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심리학
5분심리학
  • Видео 278
  • Просмотров 380 239

Видео

잘 생긴 사람을 왜 조각에 비유할까? #5분심리학 #진화론적시각 #미의기준
Просмотров 516День назад
조각미남의 기원?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조각은 서양(그리스/이탈리아 등)에서 만들었다는 사실!! 그렇다면 조각미남으로 대표되는 미의 기준 역시 서양의 그것이 아닐까요/ 조각과 닮지 않은 우리의 외모는 과연 못생긴 것일까요?
지는 것을 싫어하는 한국인 #5분심리학 #씨름 #스모 #일본인의인식
Просмотров 27714 дней назад
씨름과 스모의 차이! 두 사람이 힘을 겨루는 스포츠는 세계 여러 곳에서 보입니다만 그 규칙은 모두 다르죠. 전통적 스포츠의 규칙에는 그 문화 사람들의 가치관과 생각들이 녹아있습니다. 과연 한국의 씨름과 일본의 스모는 어떻게 다를까요? #선을넘는한국인 #선을긋는일본인
전국민이 태몽이 있는 나라!! 한국은 무속의 나라인가?? #5분심리학 #종교심리학 #신간소개
Просмотров 24721 день назад
한선생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 한국의 종교와 문화에 대한 "대담한 도발" 『숭배하는 자들, 호모 피델리스』 종교의 기원에서부터 한국 종교의 문화적 특성!! 광신과 사이비, 종교의 미래까지~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4738092 #한민 #종교 #문화심리학 #숭배하는자들 #호모피델리스
한국인이 술게임을 하는 이유 #5분심리학 #술게임
Просмотров 19521 день назад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아파트! 로제와 브루노마스의 '아파트'는 한국의 술게임에서 유래됐는데요~ 한국인들은 왜 술먹을 때 게임을 하는 걸까요? 다른 나라에는 잘 없다는 술게임의 심리를 알아봅니다~ #로제 #브루노마스 #아파트 #술게임
신랑 발바닥을 때린 이유? #동상례 #5분심리학
Просмотров 364Месяц назад
과거 우리나라에는 결혼식을 하고 나서 신랑 발바닥을 때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지금도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이 '동상례'라는 풍습의 기능은 무엇일까요?? 문화에는 현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이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영상에서 확인하시죠~ #5분심리학 #신랑발바닥때리기 #문화의기능 #잠재적 #현시적 #발바닥 #용천혈 #갑돌이 #갑순이
박소담의 눈은 조선의 눈인가? #오리엔탈리즘 #5분심리학
Просмотров 779Месяц назад
언제부턴가 한국 여성들의 외모를 이야기할 때 '동양적이다'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요. 과연 '동양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그들이 동양적으로 생겼다면 안 그렇게 생긴 동양인들은 '서양인'을 닮은 것일까요? 은연중에 사용하고 있는 미의 기준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5분심리학 #조선의눈 #오리엔탈리즘 #미의기준 #박소담 #김고은 #lucyliu #조선
한국인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 #자기차이이론 #5분심리학
Просмотров 662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인이 행복하지 않은 이유 #자기차이이론 #5분심리학
[심리학개론] 감옥실험
Просмотров 307Месяц назад
[심리학개론] 감옥실험
[심리학개론] 권위에의 복종
Просмотров 225Месяц назад
[심리학개론] 권위에의 복종
'나의 해리에게' 주은호 & 정현오 커플의 연애유형
Просмотров 139Месяц назад
'나의 해리에게' 주은호 & 정현오 커플의 연애유형
[심리학개론] 동조실험
Просмотров 1592 месяца назад
[심리학개론] 동조실험
드라마 『나의해리에게』 리뷰① : 주은호의 해리는 왜 시작되었을까?
Просмотров 3752 месяца назад
드라마 『나의해리에게』 리뷰① : 주은호의 해리는 왜 시작되었을까?
[경축] 5분심리학 수익창출 개시!!!
Просмотров 1552 месяца назад
[경축] 5분심리학 수익창출 개시!!!
[문화심리학] 권력거리
Просмотров 2292 месяца назад
[문화심리학] 권력거리
[심화학습] 부모의 싫었던 모습을 자식들이 반복하는 이유
Просмотров 1,3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심화학습] 부모의 싫었던 모습을 자식들이 반복하는 이유
[문화심리학] 홉스테드의 문화차원
Просмотров 2203 месяца назад
[문화심리학] 홉스테드의 문화차원
[방법론] 현상학적 연구
Просмотров 1993 месяца назад
[방법론]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질적연구방법
Просмотров 1583 месяца назад
[방법론] 질적연구방법
[문화심리학] 신명이란 무엇인가?
Просмотров 3653 месяца назад
[문화심리학] 신명이란 무엇인가?
[방법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Просмотров 2304 месяца назад
[방법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변인들의 종류 1
Просмотров 1544 месяца назад
변인들의 종류 1
[심화학습] 감정이 만들어지는 과정
Просмотров 3064 месяца назад
[심화학습] 감정이 만들어지는 과정
[방법론] 투사법
Просмотров 2464 месяца назад
[방법론] 투사법
[심화학습] 심리학은 과학인가?
Просмотров 3225 месяцев назад
[심화학습] 심리학은 과학인가?
귀신이란 무엇인가?
Просмотров 5505 месяцев назад
귀신이란 무엇인가?
[심화과정] 티틀의 통제균형이론
Просмотров 2215 месяцев назад
[심화과정] 티틀의 통제균형이론
접촉경계장애 기제 2
Просмотров 218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접촉경계장애 기제 2
접촉경계장애 기제1
Просмотров 324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접촉경계장애 기제1
[심화학습] 게슈탈트 치료의 개념들
Просмотров 2746 месяцев назад
[심화학습] 게슈탈트 치료의 개념들

