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joron
gujoron
  • Видео 218
  • Просмотров 611 325
5회. 2부. 추미애 코미디
5회. 2부. 추미애 코미디 20160922
6. 추미애 코미디
7. '여자는 밥 혹은 몸'
류근 시인 둘러싼 '여혐' 논란, 왜? 페미니즘 평론가들 "여성에 낭만적 태도도 여혐" "문학을 정치적 잣대로만 판단해선 안 돼" 반론도
8. 이성이란 무엇인가?
뇌는 그냥 기름통이다.
9. 미르재단의 비밀
미르+K스포츠는 미릌 - 미륵재단
10. 현장 질의응답
Просмотров: 1 803

Видео

5회. 1부. 추석 툭 한마디 비수로
Просмотров 8928 лет назад
5회_ 1부_ 추석 툭 한마디 비수로_20160922 1) "추석 차례상서 툭 한마디, 비수로 박힙니다" 10~50대 "이런 말은 그만" 10대→ "살쪘네" 20, 30대→ "취직은?" 50대→ "옆집 아들 연봉이.. 2) 김정은 핵도발 왜 이러는가? 박근혜는 김정은 핵실험 알고 있었다. 3) 질문하지 말고 반격하라 1boon.kakao.com/awake/bookdigest112 다섯번 질문하는 5why기법 4) 농촌은 노인에게 좋지 않다. "도시 노인은 경제력·농촌은 네트워크 때문에 자살" 서울대 행정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농촌의 네트워크 접근성 제고 필요" 5) 밀정은 친일영화다. 밀정', 창피를 모르는 친일파의 궤변 잠재운 깊은 울림
4회. 중국인의 가정교육_2부
Просмотров 1,2 тыс.8 лет назад
구조론 방송 4회.중국인의 가정교육_2부 20160908 5. 아란도님: 중국인의 가정교육 6. 신영님: 신은 인간을 사랑하는가? 7. systema님: 경제란 무엇인가? 8. 기타 질의응답
4회. 구글 아라폰의 실패_1부
Просмотров 2,4 тыс.8 лет назад
구조론 방송 4회 _ 1부 1) 구글 아라폰의 실패 2) 앨론 머스크의 위기 3) 정조임금의 환상 4) 눈마님 한국 중산층의 특이성 5) 아란도님의 중국인의 가정교육
3회.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체_2부
Просмотров 1,4 тыс.8 лет назад
3회.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체_2부 1. 윤창중 2. 추미애 3. 친문지도부 4. 포스트모더니즘 5. 석가의 연기사상 6. 질의응답
3회.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체_1부
Просмотров 4 тыс.8 лет назад
1. 윤창중 2. 추미애 3. 친문지도부 4. 포스트모더니즘 5. 석가의 연기사상 6. 질의응답 *사운드클라드, 팟빵, 팟캐스트 서비스를 이용하시면 모바일로 청취할 수 있습니다.
2회. 대단한 나라 대한민국
Просмотров 2,8 тыс.8 лет назад
구조론방송 2016년 8월 25일분 1. 대단한 나라 대한민국 2. 자기 자신과 화해하라 3. 건국했나 건국당했나? 4. 다윈주의는 인종주의다 (진화심리학에 대하여)
1회.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라_1부
Просмотров 4,2 тыс.8 лет назад
구조론 방송국 첫번째 방송 1. 조계종 문제와 종교의 본질 2. 추미애가 되어야 하는 이유 3. 범인은 한중일 세 나라다 4. 인생의 문제를 해결하라 5. 여성은 왜 아름다운가? 6. 전략과 전술의 차이 7. 기타 질의응답
노무현의 전략160811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8 лет назад
노무현의 전략160811
서양철학은 없다160804
Просмотров 2,5 тыс.8 лет назад
서양철학은 없다160804
최초의깨달음160721
Просмотров 3,1 тыс.8 лет назад
최초의깨달음160721
김민희와 홍상수160623
Просмотров 21 тыс.8 лет назад
김민희와 홍상수160623
괴베클리 테페의 충격 160609
Просмотров 8 тыс.8 лет назад
괴베클리 테페의 충격 160609
왜 사는가160519
Просмотров 5 тыс.8 лет назад
왜 사는가160519
신은 누구인가160421
Просмотров 10 тыс.8 лет назад
신은 누구인가160421
잔다르크160407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8 лет назад
잔다르크160407
철학의 족보160324
Просмотров 2,2 тыс.8 лет назад
철학의 족보160324
도불원인160225
Просмотров 1,1 тыс.8 лет назад
도불원인160225
160218 극기복례
Просмотров 1,3 тыс.8 лет назад
160218 극기복례
160121 확산이냐 수렴이냐
Просмотров 1,5 тыс.9 лет назад
160121 확산이냐 수렴이냐
160107 철학용어
Просмотров 1,8 тыс.9 лет назад
160107 철학용어
151231 맨 처음의 논리
Просмотров 1,1 тыс.9 лет назад
151231 맨 처음의 논리
151217 구조론 요점정리
Просмотров 2,5 тыс.9 лет назад
151217 구조론 요점정리
151210 세상은 대칭으로 이루어져있다
Просмотров 1,5 тыс.9 лет назад
151210 세상은 대칭으로 이루어져있다
151203 구조론적 사고
Просмотров 9159 лет назад
151203 구조론적 사고
151126 양자화
Просмотров 8109 лет назад
151126 양자화
151119 부드러움과 견고함, 환빠 타도
Просмотров 1,5 тыс.9 лет назад
151119 부드러움과 견고함, 환빠 타도
도생일15 11 05
Просмотров 5399 лет назад
도생일15 11 05
[김동렬의 구조강론] 깨달음(2015. 10. 29)
Просмотров 1,5 тыс.9 лет назад
[김동렬의 구조강론] 깨달음(2015. 10. 29)
[김동렬의 구조강론] 엔트로피 증가
Просмотров 1,4 тыс.9 лет назад
[김동렬의 구조강론] 엔트로피 증가

