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의도시연구소채널
통의도시연구소채널
  • Видео 92
  • Просмотров 88 121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10강
안녕하세요.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 (한국편) 강의의 마지막 영상입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개별 지형에 따른 변형과 응용은 있지만,
불교사찰에 이어 종가, 무덤에 이르기까지 축선을 따른 건축 입지의 원리가 조선시대에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었음을 현장답사 사진들과 함께 살펴봅니다.
감사합니다.
Просмотров: 294

Видео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9강
Просмотров 112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이번 영상에서는 부석사, 합천 해인사, 양산 통도사, 순천 송광사, 해남 대흥사등 불교사찰들을 둘러보며 입지 원리가 사찰에는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알아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8강
Просмотров 260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은 경주의 황룡사지, 감은사지, 그리고 신문왕이 문무왕릉을 방문하며 묵었던 기림사에 관한 선생님의 설명이 이어집니다. 또한 절토와 성토를 동시에 진행했던 불국사의 지형적 특징에 관해 알아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7강
Просмотров 187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에서는 지난 번 영상에 이어 필암서원, 병산서원, 묵계서원, 도동서원, 도봉서원 등 조선시대 서원 건축 입지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알아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6강
Просмотров 191Год назад
이번 영상에서는 조선시대 탁월한 유학자이며, 인보다 의를 중요하게 여긴 남명 조식 선생님의 생가와 그가 머물렀던 산천재, 사후 제자들이 세운 덕천서원, 그리고 무덤 등을 돌아보며 입지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5강
Просмотров 57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이번 영상에서는 조선시대 최초의 서원이라고 알려진 소수서원과 퇴계 이황의 도산서원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서원의 입지와 원리에 관해 알아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4강
Просмотров 85Год назад
4강에서는 조선시대 지도와 현재의 답사 사진들을 비교해보며, 함양, 남포, 영해, 죽산, 강릉, 양양, 이천, 진주 등등 전국의 읍치와 향교의 입지 원리에 관해 알아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3강
Просмотров 81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3강에서는 성저십리라는 개념과, 지공스님이 나옹과 무학에게 말했다고 하는, 삼산양수지처에 관한 최종현 선생님의 설명을 들어봅니다. 또한 계회영정도와 창효원향도 등 목판화를 보면서 정면성과 축의 원리가 어떻게 적용, 응용되는지 알아봅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2강
Просмотров 197Год назад
2강부터는 본격적으로 한국 건축에 어떻게 '정면성'과 '중심'이라는 개념이 적용되어 있는지 현장 답사 사진들과 지도 등을 통해 그 구체적 사례들을 알아봅니다. 우선 조선시대의 법궁, 즉 경복궁의 중심축과 숫자 5가 갖는 중심의 의미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한국편) 1강
Просмотров 323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모두 건강하게 잘 지내시는지요. 오랜만에 업로드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번 강의에 이어,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인 '정면성'이라는 개념이 한국의 궁궐, 사찰, 서원, 민가 등에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전국 곳곳의 현장 답사 사진들과 함께 최종현 선생님의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영상들입니다. 참고로 1화에서는 경주 분황사지와 경복궁 입지에 관한 짧은 설명과 함께 지난 번 강의에서 다루었던 인도 건축의 원리에 관해 간략히 복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짧더라도 복습하는 시간이 될 수 있겠습니다.^^ )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9강 (마지막)
Просмотров 110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작년 12월 오랜 기다림 끝에 최종현 선생님의 저서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서울연구원, 2022년) 가 드디어 출판되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2021년 5월 서울연구원에서 진행되었던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올립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중국 한나라부터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도성도를 살펴보면서 축선과 격자 구조 등장시기를 알아봅니다. 지금까지 서양, 인도, 중국에 걸쳐 도시 건축 입지의 원형에 관해 살펴보았습니다. 곧, 한국편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8강
Просмотров 92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작년 12월 오랜 기다림 끝에 최종현 선생님의 저서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서울연구원, 2022년) 가 드디어 출판되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2021년 5월 서울연구원에서 진행되었던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올립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중국 둔황의 불화와 궁궐도, 천원지방지도등을 돌아 보면서 중국 건축 배치의 원형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7강
Просмотров 117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작년 12월 오랜 기다림 끝에 최종현 선생님의 저서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서울연구원, 2022년) 가 드디어 출판되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2021년 5월 서울연구원에서 진행되었던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올립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인도의 우주관 스리얀트라, 만다라가 인도 도시 건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봅니다.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6강
Просмотров 105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작년 12월 오랜 기다림 끝에 최종현 선생님의 저서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서울연구원, 2022년) 가 드디어 출판되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2021년 5월 서울연구원에서 진행되었던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올립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르네상스 유럽 도시 건축에서 보여지는 광장과 축선에 대해 알아봅니다.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5강
Просмотров 157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작년 12월 오랜 기다림 끝에 최종현 선생님의 저서 "정면성 -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서울연구원, 2022년) 가 드디어 출판되었습니다. 이와 연계하여 2021년 5월 서울연구원에서 진행되었던 선생님의 강의 영상을 올립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고딕, 르네상스 건축과 도시조감도를 통해 문명의 상호 교차 흔적들을 찾아봅니다.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4강
Просмотров 97Год назад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4강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3강
Просмотров 164Год назад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3강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2강
Просмотров 215Год назад
정면성 -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2강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1강
Просмотров 451Год назад
정면성-전통 도읍 건축의 입지 원리에 관하여 - 제1강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10강 그렇게 한양에 도읍을 정했답니다
Просмотров 662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10강 그렇게 한양에 도읍을 정했답니다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9강 그 많던 고려 시대의 절들은 어떻게 됐을까?
Просмотров 354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9강 그 많던 고려 시대의 절들은 어떻게 됐을까?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8강 삼산양수지처가 불국토
Просмотров 370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8강 삼산양수지처가 불국토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7강 '서로(西路)를 걸어보아요'-2
Просмотров 400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7강 '서로(西路)를 걸어보아요'-2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6강 서로(西路)를 걸어보아요
Просмотров 315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6강 서로(西路)를 걸어보아요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5강 그 많던 남경의 관아와 사찰들은 어디로 갔을까?
Просмотров 998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5강 그 많던 남경의 관아와 사찰들은 어디로 갔을까?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4강 공민왕이 서로(西路)로 간 까닭은?
Просмотров 284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4강 공민왕이 서로(西路)로 간 까닭은?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제3강 동로(東路)에서 샛길로 빠지면
Просмотров 354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제3강 동로(東路)에서 샛길로 빠지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2강 동로(東路)와 서로(西路)가 있었습니다
Просмотров 351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2강 동로(東路)와 서로(西路)가 있었습니다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1강 고려시대의 도로는 어떠했을까?
Просмотров 7563 года назад
개경과 남경의 땅길과 물길 - 제1강 고려시대의 도로는 어떠했을까?
국가 제례의 종장(宗場) 종묘 - EP6 종묘 담장에서 발견되는 각기 다른 한자들의 의미는?
Просмотров 8303 года назад
국가 제례의 종장(宗場) 종묘 - EP6 종묘 담장에서 발견되는 각기 다른 한자들의 의미는?