Комментарии

  • @hyejue
    @hyejue 5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게슈탈트가 궁금해서 왔어요

  • @bluesky07112
    @bluesky07112 6 дней назад

    요즘 범죄심리학, 범죄학개론 공부중인데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ㅎㅎ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6 дней назад

      @@bluesky07112 감사합니다. 주위에 소문 내주세요^^

  • @sapereaude4482
    @sapereaude4482 6 дней назад

    무당은 유전됩니다..

  • @shin7370
    @shin7370 6 дней назад

    하이~~명태균은 뭘까요. ㅎㅎ 제가 아는 저명한 무속인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무속을 이어가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이렇게 표현할 수 있죠. "그 받은 내림 받은 신 선한 신 맞아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6 дней назад

      @@shin7370 명태균은 무당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ㅎㅎ

  • @dddo6216
    @dddo6216 8 дней назад

    잘봤습니다

  • @이민혜-j4e
    @이민혜-j4e 10 дней назад

    자신을 돌아보게 되네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10 дней назад

      @@이민혜-j4e 감사합니다^^

  • @Chae_won_I
    @Chae_won_I 10 дней назад

    ㅋㅋㅋ교수님 알람울릴때 찐으로 훼방받았다는 느낌이신데 😂😂😂 당연한거지만 한번도 고찰해보지 못했던 이야기였어요 재밌었습니다 다음영상도 시청할게요 👏👏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10 дней назад

      @@Chae_won_I 감사합니다^^. 주위에 많이 알려주십시오 ㅎㅎ

  • @shin7370
    @shin7370 12 дней назад

    ㅎㅎ 교수님. 책 "호모 피델리스" 잘 보았어요^^ 동료들에게도 소개했어요 ㅋㅋㅋ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12 дней назад

      @@shin7370 앗 네^^. 감사합니다 ㅎㅎ

  • @김새봄-c2j
    @김새봄-c2j 18 дней назад

    와아아아! 대박! 너무 재밌을거 같아요 교수님😊 신간 출간 축하드립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18 дней назад

      @@김새봄-c2j 감사합니다, 선생님^^

  • @jyheaux4043
    @jyheaux4043 19 дней назад

    5분 심리학 다음 편도 두고 봅시다.