Комментарии

  • @nongangkorea
    @nongangkorea 7 месяцев назад

    반말이 거슬린다

  • @JJJ-JJJt7n
    @JJJ-JJJt7n 2 года назад

    실존과 본질에 대한 언급은 보강이 필요해 보입니다. 예도TV를 참고하시면 좋을듯 합니다^^

  • @JJJ-JJJt7n
    @JJJ-JJJt7n 2 года назад

    통찰력이 뛰어나십니다^^

  • @vivaq3110
    @vivaq3110 2 года назад

    변화는 내부에

  • @yjyoo52
    @yjyoo52 2 года назад

    모든 구조에 대한 탐구의 효시는 1800년대 초 프랑스의 수학자 갈루와가 5차방정식의 불가해를 증명하기 위하여 사용한 군구조입니다. 이걸 모두 배끼기 시작했죠

  • @천헌준
    @천헌준 2 года назад

    어떻게 알아야 살아야 되는가 ᆢ알아서 사세요 ㆍ

  • @천헌준
    @천헌준 2 года назад

    나는 누군가ㆍ?

  • @윅...윅
    @윅...윅 3 года назад

    보수적인 디자인이 좋은 디자인인줄 아네

  • @윅...윅
    @윅...윅 3 года назад

    지 생각을 개똑똑한 교수처럼 말하면서 걍 각인시켜버리네

  • @JINSEOKIM0730
    @JINSEOKIM0730 3 года назад

    뭐야 이자식 ㅋㅋㅋㅋ 좀 웃긴걸 ㅋㅋㅋ

  • @kimsunghiangel
    @kimsunghiangel 3 года назад

    귀족 적 삶도 모르고.. 인생의 삶은 ? 평안과 자유와 평등의 긍휼의 지향성을 추구해야 하는거지..

  • @kimsunghiangel
    @kimsunghiangel 3 года назад

    선생님은 낭만을 모르누만...