Комментарии

  • @전주이씨.담벼락
    @전주이씨.담벼락 11 часов назад

    덕종은 성종 아버지

  • @kkk97295
    @kkk97295 27 дней назад

    설명 못한다. 말이 논ㄹ.가 없다. 강압적ㅇ.ㄴ 꼰대다

  • @siniperk
    @siniperk 8 месяцев назад

    택견을 하셨던 분은 송덕기옹이십니다.

  • @hyeonjunkim9086
    @hyeonjunkim9086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김용림(풍양 대왕대비.신정익 황후.신정왕후)선생님의 처소

  • @choiyoung2579
    @choiyoung2579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

  • @Jeong-eun
    @Jeong-eu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고종이ㅡ10명이다.

  • @Jeong-eun
    @Jeong-eun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복궁은 무덤이 있는 집이었지 궁궐이 없었다 제발 눈을 떠라

  • @roadspothunter
    @roadspothunte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경복궁 영건일기 정묘년(고종4년) 4월 26일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원지의 섬에 아름드리 소나무가 울창하고 빽빽했다. 을축년(1865, 고종2년) 여름에 연못을 파낼때에 섬에다가 진흙을 쌓아두었는데, 소나무가 이로 인해 말라버려 이때 모두 베어냈다" 소나무는 원래 있었고.. 근데 왜 취향정은 지적을 안하시는지....

  • @Jeong-eun
    @Jeong-eun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아미산은 경회루 못파낸 흙 무더기 아니야. 글구 경복궁은 무덤이 있는 집이지 궁궐이 아니다.

  • @roadspothunter
    @roadspothunt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관문각은 고종이 지은 것이지 러시아가 지어준 것이 아닙니다. 관문각의 설계와 시공자가 사바틴일 뿐입니다. 그리고 집옥재는 청나라가 지어준 것이 아니라 창덕궁에 있던 것을 뜯어서 경복궁으로 옮긴것입니다.