  • @모호의밀실
    @모호의밀실 21 день назад

    선생님께서 종교 관련 책을 내주시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감사합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1 день назад

      저를 그럴 수 있는 사람으로 봐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crystaloh5457
    @crystaloh5457 23 дня назад

    재밌었는데 5분 넘 아쉬워요 !! ㅎㅎ 책 사서 읽어야겠어요 !!

  • @정영민-l9q
    @정영민-l9q 24 дня назад

    무속의나라가 아니라 우리민족은 신을 섬겼어. 10000년전 부터. 배달국까지 넘어와도 신을 섬겼어. 그래서 우리 민족은 신을 섬기는 국민인거야. 인디언처럼. 어차피 같은 친척이지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4 дня назад

      @@정영민-l9q 그게 지금 무속이라 부르는 그거야. 우리는 신을 섬겨온 민족이지. 책을 읽어줬으면 좋겠어~

  • @shin7370
    @shin7370 25 дней назад

    헉....이런 책이!! 어머 이건 사야돼!!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25 дней назад

    0교시 부모영역 김성곤 교수입니다. 평소 한민 교수님을 존경하는 사람으로 주문완료!! 했습니다. 여러분도 꼭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5 дней назад

      @@0th_parents.domain 감사합니다, 교수님^^

  • @TheWonderchoi
    @TheWonderchoi 25 дней назад

    한민교수님의 콘텐츠가 영상미로 업글 중이네여. 넘 재미있게 잘봤습니다!!! ㅋㅋㅋ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5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ㅎㅎ 아파트 아파트~

  • @jyheaux4043
    @jyheaux4043 27 дней назад

    아파트 아파트 너무 소심하게 하신 것 같은데요 ㅋㅋ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7 дней назад

      @@jyheaux4043 ㅋㅋ 시작하고 보니 현타가 와서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27 дней назад

    계속해서 진화하는 교수님의 개그와 유익한 내용 감사드립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7 дней назад

      @@0th_parents.domain 감사합니다 ㅎㅎ

  • @중中식가
    @중中식가 29 дней назад

    심리학 책을보게돼서 처음으로 교수님 의 심리학 영상을 접하게 되었는데 영상 모두 이해 쉽게 설명해주셔서 공부가 되네요 재밌고요 자주 영상 찾아보겠습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9 дней назад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니 다행이네요~

  • @김서중-z7o
    @김서중-z7o Месяц назад

    내용이 넘신박하네요 저도장가들때 무지하게 많이 맞았던 기억이나네요 ㅋㅋ 갑순이와 갑돌이만 알겠지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김서중-z7o 경험자가 계셨군요^^

    • @김서중-z7o
      @김서중-z7o Месяц назад

      @5분심리학 아참 책소개좀 부탁드립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 네 조만간 올라갈 예정입니다^^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Месяц назад

    오늘도 재밌는 강의 감사합니다. 새로 나온 책 이야기도 자주 해주세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네, 조만간 올리겠습니다^^

  • @愛之傷
    @愛之傷 Месяц назад

    크고 또렷한 눈은 동서고금을 떠나 확고한 미의 기준이라고 봅니다. 말씀하시는 것 처럼 훌륭한 배우님의 이런 부분이 예쁘다 라는 건 동의하지만 거기에 굳이 동양적이니 하는 말이 필요없다고 생각해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愛之傷 맞습니다. 박소담씨 충분히 매력 있는 분인데요^^

