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효걸 벽암록
#벽암록, 제1강(후), #견성성불, #인지혁명,#가산서창,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3,1 тыс.6 лет назад
벽암록 입문에 필요한 교양 강의. 유발 하라리의 인지혁명과 견성성불의 관계. 견성의 '견'이 깨달음(각)으로 연결. 견성의 '성'은 뇌의 ...
#벽암록, #제35칙(51강), #이효걸(가산서창)
Просмотров 9244 года назад
제목은 “문수가 말하기를 '저기 셋, 여기 셋일세.'[文殊前 三三]”로 되어있고, 장경각본은 “앞도 삼삼 뒤도 삼삼[前三三後三三]”으로 되어 ...
#벽암록, #가산서창, 제19강(후), #이효걸, #저양촉번
Просмотров 4505 лет назад
제8칙, 취암의 눈썹(翠巖眉毛), 언어는 집착심을 조장하거나 혹은 깨달음을 드러내는 도구다. 언어 사용에 의해 마음의 긴장과 얽매임 ...
#벽암록, 제1강(전), #확연무성, #직지인심, #견성성불, #이심전심,
Просмотров 4,1 тыс.6 лет назад
벽암록 첫시간 ; 선불교란 무엇인가? 선불교 입문을 위한 사전 강의.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스스로 부처가 되는 길, ...
#벽암록, #가산서창, 제19강(전), #이효걸, #지식과 언어
Просмотров 3415 лет назад
제7칙 '법안, 혜초'에 대한 지난 시간의 강의에 대한 요약 설명. 언어적 정보처리(지식추구)는 외부환경을 관리하는 능력을 높혔지만, ...
#벽암록, #가산서창, 제26강(후), #대중천자
Просмотров 3495 лет назад
제11칙 본칙의 '不道無禪, 只是無師(선이 없는 게 아니라, 선사가 없다).에 대한 설명. 頌에 대한 설명. 황벽선사의 늠름한 기상은 본분 ...
#벽암록, #가산서창, 제17강(후), #이효걸, #일체유심조
Просмотров 4206 лет назад
제7칙 법안혜초, 명상체험 없이 깨달음의 세계에 어떻게 다가갈 수 있는가? 깨달음의 발언인 '一切唯心造'를 참조하는 일, 그리고 '왜?
#벽암록, 제5강(후),#가산서창,#선불교,#공안,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1 тыс.6 лет назад
제2칙 본칙 강의. 신심명의 승찬스님의 '지도무난'으로 제자를 깨우치는 데 활용한 공안. '見'이란 무엇인가? 앞 강의에서 코페르쿠스, ...
#벽암록, #가산서창, 제21강(전), #이효걸, #혐간택.부재명백
Просмотров 4325 лет назад
제9칙, 趙州四門(조주의 네 문)에 대한 사전 강의. 조주스님의 선정신은 한국불교의 주류인 임제종 看話禪의 화두인 無字화두에도 영향 ...
#벽암록, #제38칙(54강), #이효걸(가산서창)
Просмотров 4614 года назад
제38칙 제목은 풍혈이 설법하기를 “조사의 마음도장은 쇠붙이 소와 같다.”[風穴祖師心印]이고, 장경각본은 “풍혈의 무쇠소”[風穴鐵牛] ...
#벽암록, 제10강(하), #가산서창, #이효걸, #소요유
Просмотров 4006 лет назад
제4칙 본칙, 덕산이 위산과 만나 두 번의 선기를 나눔. 즉심을 보인 덕산과 관찰자로서 위산. 관찰되는 마음에도 즉심을 잃지 않는 덕산 ...
#벽암록, #제23칙(39강),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3855 лет назад
제23칙, , 제목은 '보복과 장경의 산놀이[保福長慶遊山]'이다. 참된 삶인가 아닌가는 '자신 생명에 눈뜨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감별할 수 ...
#벽암록, 제17강(전), #가산서창, #이효걸, #서행답단유수성
Просмотров 4916 лет назад
제6칙, 頌에 대한 설명. 徐行踏斷流水聲(서행답단유수성)이 바로 시간의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 시간의식은 우리가 만든 ...
#벽암록46칙(62강),#가산서창,#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5444 года назад
제목은 '경청의 빗방울 소리[鏡淸雨滴聲]'이고, 장경각본은 '경청의 미혹되지 않음[鏡淸不迷]'으로 되어 있다. 두 제목 모두 본칙에 ...
#벽암록, #가산서창, 제20강(전), #대용현전부존궤칙,#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3695 лет назад
제8칙 垂示에 대한 해설. 설봉의 네 제자인 취암, 보복, 장경, 운문이 모두 깨달음을 얻고 각자 자신의 깨달음을 독특한 표현으로 대화 ...
#벽암록, # 제22칙(38강),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3635 лет назад
제 22칙 '설봉의 코브라[雪峰鼈鼻蛇]'는 설봉의 '남산에 코브라가 있으니 조심하라!'는 말은 제자들에게 던진 관문이다. 경각심을 ...
#벽암록, 제13강(후), #가산서창, #이효걸, #혜능
Просмотров 5056 лет назад
제5칙, 頌의 '조계경리절진애(曺溪鏡裏絶塵埃)'에 대한 해설. 신수(神秀)와 혜능( 慧能)의 마음에 대한 관점의 차이. 중국 선불교 역사 ...
#벽암록, #제36칙(52강), #이효걸(가산서창)
Просмотров 6194 года назад
36칙 제목은 '장사, 떨어지는 꽃잎 쫓아 돌아오다[長沙逐洛花回]'이고, 장경각본은 '장사의 봄기운[長沙春意]'로 되어 있다. 長沙스님은 ...
