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립미술관 │ GAM
경남도립미술관 │ GAM
  • Видео 144
  • Просмотров 50 961
경남도립미술관 한국의 거장들 Chapter5. 전혁림
경남도립미술관 한국의 거장들 Chapter5. 전혁림 자료영상
청소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한국의 거장들'은 경남도립미술관 소장품 연구를 기반으로 기획 운영되며 이를 영구적인 자료로 축적하여 경남의 미술사를 이해하고자 합니다.
우리 지역의 작가를 조망하고 알리며 개별 작가의 삶과 예술 세계를 탐구해보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내 중‧고등학교 선생님들께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의 거장들 5. 전혁림편'을 미술 교육 자료로 제공하고자 합니다. 청소년 교육을 위해 힘쓰시는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고자 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Просмотров: 132

Видео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 인터뷰 2. 황원철(전 창원대 교수) & 김미윤(시인, 미술비평)
Просмотров 942 месяца назад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 인터뷰 2. 황원철(전 창원대 교수) & 김미윤(시인, 미술비평)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 인터뷰 1. 박석원(전 홍익대 교수) & 조송식(조선대 교수)
Просмотров 672 месяца назад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 인터뷰 1. 박석원(전 홍익대 교수) & 조송식(조선대 교수)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 VR전시 홍보영상
Просмотров 442 месяца назад
유택렬 탄생 100주년 기념전 《유택렬과 흑백다방 친구들》 VR전시 홍보영상 2024. 11. 1. - 2025. 2. 16. 경남도립미술관 1,2층 전시실 my.matterport.com/show/?m=ES94fFvw42G
《GAM 전시 20년 :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VR전시 홍보영상
Просмотров 132 месяца назад
《GAM 전시 20년 :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VR전시 홍보영상 2024. 11. 1. - 2025. 2. 16. 경남도립미술관 3층 전시실 my.matterport.com/show/?m=GpWEw3wk1AQ
《GAM 컬렉션 : 미래의 기억》 VR전시 홍보영상
Просмотров 522 месяца назад
《GAM 컬렉션 : 미래의 기억》 VR전시 홍보영상 2024. 6. 21. - 10. 16. 경남도립미술관 1,2층 전시실 my.matterport.com/show/?m=g798B9HwpZS
《추상과 관객》 VR전시 홍보영상
Просмотров 202 месяца назад
《추상과 관객》 VR전시 홍보영상 2024. 6. 21. - 10. 16. 경남도립미술관 3층 전시실 my.matterport.com/show/?m=ErvGkrPiNhz
개관 20주년 기념 소장품 기획전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인터뷰 3. 강선학 전 부산시립미술관 전 학예실장
Просмотров 1492 месяца назад
개관 20주년 기념 소장품 기획전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인터뷰 3. 강선학 전 부산시립미술관 전 학예실장/미술비평가(지역 공립미술관 소장품 수집과 지역미술사에 대하여) 경남도립미술관은 개관 20주년을 맞이하여 소장품 1,439점을 분류, 분석해 관람객들과 공유하고, 주요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지난 100년간의 한국과 경남미술의 큰 흐름을 살펴봅니다. 미술관이 지난 20년간 어떤 작품을 얼마만큼 수집해 활용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 미술관 소장품의 중요성과 역할을 되짚어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합니다.
개관 20주년 기념 소장품 기획전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인터뷰 2. 이규석 전 경남도립미술관 학예연구사
Просмотров 582 месяца назад
개관 20주년 기념 소장품 기획전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인터뷰 2. 이규석 전 경남도립미술관 학예연구사(소장품 수집과 관리, 활용 사항 등에 대하여) 경남도립미술관은 개관 20주년을 맞이하여 소장품 1,439점을 분류, 분석해 관람객들과 공유하고, 주요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지난 100년간의 한국과 경남미술의 큰 흐름을 살펴봅니다. 미술관이 지난 20년간 어떤 작품을 얼마만큼 수집해 활용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 미술관 소장품의 중요성과 역할을 되짚어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합니다.
개관 20주년 기념 소장품 기획전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인터뷰 1. 장정렬(경남도립미술관 학예팀장)
Просмотров 572 месяца назад
개관 20주년 기념 소장품 기획전 《GAM 컬렉션: 미래의 기억》 인터뷰 1. 장정렬 전 경남도립미술관 학예팀장(소장품 수집의 출발과 방향 설정 등에 대하여) 경남도립미술관은 개관 20주년을 맞이하여 소장품 1,439점을 분류, 분석해 관람객들과 공유하고, 주요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지난 100년간의 한국과 경남미술의 큰 흐름을 살펴봅니다. 미술관이 지난 20년간 어떤 작품을 얼마만큼 수집해 활용해 왔는지를 조망해 보고, 미술관 소장품의 중요성과 역할을 되짚어 앞으로의 방향을 가늠해 보고자 합니다.