  • @roadspothunter
    @roadspothunte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세키노 타다시의 한국건축보고서에 따르면 흥례문은 계단이 6단이라고 하였습니다. 수정전도 계단이 6단입니다. 강녕전의 계단이 6단인 것은 조선고적도보에 그렇게 사진이 찍혀 있기 때문에 1986년도에 복원할때 사진에 따라서 복원한 결과입니다. 경복궁의 계단이 5단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경복궁영건일기에 따르면 지형을 깍고 다진 기록이 여러번 나옵니다. 지형과 형세에 따라 계단을 놓은 것이라고 봐야 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또한 제후국으로서 삼조삼문의 정문은 흥례문이고 마지막 문은 연침인 강녕전의 정문인 향호문입니다. 그러나 경복궁은 명나라 멸망이후의 소중화 사상에 따라 광화문부터 따지면 5조 3문의 형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 @無用之用-v2r
    @無用之用-v2r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가장 특징적인 지붕의 형태는 언급도 안하네. 한중일 고대건축물의 가장 큰 차이는 지붕의 형태이며 이는 각국이 처한 자연환경과 미의식, 민족성을 반영한 결과다. 그리고 우리와 중국식 건물 차이로 이 건물은 높은 기단을 사용해서 위암감을 주는 형태인 것과 다층구조인 것이 결정적인 차이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언급도 안하고 디테일만 언급하면서 무슨 보는 훈련이 어쩌고....... 지붕에 있는 눈썹구조는 우리 건축에서는 넓게 펼쳐진 처마선 때문에 비가 들이칠 일이 없어서 불필요한 구조임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남녀노소와 상관없이 존대어를 사용해야지 사람이 기본이 안 돼있네ㅋㅋㅋ

  • @송원배-t3d
    @송원배-t3d Год назад

    해설은 그럴 듯한데 전 대통령을 "박정희"라고 하시하는 듯한 말투는 좀 고치시오. 그 당시 나라의 형편이나 의식 수준으로 많은 오류가 있었던 것은 지금부터라도 고쳐나가면 될것이고, 그런 것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책무요.

  • @yokolee5243
    @yokolee5243 Год назад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ucks

  • @pae4451
    @pae4451 Год назад

    유투브 섬네일이 남경이라고 해서 쭉봣는데.. 황당하네요.... 고려가 엄청난 영토를 지닌 대제국이였는데.. 왜 한반도에서 찾아요? 남경은 중국 양주입니다.. 서경이 북경이였고,.. 고려는 송나라 조차 고려에게 조공을 바친 큰나라였어요.. 중국 동남부가 고려 영토였어요..

  • @jeongeuihong2582
    @jeongeuihong2582 Год назад

    엄청 재미있게 봤어요

  • @Jeong-eun
    @Jeong-eun Год назад

    유구국 사신이 와 그 시절에 그 섬에 사람이 살앗읅까 참내 일본보다 더 먼데 뭔 유구국하고 가까웠다고 구라를 쳐

  • @Jeong-eun
    @Jeong-eun Год назад

    도성대지도 무덤을 없애기 위해서 경회루를 만들고 화단을 만들엇다.

  • @AK-sl4go
    @AK-sl4go Год назад

    교수님께서는 진정 인간 문화재이십니다.

  • @pandaeyes1125
    @pandaeyes1125 Год назад

    좋은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바로 책도 주문했네요!! 너무 흥미로운 주제라 영상 다 챙겨보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몇가지 있어서 댓글을 남깁니다. 우리나라 건축과 서양 건축의 비교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건축의 특징을 설명하는 것은 이해가 잘 되는 방식 같습니다. 저로서는 서양 건축 역시 정면성, 주변 자연과의 관계, 축 이런 것들을 적극 활용했다고 생각합니다. 동양 서양 건축 모두 인간에게 삶의 터전이 되기 위해 일맥상통하는 지향점이 있었단 생각 입니다. (영상에서는 서로 대척점에 있다고 설명하시는거 같습니다.) 파사드는 중세 고딕 도시의 밀집 지역에서 광장과 길에 면한 건축들의 정면일 것 입니다. (부석사로 치면 개별 건물의 정면이죠) 하지만 좀더 큰 범위에서는 부석사의 전체 배치처럼 중세 성곽 도시 틀 역시 주변 자연과 어떻게 관계 맺을지 고민한 결과가 아닐까요?

