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교수
문과교수
  • Видео 40
  • Просмотров 61 197
핫팩은 흔들어야지만 따뜻해질까?
이제 겨울이 가고 봄이 왔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추운 날씨가 지속되는데요.
추울 때마다 핫팩을 많이 사용하실겁니다.
핫팩을 뜯으면 우리는 대부분 다 흔드는데요.
과연 흔들어야지만 따뜻해지는 걸까요?
핫팩을 흔들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9 핫팩을 만든 사람
00:37 산화반응
01:32 요약
Просмотров: 77

Видео

MBTI가 과학이 될 수 없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3129 месяцев назад
이제는 다들 MBTI를 아실겁니다. 인터넷에서 검사를 대부분 하셨을거고 자신의 MBTI도 아실겁니다. 요즘은 면접 때에도 MBTI를 물어보는 회사들도 있는데요. 이쯤되면 MBTI가 과학인지 궁금하실겁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MBTI가 과학인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12 MBTI의 기원 00:46 MBTI가 과학이 아닌 이유 01:21 요약
나이가 들면 시간이 점점 빠르게 가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5 тыс.9 месяцев назад
어렸을 때에는 시간이 빨리 흘러서 어른이 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점점 1달이 빨리 가고 1년이 금방 갑니다. 왜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빨리 가는 것처럼 느껴질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나이가 들면 시간이 빨리 가는 것처럼 느끼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43 뇌의 노화 01:16 기억의 단순화 01:35 요약
왜 하필 겨울에 정전기가 더 발생할까?
Просмотров 133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건조한 겨울인 요즘 정전기가 더 자주 발생합니다. 전기는 습도가 높거나 물에서 굉장히 위험합니다. 왜냐하면 전기가 잘 통하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정전기는 왜 건조할 때 더 자주 발생할까요? 이번 영상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2 정전기란? 00:46 정전기가 발생해도 위험하지 않은 이유 01:02 건조한 곳에서 정전기가 더 자주 발생하는 이유 01:34 요약
강물은 어는데 바다는 왜 안얼까?
Просмотров 1,2 тыс.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계속해서 날이 추운 겨울입니다. 이런 추운 날에는 강이나 호수, 계곡 등은 업니다. 하지만 바다는 쉽게 어는 것을 못보셨을텐데요. 똑같은 물인데 왜 바다는 얼지 않는 걸까요? 이번 영상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6 어는점 및 염분 00:48 시간 01:00 파도 01:13 바다가 어는 곳 01:20 요약
눈이 쌓이면 왜 제설제를 뿌릴까?
Просмотров 8011 месяцев назад
겨울이 되면 눈이 내립니다. 눈이 내리게 되면 낭만이 있습니다. 하지만 눈이 쌓이게 되면 위험하기 때문에 눈을 빠르게 녹여야합니다. 눈을 녹이기 위해서 염화칼슘을 뿌린다는 것은 다들 알고 계실텐데요. 왜 염화칼슘을 뿌릴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눈이 쌓이면 염화칼슘을 뿌리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36 제설제의 종류 00:48 염화칼슘의 성질 01:27 염화칼슘은 환경에 해롭다 01:44 요약
겨울에 눈이 오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98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평소에는 비가 내리지만 겨울이 되면 비 대신에 눈이 내립니다. 눈이 오면 좋은 분들도 계시고 싫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대체 눈은 왜 올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눈이 오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16 눈이 오는 원리 00:50 눈이 오는 기온 00:58 요약
별똥별을 보기 힘든 이유
Просмотров 213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우리는 가끔 별똥별을 보면 소원을 빕니다. 그 소원이 이뤄진다는 소문이 있기 때문인데요. 친구들과 별똥별을 보고 있으면 본 사람이 있고 못 본 사람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별똥별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1 유성 00:48 별똥별을 쉽게 볼 수 없는 이유 01:16 별똥별을 볼 수 있는 방법 01:30 요약
1L는 누가 정했을까?
Просмотров 533Год назад
500[ml]의 콜라병이 있고 2[L]의 물이 있습니다. 우리는 L[리터]가 부피의 단위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1[L]는 어느정도의 양일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1[L]에 대한 영상입니다. 00:00 인트로 00:17 부피란? 00:26 1[L]의 정의 01:03 1[L] = 1[kg]?? 01:35 요약
1m는 누가 정했을까?
