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i 산업뉴스 (Industry News)
채널i 산업뉴스 (Industry News)
  • Видео 920
  • Просмотров 1 304 509
반도체·휴머노이드 등 산업AI 확산 10대 과제 추진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정부가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중점 추진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2일 제3차 AI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해 반도체 육성과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등의 ‘산업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발표했습니다.
우선 AI를 접목한 산업 공정·제품 혁신 사례를 만들기 위해 자율 제조 분야 선도 프로젝트를 올해까지 60개, 오는 2027년까지 200개를 선정해 추진합니다.
산업부는 민관이 협력하는 산업AI위원회를 상설화하고 발표된 제언과 정책과제들이 실제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예산확보와 법제 개선 등을 이행하겠다는 방침입니다.
Просмотров: 65

Видео

과일·채솟값 상승···설 앞두고 밥상 물가 ‘들썩’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3 тыс.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올해 설 연휴 상차림 비용이 역대 최대치로 치솟았습니다. 이상기후 등의 여파로 농수산물 생산량이 줄면서 이는 고스란히 소비자와 가게의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소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울 서대문구의 한 전통시장. 설 연휴가 성큼 다가왔지만 시장은 다소 한산합니다. 부쩍 물가가 올라 명절 단골음식인 사과와 배를 선뜻 구매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 윤희준] 배 하나에 5천 원씩 하고, 사과가 하나에 2,3천 원씩 하고, 작년 같으면 천원, 2천 원 하던 게 엄청 올라있어서. 계란 이거는 (비교적) 싼 거니까 하나 사가는 거지. 작년에 비해 배 값은 37%, 사과 값도 2% 이상 올랐습니다. 배추 1포기는 전년 대비 79.78% 올랐고, 특히 무는 개당 3천189원으...
산업부, “겨울 전력 수급 안정…공급 충분”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50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지난달 월평균 기온은 1.8도로 평년보다 0.7도 높게 분석됐는데요. 상대적으로 따뜻해진 겨울과 원전 최대 가동으로 이번 겨울철 전력 수급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겨울철 난방이 증가하면서 전력 수요는 높아졌지만, 전력 수급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겨울 전력 수급 예비력이 20GW 안팎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 예비력이 5GW 이상을 유지하면 전력 수급 상황이 안정적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겨울 전력 최대수요는 90.7GW로, 지난 2021년 겨울철 최대수요와 유사한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산업부는 이번 겨울이 예년보다 추위가 덜해 난방용 전력 소비가 상대적으로 적었고,...
“글로벌 슈퍼사이클을 기회로”···K-전력 기자재 공략 가속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86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전력기자재 산업은 지난해 수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며 원전을 이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꼽히고 있죠. 올해에도 우리 수출 상승세가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는 그리드 산업 등 에너지 분야 수출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김소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내 차단기 제조 기업의 생산라인. 부분적으로 돌아가던 기계 가동률을 올해 대폭 늘렸습니다. 근 몇 년 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만들어내는 물량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전력 다소비 첨단산업들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에너지 전환 움직임 등이 활발해지면서 전력기자재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데 따른 겁니다. [인터뷰 - 장택수 / 비츠로이엠 대표이사] 한국의 전력망 자체가 지금 흔히 말하는 요새 데이터센터 이런 부분이 전기 에...
조혈모 줄기세포서 찾은 노화 역전 가능성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9 тыс.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젊음에 대한 관심은 전 세계, 모든 연령층을 아우르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노화를 되돌리는 연구에 한창입니다. 연구팀은 노화의 여러 요인 중 적혈구에 주목했는데요. 관련 내용을 이지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플레이트에 나뉘어 담겨 있는 푸른색 용액. 자세히 보면 그 색깔의 정도가 다 다릅니다. 노화된 세포나 개체에서 발견되는 단백질의 양을 알아보는 실험. 그 양이 많을수록 파란색은 짙어지고, 수치 역시 높게 측정됩니다. 조혈모 줄기세포에서 노화역전의 가능성을 찾는 연구가 한창입니다. 성균관대학교 김동익 교수 연구팀은 DNA와 RNA, 단백질을 통해 노화 치료를 위한 후보 물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후보 물질 중 효능에 대한 검증을 단백질로 평가하는 겁니다. [인터뷰- 김동익 / 성균...
엔지니어링 수주액 10조원 시대…“더 높이 도약” 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1114 дней назад
[앵커멘트] 엔지니어링은 1달러를 수주하면 20달러 이상의 부가 수입이 생긴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인데요. 수주 실적 10조 원 시대를 연 국내 엔지니어링 업계가 신년인사회를 통해 디지털·친환경을 선도하는 엔지니어링 기술로 세계 무대에서 더 높이 도약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이창수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023년 기준 국내 엔지니어링 업계의 수주액은 약 10조 5천억 원. 어려운 대내외 경제 여건에서도 역대 최고 실적을 거뒀습니다. 엔지니어링 수주액은 2021년 10조 1천억 원, 2022년 9조 7천억 원으로 꾸준히 10조 원 내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발판 삼아 엔지니어링 업계가 올해도 K-엔지니어링의 힘을 보여주자는 다짐을 전했습니다. 이해경 협회장은 ...
알려지지 않은 천연식물…무상 분양 통해 제품화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8914 дней назад
