작가 보호 대책을 좀 강구하면 좋을텐데요.
지금 하려고 봤더니 베타라서 그런지 창이 사라졌네여 ㅠㅠㅠ Preferenes 에 있어야하는데 ...
윈도우 창에도 없습니당 ㅠㅠㅠ
환경설정은 없을리가 없고요. 포토샵 띄우시고 윈도우면 Ctrl+K, 맥이면 Command+K를 눌러 보시고 환경설정창이 뜨면 기술 미리보기 > 컨텐츠 자격 증명 활성화 가 있는지 체크해 보세요.
@@joowon77 앗...됐어요.그 포토샵 업데이트 하고나니 생기네요 하핫...감사합니다
넵 화이팅입니다!
김주원 작가님
저는 일산에 사는 사람으로서 작가님한테 너무 감사드리고 있습니다.^^
저도 nft 작품을 스마트폰으로 만들고 오픈씨에다 올려보려 하는데 스마트폰으로 올리는게 너무나 잘 안되네요 ^^
스마트폰은 제작이 좀 어렵고요. 스마트폰으로 촬영하거나 만든 작품을 pc나 맥에서 진행하셔야 합니다.
, 원본 자체를 쉽게 다운 받을 수 있게 하는건 NFT도 뭐도 아닌 그냥 중간 마켓 정도의 기능을 하는게 아닐까요? ==> 원본??이라고 하셨습니까? 아직 구시대적 원본 개념에 갇혀 계십니다. 쩝
맞는 말씀이시긴 한데요. 사진 같은 경우 NFT화 시킨다고 모든게 끝나는게 아니랍니다. 원본을 다운 받아 몰래 다른 용도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기에 창작자에 대한 이런 기본 안전장치가 지금 플랫폼에 부족하다는 말을 하는거에요. 저 역시 도용을 많이 당해 봐서 이런 영상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Opensea 탈퇴하는거 아시는분..이거 제발 간절하게 탈퇴하고싶어요 진짜.. 도용뿐만 아니라 그냥 사이트 자체가 오류도 너무 많이 걸리고 사용법도 불편하고 맘에 안드는게 한두가지가 아니예요. 뭐만 들어가도 오류걸려서 제발 이거 좀 탈퇴하고싶어요😭😭😭😭😭
오픈씨와 메타마스크가 좀 불안정할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딱히 다른 사이트가 대안이 있지도 않아서 사용하고 있지요. 좀 더 고급 마켓 플레이스가 있는데 오픈씨에서 경험 후 넘어 가시는 것도 괜찬습니다.
설마 음악도 털릴까요? 연주곡이면 수정해서 재배포 할수 있다 쳐도 보컬이 들어간 곡은 빼도박도 못하지 않나요?
가능성이 전혀 없진 않다고 봅니다. 개인 아티스트가 누가 어디서 어떻게 쓰는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원본 이미지 다운로드가 무슨 상관;;; NFT 개념 아시면서 이러시네.
원본 이미지를 올렸는데 어디 웹사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다면 기분이 썩 좋진 않겠죠? 사용권과 저작권의 의미를 말하는 겁니다. 세상이 아직 모두 NFT화 되진 않았어요.
정말 도움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