[전시]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인터뷰 Part.3
Просмотров 402 месяца назад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인터뷰 Part.3 경남도립미술관은 2024년 개관 20주년을 맞이하여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를 개최합니다. 20년간 개최했던 주요 전시들을 주요 작품과 아카이브를 통해 되돌아보며, 경남도립미술관이 무엇을 주목해 왔고 이를 지역사회와 어떻게 나누어 왔는지 살핍니다. ✔기 간 : 2024. 11. 1. (금) ~ 2025. 2. 16. (일) ✔장 소 : 경남도립미술관 3층 ✔전시정보 : www.gyeongnam.go.kr/gam/index.gyeong?menuCd=DOM_000003401001000000&pageIndex=1&exhibitKey=1542
[전시]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인터뷰 Part.2
Просмотров 662 месяца назад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인터뷰 Part.2 경남도립미술관은 2024년 개관 20주년을 맞이하여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를 개최합니다. 20년간 개최했던 주요 전시들을 주요 작품과 아카이브를 통해 되돌아보며, 경남도립미술관이 무엇을 주목해 왔고 이를 지역사회와 어떻게 나누어 왔는지 살핍니다. ✔기 간 : 2024. 11. 1. (금) ~ 2025. 2. 16. (일) ✔장 소 : 경남도립미술관 3층 ✔전시정보 : www.gyeongnam.go.kr/gam/index.gyeong?menuCd=DOM_000003401001000000&pageIndex=1&exhibitKey=1542
[전시]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인터뷰 Part. 1
Просмотров 322 месяца назад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 인터뷰 Part.1 경남도립미술관은 2024년 개관 20주년을 맞이하여 《GAM 전시 20년: 어제의 대화를 이어갑니다》를 개최합니다. 20년간 개최했던 주요 전시들을 주요 작품과 아카이브를 통해 되돌아보며, 경남도립미술관이 무엇을 주목해 왔고 이를 지역사회와 어떻게 나누어 왔는지 살핍니다. ✔기 간 : 2024. 11. 1. (금) ~ 2025. 2. 16. (일) ✔장 소 : 경남도립미술관 3층 ✔전시정보 : www.gyeongnam.go.kr/gam/index.gyeong?menuCd=DOM_000003401001000000&pageIndex=1&exhibitKey=1542
추상과관객 Color, Shape and Active Audience
Просмотров 39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전혁림과 전현선의 구상과 추상의 혼용, 이성자와 오유경의 여성과 대지와 우주의 연결, 이준과 조재영의 일상의 차감과 분할이 서로 짝을 맺어 일치하고 이내 분리되었다가 또 전체가 합집합을 이루며 추상의 전통적인 의미를 느슨하게 흐트러뜨리고 때로는 견고하게 결속한다. 《추상과 관객》 2024. 6. 21. - 10. 6. 경남도립미술관 3층 Color, Shape and Active Audience 2024. 6. 21. - 10. 6. 3F Gyeongnam Art Museum #전혁림 #이성자 #이준 #전현선 #조재영 #오유경 #JeonHyeokLim #SeundjaRhee #JoonLee #JeonHyunsun #OhYouKyeong #ChoJaiyoung
[전시] 《경남·전남 청년작가 교류전: 오후 세 시》 VR 전시 영상
Просмотров 878 месяцев назад
VR 전시를 통해 《경남·전남 청년작가 교류전: 오후 세 시》의 주요 작품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미처 전시를 보지 못하셨거나, 이미 다녀가셨던 모든 분들에게 다시 한번 '오후 세 시'를 기억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 참여작가 감성빈, 김설아, 김원정, 노순천, 박인혁, 설 박, 윤준영, 이정희, 정나영, 정현준, 조현택, 최승준, 하용주, 한혜림 ⠀ ⠀⠀ 《경남·전남 청년작가 교류전: 오후 세 시》 경남도립미술관 3층 2024. 4. 5. - 5. 26. ⠀ 《Gyeongnam·Jeonnam Young Artists Exchange Exhibition: 3pm》 3F, Geongnam Art Museum 2024. 4. 5. - 5. 26. ⠀ ⠀ #경남도립미술관 #GAM #전남도립미술관 #...
《지금 경남 미술: 산 섬 들》 2부 VR
Просмотров 1418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 경남 미술: 산 섬 들》 2부 VR
《지금 경남 미술: 산 섬 들》 1부 VR
Просмотров 858 месяцев назад
《지금 경남 미술: 산 섬 들》 1부 VR
[교육]경남도립미술관 한국의 거장들 Chapter4. 이성자 자료영상
Просмотров 207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교육]경남도립미술관 한국의 거장들 Chapter4. 이성자 자료영상
《보통 사람들의 찬란한 역사》 전시 연계 어린이 교육 〈00살, 나의 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631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보통 사람들의 찬란한 역사》 전시 연계 어린이 교육 〈00살, 나의 이야기〉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7 앵콜곡_아리랑
Просмотров 723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7 앵콜곡_아리랑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6 깃발
Просмотров 29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6 깃발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5 하모니움
Просмотров 30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5 하모니움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4 보컬리제
Просмотров 23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4 보컬리제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3 산체스의 아이들
Просмотров 166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3 산체스의 아이들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2 무상
Просмотров 45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2 무상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1 가락
Просмотров 42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리듬]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TODA밴드_#1 가락
《아카이브 리듬》 VR
Просмотров 170Год назад
《아카이브 리듬》 VR
N ARTIST 2023 전시연계 퍼포먼스 파도라도
Просмотров 265Год назад
N ARTIST 2023 전시연계 퍼포먼스 파도라도
[전시] 《N ARTIST 2023: 더 느리게 춤추라》 한혜림 작가 인터뷰
Просмотров 458Год назад
[전시] 《N ARTIST 2023: 더 느리게 춤추라》 한혜림 작가 인터뷰
[전시] 《N ARTIST 2023: 더 느리게 춤추라》 조현수 작가 인터뷰
Просмотров 460Год назад
[전시] 《N ARTIST 2023: 더 느리게 춤추라》 조현수 작가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