[앵커멘트] 새로운 치료법과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에는 생물자원이 활용되는데요. 미래 먹거리인 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무상으로 생물자원을 분양하고 사업화를 지원하는 소재 은행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현장에 이지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액체질소 탱크 문을 열자 하얀 냉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영하 196도에 달하는 액체질소 탱크에는 동식물 생체조직과 DNA들이 보존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저장고에 들어서자 다양한 모양의 곰팡이들이 나란히 늘어섰습니다. 시료 중에는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 생산균인 페니실리움도 보관되고 있습니다. 주로 토양이나 식물의 부패한 유기물에서 발견되는 곰팡이 페니실리움은 의학과 식품산업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국립생물자원관에는 생물자원 약...
“폐방화복 버릴 게 없네”…이제는 섬유까지 재활용한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57414 дней назад
[앵커멘트] 재활용에서 한발 더 나아간 새활용은 친환경 가치소비를 중시하는 요즘세대의 소비트렌드가 됐는데요. 폐방화복과 폐그물을 업사이클링 하고 생겨난 나머지도 다시 활용하는 국내 친환경 브랜드들이 있습니다. 김소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교체주기인 3년이 지나 폐기된 방화복. 세탁·분해과정과 디자인을 통해 개성 있는 가방으로 재탄생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들도 지워내지 못한 흔적이 있는데, 작게 보이는 거뭇한 점들입니다. 이는 화재 상황에서 불에 그을린 자국들로, 화마에 맞서 싸운 소방관들의 헌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인터뷰 - 이승우 / 119REO 대표] 소방관들이 생명을 구하기 위해 헌신한 노력과 역사가 담겨 있다는 게 저희 제품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세탁 과정에서도 지워지지 않...
어지럼증 없는 가상현실…국내 기술이 상용화 이끈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61514 дней назад
[앵커멘트]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과 같은 기술은 우리에게 색다른 경험을 선사합니다. 하지만 전용 기기를 착용하다 보니 어지럼증 같은 불편함을 느낄 때도 있는데요.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관련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상현실을 체험할 때 종종 발생하는 어지럼 증상. 일명 사이버 멀미라 불리는데, 눈의 피로와 방향감각 상실, 메스꺼움 등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총망라한 확장현실, 즉 XR 관련 기술에서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홀로그램연구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실감 콘텐츠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통해 ‘어지럽지 않은 XR’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어지럽지 않은 완벽한 X...
어려운 화장품 정보···전문가가 리뷰하는 플랫폼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5714 дней назад
[앵커멘트] 피부과나 병원에서 접하는 화장품과 의료기기들. 우리 피부에 쓰이지만 정확히 어떻게 좋은 건지는 알기 어려웠는데요. 의사 중심의 전문가들이 모여 화장품에 대해 평가해주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김소연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한 국내 기업에서 새로 출시한 크림을 발라보는 의사. 직접 사용해본 후 원료부터 효과까지의 후기를 상세하게 작성합니다. 평가된 자료는 플랫폼을 통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전문가들이 자세히 알기 어려운 성분이나 사용법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인터뷰- 윤정현 / 대한미용레이저의학회장] 전후 사진이나 동영상, 시술 후 부작용,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고 환자분들의 만족도(주관적인 만족도), 그 다음에 의사선생님이 평가하는 객관적인 만족도가 다 정형화...
중견기업 외형 성장…영업이익·투자 줄어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83421 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중견기업은 국내 기업의 약 1.5% 정도지만 전체 고용과 수출등 에서 비중을 차지하며 경제 활력에 기여하고 있는데요. 그만큼 한국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 현황에 대한 분석이 발표됐습니다. 관련 내용을 이지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국내 중견기업 취업자 규모와 매출, 기업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2023년 중견기업 기본통계를 발표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중견기업에 근무한 종사자 수는 170만 4천 명으로 전년도인 2022년보다 11만 7천 명이 증가했습니다. 분야별로 보면 제조업이 67만 8천 명으로 전년 대비 3만 7천 명, 비제조업이 102만 5천 명으로 7만 9천 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중견기업 신입 사원...
5년간 기술 유출 피해액 25조 원…보호 시스템 가동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8621 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우리나라가 보유한 산업기술, 특히 핵심 기술을 보호하는 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 막중한 임무입니다. 하지만 해외로의 기술 유출은 근절되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인데요. 정부가 현행 산업기술 보호제도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 데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 보도에 이창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해외 기술 유출 적발 건수는 21건. 당국의 지속적인 산업기술 보호 정책에도 불구하고 기술 유출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5년간 기술 유출로 인한 기업의 피해액은 무려 25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에 정부가 국가 핵심기술 보호 실태를 재점검하고, 미흡한 점은 신속히 개선하기로 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발표한 제5차 산업기술보호 종합계획에는 향후 3년간의 기...