  •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 Месяц назад

    유치원 여자 아이들 쌍꺼풀 비율을 조사해 봤더니 소수였는데, 대학교 4학년 졸업반 여자들 쌍꺼풀 비율을 조사해봤더니 다수였더라. 이 조사를 진짜로 한건지 아닌지 알수는 없지만 확실히 우리나라 여자들 쌍꺼풀 수술 많이 하지요. 쌍꺼풀 수술은 수술로 치지도 않는다고 할 정도로요. 굳이 쌍꺼풀 수술을 너무 많이들 해서 조선의 눈이 어떤건지 알수가 없어진 여자들 가지고 판단하지 말고 남자들 눈을 봐도 쌍꺼풀은 소수지요. 그럼 박소담 눈은 조선의 눈 맞네요. 그리고 그림이 아니라 20세기 초 기생들 찍은 기록사진을 봐도 외꺼풀 눈이 조선의 눈 맞구요. 한국적인 눈을 서양인들이 미개하다고 여긴다구요? 몇몇 방송에 나온 서양인들이 동양인들의 외꺼풀 눈이 매력적이라고 얘기한걸 본적도 있는데요. 그네들도 그냥 사람마다 취향이 존재하는 것 뿐이지 차별주의자들이 찢어진 눈 흉내를 낸다고 그들 전체가 우리를 미개하다고 본다고 비난하는 것도 문제가 있는 것 같은데요. 아시아적인 특징이 강한 모델을 기용하는 것도 분명 그걸 매력적이라고 느끼니까 그런것 아닌가요? 서양인들이 각진 턱을 매력적으로 느낀다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잖아요. 다른 인종의 외모에 대한 백인들의 관점에 문제가 있다면 우리들이 서양의 금발 미녀에게 매력을 느끼는 것도 문제가 있는건가요? 서양인을 우월하게 여겨서 매력을 느끼는게 아니라 그냥 예뻐서 좋아하는 것 뿐인데요. 오리엔탈리즘이라고 동양인 스스로 들먹이는건 거기에 서양인들에 대한 열등감이 강하게 작용해서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분명히 있는것 같네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우리들이 서양의 금발미녀를 좋아하는 것도 당연히 문제가 되지요. 요는 우리가 생각하는 미의 기준이 어디에 있느냐 생각해보자는 말씀입니다.

    •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
      @edwardwonghaupepelutivrusk6666 Месяц назад