#벽암록, #제40칙(56강), #가산서창(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4574 года назад
40칙의 제목은 남전(南泉)의 '한 그루 꽃[南泉一柱花 ]'이고, 장경각본은 '남전 의 뜰에 핀 꽃[南泉庭花]'으로 되어 있다. 남전의 가장 ...
#벽암록,#제41칙(57강),#이효걸(가산서창)
Просмотров 4204 года назад
41칙의 제목은 “조주가 묻기를 '아주 죽어 버린 자가 살아나면 어떻게 하겠소?' [趙州大死底人]”이다. 본칙은 趙州스님과 투자스님의 ...
#벽암록, 제14강(후), #가산서창, #이효걸, #일일호일
Просмотров 3436 лет назад
제6칙 '日日好日'에 대한 안내 해설. 운문의 이 공안은 선가에서 널리 알려짐. 이 공안은 시간의식에 대한 문제. 장자 '養生主'에 나오는 ...
#벽암록, 제4강(후),#가산서창,#선불교,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1,1 тыс.6 лет назад
제2칙 제목인 '지도무난' 자체의 메시지 강의. 언어적 정보처리는 필연적으로 분별의 사고를 기반으로 함. 어렵고 비밀스러운 정보가 ...
#벽암록, #제34칙(50강),#이효걸(가산서창)
Просмотров 8615 лет назад
제목은 앙산이 말하기를 “산놀이도 안 갔는가?”[仰山不曾遊山]라고 되어 있고, 장경각본은 “앙산의 오로봉[仰山五老峰]”으로 되어 있다.
#벽암록, 제7강(전), #가산서창,#대기대용,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6546 лет назад
제3칙(마대사불안) 수시의 '대용현전, 부존궤칙'에 대한 강의. 向上과 本分이라는 선불교 이해의 두 원리에 대한 설명. 본칙의 중심어 ...
#벽암록, 제8강(후), #가산서창, #마조,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3856 лет назад
제3칙, 마조의 일면불, 월면불에 대한 설명. 부처의 마음 혹은 우주의 마음은 일상적 대화법에 투영되어 있지만 잘 알 수 없다. 우주선을 ...
#벽암록, 제3강(전) , #가산서창,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1 тыс.6 лет назад
제1강에 대한 요약. 인간의 정보처리 방법의 급격한 발전, 인지혁명. 인간 두뇌의 두 가지 능력과 잃어버린 능력. 입문을 위한 강의와 ...
#벽암록, 제16강(전), #가산서창, #이효걸, #시간의식
Просмотров 4096 лет назад
제6칙 본칙에 대한 강의.평창의 칠언절구 가운데 '惟人自肯乃方親(오직 사람만이 스스로를 인지하며 자신의식을 누릴 수 있다)' 설명.
#벽암록, 제7강(후), #가산서창, #자유주의의 신화,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5956 лет назад
유발 하라리의 '자유주의의 신화'에 대한 소개, 자유의지는 자유로운가? 자유의지와 선택, 자유의지는 개인의 독립성을 보증하는가?
#벽암록, #제43칙(59강), #이효걸(가산서창)
Просмотров 5864 года назад
제목은 '동산의 추위도 더위도 없는 경지[洞山無寒暑]'로 되어 있고, 장경각본은 '동산의 더위와 추위[洞山寒暑]'로 되어 있다. 여기의 ...
#벽암록, 제4강(전), #가산서창, #이효걸, #확연무성
Просмотров 8976 лет назад
벽암록강의 제4강(전), 확연무성(廓然無聖)과 불식(不識), 淸風匝地有何極(맑은 바람이 대지를 떠도는데, 어찌 끝이 있는가?), 제1칙 송 ...
#벽암록, 제8강(전), #가산서창, #일면불,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4686 лет назад
제3칙 마조의 '일면불, 월면불', 마조의 '즉심시불'으로써 설명. 하라리의 '자유주의의 신화'와 대비해서 설명. 일상적 마음의 배후에 ...
#벽암록, #제30칙(46강),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6205 лет назад
제30칙 제목은 '조주의 큰 무[趙州大蘿蔔頭]'이다. 본칙에서 승려는 조주스님이 그 유명한 남전스님을 모셨으니, 그분의 가르침을 조주 ...
6강(후),#벽암록, #가산서창, #분별, #일면불,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6486 лет назад
제2칙, 송(頌) 에 대한 강의. 설두의 송에 나온 '촉루식진희하립, 고목용음소미건' 해설. 제3칙 본칙에 대한 소개와 수시의 전반부 해설.
#벽암록, 제2강(전), # 확연무성, #자아, #분별심,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1,2 тыс.6 лет назад
제 1칙 ; 달마 확연무성, 양무제와 달마의 만남, 궁극적 진리가 있다는 전제는 과연 옳은가? 자기에 대한 규정을 할 수 있는가? 벽암록과 ...
#벽암록44칙(60강), #가산서창(이효걸), #해타고
Просмотров 5074 года назад
제목은 '화산의 북치는 솜씨(禾山解打鼓)'이고, 장경각본은 '화산의 북치는 뜻 (禾山打鼓)'으로 되어 있다. 44칙 공안의 특징은 제자의 ...
#벽암록19칙, #벽암록제35강(전), #가산서창, #이효걸
Просмотров 3235 лет назад
제19칙 구지의 '손 가락 하나(俱胝一指)'. 구지스님은 누가 질문을 하면 항상 손가락 하나를 세우는 것으로 대답했다. 구지스님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