산업부, 신년 첫 행보 수출현장 방문···“올해도 총력 지원”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9621 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출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불안정한 대내외적 여건에도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음이 증명된 건데요. 정부는 올해에도 수출 증가세를 이어나가기 위해 총력을 다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김소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초대형 컨테이너들로 빼곡한 하역장. 원격으로 조종되는 크레인이 컨테이너를 쉴 새 없이 옮깁니다. 2년 연속 역대 최대 컨테이너 물동량을 기록하며 글로벌 물류 허브로 성장하고 있는 인천신항입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신년 첫 행보로 이곳 수출현장을 찾았습니다. 지난해 어려운 대내외적 상황에도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달성한 것에 대한 감사를 전하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작년에 여러 가지 어...
활기 찾은 K-원전…글로벌 진출 신호탄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31521 день назад
[앵커멘트] 신한울 3, 4호기 착공부터 체코 신규 원전 우선 협상 대상자 선정까지. 경제적인 에너지를 제공하는 원자력 생태계가 활성화되고 있는데요. 최근 원자력의 중요성을 알리고 업계 성과를 공유하는 기념행사가 열렸습니다. 보도에 이지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원전 업계의 숙원이던 신한울 3, 4호기가 본격 착공에 돌입하면서 업계는 활기를 되찾는 모습입니다. 신한울 3, 4호기에 원심펌프와 기어펌프 등을 납품한 강소기업 신신기계. 설립 56년을 자랑하는 업체는 국내외 선박 분야와 한국수력원자력 등 발전사에 다양한 펌프를 공급해왔습니다. 신한울 3, 4호기 건설 중단으로 수익감소와 고용 불안정이 있었지만, 착공이 재개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체코 원전 최종 계약을 앞두고 해외 시장 ...
2024 모빌리티용 수소 소비 9499t…전년대비 64% 증가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2821 день назад
2024년 모빌리티용 수소 수요량이 전년 동기 대비 64% 증가한 9,499톤으로 추산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7일 2024년 제 4차 모빌리티용 수소 수급 협의체를 열고 그간의 추진실적과 수소 수급 전망을 공유했습니다. 이번 동절기의 수소 수요량은 최대 4504톤, 공급량은 최대 7865톤으로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이날 산업부는 겨울철 설비 고장 등에 따른 일시적 수급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업계에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습니다.
사라지는 한반도 자생식물…기술력으로 영구 보전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914Месяц назад
사라지는 한반도 자생식물…기술력으로 영구 보전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물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드론’이 수거한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452Месяц назад
물에 떠다니는 미세플라스틱, ‘드론’이 수거한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세계 최초 도전하는 고난도‧고위험 혁신 기술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333Месяц назад
세계 최초 도전하는 고난도‧고위험 혁신 기술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올해 외투 330억 불···역대 최고 실적 달성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28Месяц назад
올해 외투 330억 불···역대 최고 실적 달성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효과 점검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53Месяц назад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효과 점검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엘리베이터 내부 위험, 타기 전에 확인한다···규제특례 실증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40Месяц назад
엘리베이터 내부 위험, 타기 전에 확인한다···규제특례 실증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한국 주도 ‘CFE 이니셔티브’, AI시대 탄소중립 해법 논의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30Месяц назад
한국 주도 ‘CFE 이니셔티브’, AI시대 탄소중립 해법 논의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인공지능·문화 입힌다…산업단지 미래상 모색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00Месяц назад
인공지능·문화 입힌다…산업단지 미래상 모색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무역장벽 민관 공동 대응…수출·투자 확대 지원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22Месяц назад
무역장벽 민관 공동 대응…수출·투자 확대 지원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산업부, 대내외 불확실성 대응 체제 가동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30Месяц назад
산업부, 대내외 불확실성 대응 체제 가동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中, 한국 승용차 시장 진출···대응전략 논의 활발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235Месяц назад
中, 한국 승용차 시장 진출···대응전략 논의 활발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2024 늘봄학교‧교육기부 박람회’ 열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79Месяц назад
‘2024 늘봄학교‧교육기부 박람회’ 열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최고 프로젝트에 ‘우즈벡 칸딤 가스처리 시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99Месяц назад
최고 프로젝트에 ‘우즈벡 칸딤 가스처리 시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K-그리드, 원전 이은 에너지 수출 동력으로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112Месяц назад
K-그리드, 원전 이은 에너지 수출 동력으로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AI 시대, 공간 컴퓨팅 기술이 트렌드 된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Просмотров 627Месяц назад
AI 시대, 공간 컴퓨팅 기술이 트렌드 된다_산업뉴스 [산업방송 채널i]