      그게 왜 문제가 되는지 모르겠는데요. 유럽문명이 세계를 제패했기 때문에 미적 관점이 유럽화되고 백인의 외모를 동경하게 됐다는 얘기를 하시는거라면 전혀 동의 못하겠네요. 혹시 동물 다큐멘터리 좋아하시나요? 아프리카 초원에서 치타가 사냥감을 노리고 있는 장면 참 긴장감 느껴지지요. 치타 참 아름답잖아요. 머리는 작고 늘씬한 몸에 다리도 길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치타를 아름다운 생명체라고 느낄거예요. 근데 장면을 바꿔서 치타가 노리는 아프리카 혹멧돼지를 보자구요. 아름다움을 느끼시나요? 대부분의 인간이 혹멧돼지의 외형에 아름다움을 못느낄거예요. 다른 사람 누군가에게 영향을 받거나 교육을 받아 그런건가요? 그냥 본능적으로 그렇게 느끼는거잖아요. 돼지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 때문에 그런거다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하마는요? 코끼리는요? 하마나 코끼리를 보면서 아름답다고 표현하지는 않지요. 기린도요. 얼굴은 참 귀엽게 생겼지만 그 괴상한 비율 때문에 보통 기린을 아름답다고 하지도 않잖아요. 그냥 인간이 아름답다고 느끼는 절대적인 비율이나 기준이 문화권이나 인종을 떠나서 본능적으로 존재하는 거예요. 백인의 이목구비, 신체비율이 우연히도 거기에 부합하는 사람이 많았던거구요. 지금 예로 든 이야기에 동의를 못하시겠나요? 그럼 다른 예로 중세 중동을 한번 살펴 볼까요. 중세부터 근세 사이에 중동에 백인 노예들이 존재했다는거 아시나요? 전쟁으로 사람들을 약탈해오거나 해적들이 납치해오거나 하는식으로 노예들을 공급했는데 백인여자 노예의 가격은 흑인 남자 노예 가격의 세배 이상이었어요. 백인 여자들이 중동 남자들에게 인기폭발이었거든요. 그럼 유럽을 동경해서 그런 인식이 있었을까요? 아니지요. 중세엔 중동이 유럽보다 더 발전된 문명을 가지고 있었는걸요. 백인들에 열등감을 느끼기는 커녕 야만인이라고 부르면서 무시했지요. 그런데도 백인여자들이 중동남자들에게 인기 있었던건 그냥 예뻐서 그런거였어요. 문화적인 문제가 아니라요. 미적 관점이 문화적 영향력과 상관없이 타고난 본능이라는걸 보여주는 경우지요. 이것도 동의 못하시겠나요? 그럼 세번째 예를 들어볼까요? 조선인들이 백인을 언제 처음 봤을까요? 지식인들이야 색목인,남만인이라고 백인의 존재를 알고 있었겠지만 실제로 본 사람은 명이나 청에 왔다갔다 하는 극소수 사람 말고는 대부분 본적이 없었을거예요. 네덜란드인 박연(얀 얀스 벨테브레이)이 조선인들이 처음 본 백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조선인이 그의 외모를 어떻게 평가했는지 알려진바가 없으니 26년후 또 다른 네덜란드인 하멜이 다른 37인과 조선에 난파되어 상륙하고 이후 조선인과 13년간 같이 생활하게 되는데 이 사람이 자신들에 대한 조선인들의 인식을 글로 남겼지요. 자신들을 잘생겼다고 하더래요. 백인을 처음 본 조선인들이 야만인이라고 도깨비라고 깔보는 백인들을 잘생겼다고 했다는거예요. 인간의 외모에 대한 미적 관점이 문화권이나 문화적인 영향력과 상관없다는 또 다른 사례지요. 더 이상 설명이 필요할까요? 우리들의 미적관점이 서양의 영향을 받았다면 배우 김수현을 왜 잘생겼다고 하겠어요? 눈도 작고 코도 작고 입도 작은데요. 그냥 이목구비 배치된 조화와 신체비율이 그가 백인을 닮지 않았어도 본능적으로 잘생겼다고 느끼게 되는거예요. 금발 백인미녀를 예쁘다고 느끼는거나 김수현을 잘생겼다고 느끼는거나 그냥 본능이라구요.

  • @ginny1398
    @ginny1398 Месяц назад

    과거 그림 속에 등장하는 기생들은 보통보다 이쁜 얼굴이었겠죠. 외꺼풀(은 쌍꺼풀 눈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니) 눈이 일반인들 중에 흔한 건 사실입니다. 우리나라 쌍꺼풀 수술이 흔하다 보니 박소담 눈이 드물게 느껴지겠죠. 40년전에도 너도 나도 다 하던 성형술이 쌍꺼풀수술이니까요. 박소담 눈은 외꺼풀 중에서도 못생긴 편이고 이쁜 눈도 많아요. 오연수 같은 분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그렇습니다. 오연수 누님이 계셨네요^^

  • @MomitoSeo
    @MomitoSeo Месяц назад

    미의 관점에서 은연 중에 서양인의 시각에 우리 자신도 세뇌되어 있지요. 마찬가지로 다른 부분도 우리가 주체적이지 못하고 남의 시각, 편견 또는 의도적 공작에 세뇌되어 있기도 한 것 같습니다. 예를들면, 일제시대를 어릴 때 경험한 제 아버지가 뭔가 불만 있을 때 입버릇처럼 앞에 붙이던 말, "조선놈들은...."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MomitoSeo 그렇습니다. 은연중에, 무의식적으로 학습하게 되는 가치들이 있지요;

  • @shin7370
    @shin7370 Месяц назад

    "아름다울 미" 라는 한자를 파자하면 사람의 입(말에) 위에 마치 관리가 쓰는 모자에 계급을 형상화한 여러개의 모자를 접어쓴 형상입니다. 그래서, 과거로부터 고귀한 것을 일컬어 아름답다. 라고 했는데, 그것은 그 사람의 정신이 고귀해 높은 직위를 줄 수 있음을 의미했죠. 오늘날 아름답다가 왜 외모다 뛰어나다...?? 로 해석될까요? 그것도 서양인의 기준에서 ㅎㅎ