  • @단디-w1q
    @단디-w1q 3 года назад

    글씨도 철학적으로 쓰네

  • @랜디로즈-h4r
    @랜디로즈-h4r 3 года назад

    군대에 있엇을때 이것들이 꼭 주말에 탈영 합니다 ㅋㅋㅋㅋㅋ

  •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3 года назад

    다원주의는 개인도 각자의 개성이 있듯이 국가나 사회, 단체도 그 고유성을 인정해 주는 주의

  •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3 года назад

    저 사람 모양이 홈즈의 수수께끼

  •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3 года назад

    총균쇠 총 세균 쇠철 이게 뭐야 ㅎㅎ 대가리가 다이아몬든가 ㅋㅋ

  •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3 года назад

    태권진천하 이 영화 보면 진작부터 있었던 태권도 글구 태껸도

    • @anonymous-dl7rv
      @anonymous-dl7rv 3 года назад

      저 영화는 개화기 때 중국에서 ,,,, 선교사랑 게다짝이랑 나옴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동력학적으로 보면 2*2*2*2*의 방식의 에너지를 2+2+2+2+의 방식과 조합하면 무한적으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주변을 둘러 보세요.

  • @user-qs9vm2ve8r
    @user-qs9vm2ve8r 3 года назад

    무한 동력은 없지만 일정한 시스템이 주변에서 에너지가 될수 있는 것을 끌어다가 시스템에서 원하는 만큼 계속 자동으로 쓸수 있으면 ,그것으로 되는 것 아닌가요? 전체에는 이상이 없지만 끊임없이 사용이 가능 하죠.

  • @joluego3416
    @joluego3416 3 года назад

    짜식! 난 하루에 거짓말도 자주 하는데... 그자식은 말하는게 동생같어 - 순수한 녀석

  • @지호야-n2t
    @지호야-n2t 3 года назад

    이때 주식 샀으면 부자됬네 젠장 테슬라 ㅋㅋㅋㅋ

  • @firsthousetv
    @firsthousetv 4 года назад

    양자역학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영상, 입자로 보지 않고 파동이나 유체로 보아야한다는 부분으로 이해하면, 양자역학도 어려운게 아니라 이해할 수 있는 것, 양자 컴퓨터도 만드는데, 이제는 상식으로 받아 들여야하지 않을까? 우리 초등학교 아이들 한테도 파동과 유체라고 양자역학을 설명해주고 있는데 처음부터 양자를 설명하니 오히려 그리 어렵지 않게 이해함.

  • @배영숙-w2u
    @배영숙-w2u 4 года назад

  • @홍귀-o4r
    @홍귀-o4r 4 года назад

    목소리가 엄청 앳된 시절이네요 ^^

  • @여름계혁세우기
    @여름계혁세우기 4 года назад

    재미있는시간이 철학시간이다ㆍ인류와인간

  • @홍맨샤
    @홍맨샤 4 года назад

    양자는 양자화 된 것을 말하는것인데 에너지를 예로들면 에너지의 양자화 라고 하면 에너지가 일정한 값을 가지고 있다는거에요 물리학에서 일정한값이란 1 2 3 이런게 일정한 값이라 하면 1.1 1.3 이런건 일정한 값이 아닌거에요 그러니가 쉽게 설명하면 계단을 올라갈때 1칸 2칸 3칸 올라 가잖아요? 근데 우리가 1.2칸 이렇게 올라가지는 못하잖아요 이렇게 일정한 숫자의 연속이 양자화에요 근데 양자화라고 해서 양자화가 된게 아니라 원래 양자화 되어있는거에요. 아저씨는 지금 문법강의를 하는것도 아니고 수학더 아니거 뭐하는거에요?

  • @단디-w1q
    @단디-w1q 4 года назад

    이 무슨 개소리야 정말 헛웃음 나오는 또라이네 이게 가짜다

  • @연둣빛아씨
    @연둣빛아씨 4 года назад

    강의를 들으면 하루가 배가부릅니다 늘 찾아보니 살이 많이 쪘어요~^^

  • @laverdadlibera8949
    @laverdadlibera8949 4 год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창조주를 사랑하는 모든분들께 이글을 추천합니다 유다는 며느리와 성관계한 적이 없다!(그 증거) blog.naver.com/truth-free

  • @극-v5l
    @극-v5l 4 года назад

    세계 혁명을 해야 한다!