  • @냐옹화상
    @냐옹화상 Год назад

    소장님 만수무강하시어 많이 가르쳐주십시오. 잘배웠습니다.

  • @mijakim6601
    @mijakim6601 Год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 @최기수-z3z
    @최기수-z3z Год назад

    일생을 쉼 없이 초지일관하는 한국 사랑의 연구, 더욱 건강한 모습을 정면성 출간과 특강을 2023년 새해 벽두에 들으면서 그 모습 더욱 아름다웠습니다. 그 동안 쌓아두었던 실타래가 하나씩 세상에 출간되기를 기원함니다.

  • @도봉솟대
    @도봉솟대 Год назад

    얼마만에 업로드인지...감사합니다 잘보겠습니다

  • @WhatTheHell.mapsosa
    @WhatTheHell.mapsosa Год назад

    설명하시는 분이 뭔가 열정보다는 화가나는 말투와 급해보이네요

  • @날위한이별
    @날위한이별 Год назад

    고려의 남경은 상하이 쪽이라는데 중국 역사서에는 헛소리하지 말고 중국 자료나 찾아보고 그 다음에 발표 하세요.

  • @나카무라-e7s
    @나카무라-e7s Год назад

    쇼를하네 ㅎㅎ

  • @임태우-q7v
    @임태우-q7v 2 года назад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 @mirinho6870
    @mirinho6870 2 года назад

    우리 것을 열정적으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푸른칠의주말숙제
    @푸른칠의주말숙제 2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한주 한달을 마감하는 토요일 좋은 주말 오후 입니다 1년전 세계유산 종묘를 다녀오셨군요 저는 지난주에 종묘와 녹지대 복원구간을 다녀왔습니다 이영상을 보니 감회가 또 새롭습니다 좋은영상 잘보고 갑니다 좋은 주말되세요

  • @jaybshim
    @jaybshim 2 года назад

    거드름피우는 해설사 얼굴을 주로 보여주지 마시고 건물이나 정원의 아름다음울 더 보여주세요

  • @jaybshim
    @jaybshim 2 года назад

    해설사의 설명도 좋지만 해설사 얼굴보다는 경치 건물을 더 보여주세요

  • @Wandrative
    @Wandrative 2 года назад

    너무 유교주의적으로 갑자기 불교건축을 말하시네요. 우리목탑의 기원은 중국과 관계없음니다.

  • @marketg1612
    @marketg1612 2 года назад

    반말투가 정말 거슬리네요

  • @mihoelma8672
    @mihoelma8672 2 года назад

    잘 배우고 갑니다~감사합니다

  • @yangy9189
    @yangy9189 2 года назад

    재미 있습니다.을사5적보다 더한 역적 윤덕영이 지은 벽수산장에 관심이 있는데.설명 감사합니다.^^

  • @naturefruitmineralwater6307
    @naturefruitmineralwater6307 2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 @NOHDUTDOL
    @NOHDUTDOL 2 года назад

    정전은 서상제에 따라 왼쪽 부터 1실~19실 이라고 알고있습니다. 영녕정은 중앙에 태조 사대부가 1~4실 이고 서쪽건물이 5~10실 동쪽건물이 11~16실 이렇게 알고 있는데. 이것도 잘못 되어 있는건가요?

  • @TV-nb4lu
    @TV-nb4lu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TV-nb4lu
    @TV-nb4lu 3 года назад

    아! 아미산 이야기, 제대로 설명하시는군요.감사합니다!

  • @TV-nb4lu
    @TV-nb4lu 3 год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TV-nb4lu
    @TV-nb4lu 3 года назад

    귀한 자료를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건륭제-x9r
    @건륭제-x9r 3 года назад