  • @jyheaux4043
    @jyheaux4043 Месяц назад

    우리가 서양인의 '동양적'이라는 기준을 부지불식 간에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아요. 좀 더 열린 사고를 해야할 듯. (근데 이난향 선생은 남자 여럿 애태우셨을 것 같네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네, 볼수록 미인이십니다^^

  • @kcubati80
    @kcubati80 Месяц назад

    5분 언저리 심리학. 으로하심이 어떨런지요..ㅎㅎ 급작스레 마치니 어리둥절ㅋ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kcubati80 5분이 컨셉이라서 그렇습니다^^

  • @whitewriter8568
    @whitewriter8568 Месяц назад

    어쩌다보니 과학 알고리즘을통해 보게되었는데 너무 재밌었어요 ! 5분심리학이라니 5분 롱테이크로 한번에 하는 컨셉이신가봐요 파이팅입니다!

  • @천도화-w4w
    @천도화-w4w Месяц назад

    아니 선생님 ㅋㅋㅋ ㅜ 오분되면 끄시는거냐구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천도화-w4w 그것이 “5분”심리학 이니까요 ㅎㅎ

  • @rhcpcool
    @rhcpcool Месяц назад

    thㅣ어리 ㅋㅋㅋ 자막ㅋㅋㅋ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rhcpcool 예리하시군요 ㅋㅋ

  • @shin7370
    @shin7370 Месяц назад

    한국인이 자뻑이 좀 심한거군요. ㅎㅎ '내가 사실 이런 사람인데 감히 날 이렇게 대해...' 라고, 물론 극복의지가 있는 사람도 있지만 염세적이 되어 기가죽는 사람도 많아요. ㅠ.ㅠ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네, 맞습니다. 높은 자기가치감이 두 방향으로 작용하죠^^..

  • @shin7370
    @shin7370 Месяц назад

    앜 오늘은 하루종일 바빴네요. 영상 잘 보았어요.^^

  • @AIforCULTUREworld
    @AIforCULTUREworld Месяц назад

    안녕하세요! 저는 최근에 문화 관련 논문 콘텐츠를 주제로 유튜브 채널을 시작했어요. 5분심리학 채널에서 전문적인 내용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쉽게 풀어내고 시청자와 소통하는 방식에 큰 영감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제 채널은 아직 구독자가 잘 늘지 않고 있어서, 혹시 시간 괜찮으시다면 채널을 한 번 봐주실 수 있을까요? 혹시 여유가 되신다면 5분심리학 채널주분께 제 채널에 무엇이 부족한지, 그리고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지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앞으로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항상 유익한 콘텐츠 감사합니다 :)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Месяц назад

    이 실험에 대한 비판이 많은데,, 인상 깊었던 것은 주변의 상황적 요인과 개인에게 주어진 역할이 행동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 사회적 역할 이론에서 주로 쓰는 예시로 배웠던 기억이 모락모락 나네요.. 오늘도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 @Wewiimwihy
    @Wewiimwihy Месяц назад

    심리학 관련 실험 좋아하는데 감옥실험은 처음 들어봤어요! 신기하네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Wewiimwihy 논란이 많은 실험입니다^^;

  • @jyheaux4043
    @jyheaux4043 Месяц назад

    2002년작 독일 영화 엑스페리먼트 (The Experiment)가 이 실험 소재로 만든 영화인 것 같아요. 관심 있으신 분들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2010년 헐리우드 리메이크작보다는 독일 원작이 평이 더 좋네요.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jyheaux4043 네, 이 실험이 여러 번 영화화됐는데 독일 영화가 제일 영화적으로 재미있습니다^^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Месяц назад