  • @박용환-p5m
    @박용환-p5m 4 года назад

    보수는 자유민주주의고 진보는 빨갱이가?

  • @joluego3416
    @joluego3416 4 года назад

    천성이 반골이구만-써니힐도 그런 꿈을 가졌지. 이제 헤어질 시간이야 안녕.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대상과 나와의 관계를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한다. 그 때 통제가 가능하다. 안다는 것은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 @enochjung
    @enochjung 4 года назад

    어지럽게 왜 자꾸 줌인을 하십니까? 칠판 전체가 나오도록 고정해 놓으면 됩니다. 왜 나이드신 분 얼굴을 계속 따라가면서 줌인을 하시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 @보고있다-o3l
    @보고있다-o3l 4 года назад

    홀로그램?

  • @이태원호구살이
    @이태원호구살이 4 года назад

    세상다움 안에서 자기다움(style)을 찾기. 의도적으로 예민해지기. P.s. 말씀 중에 나오는 영화 '마션' 봐야지

  • @바다-d6m6c
    @바다-d6m6c 4 года назад

    너무 건너뛰며 설명하셔서 이해하기 힘듭니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보수는 진보가 계속 진보할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진공의 진동이 상호작용을 할 때 물질이 생성된다.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대칭구조가 되어야 한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본질을 시간적으로 보는 것이 공간적으로 보는 것보다 풍성하다. 미래 사회는 생존 경쟁의 사회가 아니므로 대승의 차원에서 인류에게 아름다움을 주는 길을 추구해야 한다. 디자인에서 우위를 점하여 생태적 지위를 높이면서 즐거움을 발견한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회사를 차린다는 것은 회계를 자기가 모르는 사람에게 맡겨야한다. 이것을 넘지 못하면 장사에 머무른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팀을 만들어 팀으로 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하지 팀이 이기느냐 마느냐의 결과까지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전체가 부분에 앞선다! 파이를 키워가는 것이 에너지이고 이것을 드러내는 것이 담론이다.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능력이 깨달음이다. 판단을 말 할 때는 기준을 먼저 밝힌다. 날기위해서는 바람을 이용해야한다. 공중에 있는 바람을 이용하려고 하기만 하면 날 수 없다. 스스로 바람을 만들어야 한다. 한 개의 사건에서 답을 찾으려고 하면 실패한다. 반드시 두 개의 사건이 있어야 한다. 자존심이 없으면 퇴행 행동을 하게 된다. 미국의 금주법이 그 예이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답을 모르는 순수한 상태에서 일반인은 다음 단계의 계획이 있는 쪽을 선택한다. 그것은 대부분 옳바른 선택이 아니다. 앞으로 2년간은 박근혜 지지율이 유지되다가 곤두박질 친다는 김동렬님의 예언대로 2016년 10월 24일 JTBC 태블릿 사건이 터진다.

  • @SANGJU_FIRST_CH
    @SANGJU_FIRST_CH 4 года назад

    오랜만에 뵈니 만갑습니다

  • @이태원호구살이
    @이태원호구살이 4 года назад

    강자 포지션이 중요하군요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세상과 반대 방향으로 가다가 등을 돌린 순간 세상과 마주하게 된다. 만나서 특이점을 형성하면 에너지가 생긴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인생은 선악 구조로 가면 안되고 고수와 하수의 대결로 가야한다. 인생은 장기전이므로 고수는 져주면서 이기는 전략을 구사한다. 21세기가 이것을 필요로 하느냐를 가지고 자기다움을 만들어 가야 한다. 세상다움 안에서 자기다움을 만들 때 에너지가 생긴다.

  • @namsadangnori
    @namsadangnori 4 года назад

    흐름을 따라 가면서 흐름을 만들어야 한다.

  • @dskim9341
    @dskim9341 4 года назад

    농업 종교 과학 순서의 진보가 있었다고 하는데 진보라고 정의내리는 기준이 뭐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