    백악산같은 산은 위로 우뚝 솟은 꼬깔모자의 남성적인 양을 상징하는 청룡의 형상으로 주산으로 쓸 수 없습니다. 산이 반듯하게 궁을 보고 있지도 않고 감쌀수도 없으며 산얼굴이 동쪽을 향해 보고 있습니다. 그러니 주산과는 거리가 먼 것이지요. 경북도청의 검무산은 백악산처럼 삼각형이지만 양의 느낌이 적고 부드러우며 관청을 향해 반듯하게 보고 있습니다. 백악산처럼 남성적이면서 강한 살기도 없구요. 인왕산은 부드러운 바위에 장풍국으로 반듯하게 大자 모양으로 팔을 벌려 경복궁을 감싸주기 때문에 제왕형의 주산으로 전혀 손색이 없습니다. 남산은 호랑이가 고개를 숙이고 웅크린 복호형상으로 백호로써 손색이 없습니다. 그러니 바로 옆에 용산이 군사주둔지로 쓰인 것이지요. 백호는 군사를 상징합니다. 자연적인 풍수적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정치적인 논리적으로 궁을 세웠기에 바람 잘날이 없었던 것이지요. 방향론 풍수의 한계도 있거니와 형상이 분명한 멀쩡하고 건강한 청룡과 백호를 놔두고 청룡이 없는 것과 같은 언덕을 청룡으로 해서 궁을 지었으니 적통왕손과 국초외엔 왕실이 제대로 힘을 발휘하기도 힘들었지요. 주산격인 억세고 강한 인왕산을 백호로 했으니 왕실의 여자의 기상이 위세등등하여 군왕 뺨치는 왕비들이 나오게 되는 것이고 인수대비, 문정왕후, 명성왕후(현종비), 장희빈, 정순왕후, 명성왕후등 강한 외척들을 누르기가 힘들었습니다. 안산도 낙산처럼 낮지 않고 조산 또한 인왕산과 높이 비슷한 용마산이 아니라 2배나 높은 관악산을 선택함으로써 외세에 눌리게 되고 주산인 백악산 뒤로는 더 높은 북한산이 수렴청정처럼 간섭하고 있어 국가가 독자적인 기세를 펼치기가 힘들었습니다. 일단은 허약한 청룡을 선택하게 궁을 지은 것이 큰 실수입니다.

  • @daewonyang2613
    @daewonyang2613 3 года назад

    오 이분한번 뵙고 스승님으로 모시고 싶습니다

  • @냐옹화상
    @냐옹화상 3 года назад

    교수님 사가선생은 이극감 칠언절구 시를 수록해 놓았습니다. 장난 안 친것 같은데요?

  • @계림군파경주김씨수경
    @계림군파경주김씨수경 3 года назад

    잘 배우고 갑니다ㆍ

  • @초연결역사
    @초연결역사 3 года назад

    경회루가 정면 34.4미터 측면 28.5미터 높이 21.5미터로 한국의 단일 목조 건축물중 부피가 가장 크고 종묘 정전이 면적은 가장 넓은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근정전은 정면 30미터 측면 21미터 높이 22.5미터로 크기를 알수 있는 반면에 인정전은 미터법으로 나와있는 자료를 아직까지 못찾았습니다ㅜ 미터 법으로 하면 인정전의 정면길이 측면길이 높이가 어떻게 되는것인가요? 그리고 인정전과 근정전의 크기를 비교하면 어느쪽이 더 큰지 궁금합니다.

  • @leejongho.
    @leejongho. 3 года назад

    좋은 설명과 영상 잘 봤습니다.

  • @초연결역사
    @초연결역사 3 года назад

    와~ 유익하고 재미있네요 ㅎㅎ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訥祇
    @訥祇 3 года назад

    질문 있습니다. (Daum) 지도 보면, 정전/영녕전 방향이.. 문외한인 제가 보기에, 남서쪽을 보고 있습니다. 제사 지내는 동영상 보면 동쪽을 보시오, 서쪽을 보시오.. 등의 제사장 코멘트가 나옵니다. 그러면서.. 건물을 기준으로 하시더군요.. "대충/크게" 보면 맞겠지만.. 조금.. 껄쩍지근합니다. 건물이.. 정남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가 있을까요 ?

    • @tongyi_2013
      @tongyi_2013 3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채널에 들어와 답변이 늦어졌습니다. 죄송합니다. 질문과 관련하여, 종묘편 EP1 2분 50초 경부터 선생님의 설명이 있는데, 혹시 그것으로 답변이 부족할런지요...? ^^

    • @訥祇
      @訥祇 3 года назад

      @@tongyi_2013 넵, 말씀하신 곳에 가서 확인했습니다. .. 아쉽게도, 전혀.. 도움이 안 되었습니다. 정전은 너무 서쪽으로 돌아가 있습니다.

    • @訥祇
      @訥祇 3 года назад

      에피소드 5 내용 중 8분 42초에 정전 방향 말씀을 하시네요.. 물론, 조선신궁 얘기라서 아쉽지만.. 정전 방향이 이상한 거는 확실히 보입니다. 정전 방향은.. 대체 왜 그런지..

    • @訥祇
      @訥祇 3 года назад

      계좌정향 (癸坐丁向) 이라고 하는 데.. 저는 전문지식이 없어서.. 이쯤에서 정지합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