Просмотров 1,6 тыс.Год назад
세상에는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들이 많습니다. mm, cm, m, km, 리, 인치, 피트 등등 많습니다. 그렇다면 길이단위의 기준이 되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길이단위의 기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41 과거의 단위 01:05 미터법 01:31 크립톤 86 01:42 빛의 속도를 이용한 1m 02:03 요약
1초의 정의
Просмотров 2,7 тыс.Год назад
1년은 365일이고 1일은 24시간입니다. 1시간은 60분이고 1분은 60초입니다. 그렇다면 1초는 어느 정도의 시간 흐름일까요? 이번 영상에는 1초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0:00 인트로 00:17 지구의 자전을 기준으로 한 1초 00:57 세슘원자를 기준으로 한 1초 01:24 요약
헬륨가스는 어떻게 우리의 목소리를 바꾸는걸까?
Просмотров 225Год назад
다들 한 번쯤은 헬륨 가스를 마셔 본 적이 있거나 마신 걸 본 적이 있으실겁니다. 헬륨가스를 마시고 잠깐동안은 목소리가 고음이 되는데요. 왜 목소리가 바뀔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헬륨가스가 목소리를 바꾸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16 목소리가 나오는 원리 00:35 매질 01:24 요약
소리없는 방구가 냄새나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350Год назад
방구소리가 크면 방구냄새는 안납니다. 하지만 몰래 방구를 뀌게 되면 냄새가 많이 나는데요. 왜 그럴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방구의 소리와 냄새의 관계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2 방구 냄새가 나는 이유 01:05 방구 뀔 때 소리가 나는 이유 01:52 요약
번개가 치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219Год назад
번개를 한 번쯤 보신적이 있으신가요? 비가 심하게 오는 날이면 번개가 칠 때가 있습니다. 번개는 왜 치는 걸까요? 이번 영상에서는 번개가 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7 번개가 치는 이유 01:08 천둥소리가 번개보다 늦게 들리는 이유 01:24 요약
달이 빛날수 밖에 없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668Год назад
낮에는 태양이 뜨고 밤에는 달이 뜹니다. 태양은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여서 우리가 보지만 달은 그저 암석 덩어리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달을 볼 수 있을까요? 달이 빛나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00:00 인트로 00:21 태양빛 00:43 달이 다양한 색인 이유 01:00 달의 형태가 바뀌는 이유 01:32 달의 크기가 바뀌는 이유 01:45 요약
흰 머리가 나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618Год назад
흰 머리가 나는 이유
종이 빨대 그만 써야하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437Год назад
종이 빨대 그만 써야하는 이유
자고 일어났는데 더 피곤한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3 тыс.Год назад
자고 일어났는데 더 피곤한 이유
인류는 우주의 5%만을 이해했다. 나머지 95%는 무엇인가?
Просмотров 2,4 тыс.Год назад
인류는 우주의 5%만을 이해했다. 나머지 95%는 무엇인가?
나뭇잎이 초록색인 이유
Просмотров 759Год назад
나뭇잎이 초록색인 이유
우주가 어두운 이유
Просмотров 31 тыс.Год назад
우주가 어두운 이유
밥을 먹고 배부르면 졸린 이유
Просмотров 316Год назад
밥을 먹고 배부르면 졸린 이유
비행기 모드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Год назад
비행기 모드를 할 수 밖에 없는 이유
습도가 높으면 더 덥다고 느끼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440Год назад
습도가 높으면 더 덥다고 느끼는 이유
24시간이 하루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9 тыс.Год назад
24시간이 하루가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빨간 바다가 아닌 푸른 바다인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8 тыс.Год назад
빨간 바다가 아닌 푸른 바다인 이유
당신이 무선 이어폰으로 노래를 들을 수 있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678Год назад
당신이 무선 이어폰으로 노래를 들을 수 있는 이유
먹구름이 어두운 색인 이유?!
Просмотров 539Год назад
먹구름이 어두운 색인 이유?!
다이아몬드는 과연 불에 탈까?
Просмотров 748Год назад
다이아몬드는 과연 불에 탈까?
내 목소리는 왜 별로일까?
Просмотров 124Год назад
내 목소리는 왜 별로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