    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0th_parents.domain 감사합니다^^

  • @shin7370
    @shin7370 Месяц назад

    어느 철학자와 대화에서 "나는 책임없는 자유를 은연중에 원한다" 라고...인간은 타인의 의견이나 방법에 의존하고픈 마음이 있나봐요. 그럴 경우, 문제가 생겨도 내 의지가 아니라 타인(특히 권위자)의 의지이므로 책임에서 자유로운 마음이 생기죠. "쟤가 하라고 했어요. 높은 사람이니 뭔가 이유가 있겠죠? 전 행할 뿐이에요" 라고...아주 쉽게 빠져나가죠.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인간이 안정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도 상당히 본질적적인 거 같습니다;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Месяц назад

    교수님 때문에 드라마 보게되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0th_parents.domain 감사합니다^^

  • @shin7370
    @shin7370 Месяц назад

    금요일날 올리시다니 반칙이에요. ㅎㅎ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Месяц назад

      당분간 무작위로 좀 자주 올릴 예정입니다^^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2 месяца назад

    우리사회는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집단압력이 너무 많죠^^ 꼼꼼하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민 교수님 👍 임다~

  • @shin7370
    @shin7370 2 месяца назад

    집단의 압력이 심해요. 상담에서 새로운 이론을 정립중인데, 동료집단이 막 비판해요 ㅋㅋㅋ 그래서, 그들의 이론에 동조될뻔 ㅋㅋㅋㅋ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 месяца назад

      @@shin7370 무조건 동조할 수는 없죠!!

  • @박상빈-j2v
    @박상빈-j2v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바로 올려주셨네요 ㅎㅎ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 месяца назад

      @@박상빈-j2v 도움이 되셨으먄 합니다^^

  • @shin7370
    @shin7370 2 месяца назад

    해리...증상 실제로 경험해보면 황당하고 놀랍죠. 예의바르게 행동하다가 어떤 업무실수로 야근하게 된 상황(급한 좌절감) 에서 갚자기 사람이 폭력적이고 욕설이 난무하는 행동을 하더군요. 나중에 밤 8시부터 12시까지 기억이 없어요 ㄷㄷㄷ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 месяца назад

      @@shin7370 오, 직접 경험하신 건가요? 직장에서?

    • @shin7370
      @shin7370 2 месяца назад

      @@5분심리학 네. 그 직원 평소에 왔다간다 한다는 평이 많았죠. 감정기복심하다고 그정도 일줄은 몰랐죠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2 месяца назад

    잘 들었습니다. 교수님 😊

  • @김새봄-c2j
    @김새봄-c2j 2 месяца назад

    교수님~ 와~~ 너무너무 축하드립니다! 아이구 ㅎㅎ 중간중간 박수소리와 4분심리하.. ㅋㅋㅋㅋㅋ 죄송하지만 많이 웃었습니다😅 교수님 강의 듣고 문화 심리학의 매력을 느꼈고 시험 공부할 때 용어가 어려울 때 서치해서 영상 들으면 딱 5분으로 완전 팩트있게 정리도 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 месяца назад

      @@김새봄-c2j ㅎㅎ 감사합니다. 잘 지내시죠?^^

  • @김새봄-c2j
    @김새봄-c2j 2 месяца назад

    제 나름대로 굉장히 이해가 가지 않고 정신역동이론, 대상관계이론에서도 찾지 못했던 결론을 완전 속시원하게 내주셨어요 교수님 ㅎㅎ "전문가를 찾아가라!" 요즘 고딩×빠나 부부간의 갈등을 다룬 프로그램 보면 늘 고구마 백개 먹은 것 같은데, 우선 어린시절 성장환경이 매우 중요하긴 하지만 혹여라도 그렇지 못하다면 최소한 '내가 왜 이런 선택을 하고 있지' 라고 자신을 들여다 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ㅜㅜ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 месяца назад

      자신을 돌아본다는 게 어렵죠 ㅠㅠ

  • @0th_parents.domain
    @0th_parents.domain 2 месяца назад

    너무너무 축하드립니다 🎉

  • @shin7370
    @shin7370 2 месяца назад

    아싸 !!! 수익창출 경축!!!

    • @5분심리학
      @5분심리학 2 месяца назад

      @@shin7370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