Комментарии

  • @user-genfq2djixfs
    @user-genfq2djixfs 16 часов назад

    개발 연구실 환경을 보니 열악하다……아직 1970년대 덜 갖추어진 연구 사무실에 머물러 있는듯 보여진다ㅜ

  • @Oh-eb6be
    @Oh-eb6be 3 дня назад

    에이아이

  • @표도파도
    @표도파도 5 дней назад

    개. 구라 ai아닌가

  • @mj척치
    @mj척치 5 дней назад

    다시한번 말하지만 약국에 팔면 말해라

  • @0insu1
    @0insu1 5 дней назад

    이런 뉴스는 그냥 관련 논문일 뿐이고 국가 예산 타 먹으려는 수작에 불과하다. 30년 전부터 뭐 이런 비스무레한 뉴스들을 수도 없이 접해 왔지만 단 하나도 상용화 된 게 없다. 단 한 개도. 돈 받고 기사 써 주는 언론과 예산 타 먹으려는 박사들의 일시적 이해관계가 낳은 기사일 뿐.

  • @catblack1785
    @catblack1785 5 дней назад

    사기꾼들

  • @user-pby0106
    @user-pby0106 5 дней назад

    이제 미래에는 동안과 젊음이 부의 상징이 될 것... 그리고 동안과 노안으로 빈부의 차이는 보다 극대화될 것..

  • @푸른바다-c3d
    @푸른바다-c3d 5 дней назад

    언제 임상해서 언제 치료할래? 네이처셀, 알바이오에서는 20년전에 개발해서 만성통증치료제란 이름으로 벌써 일본에서 진행중인데 .ㅉㅉ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최종후보까지 오른 라정찬박사!!! 국가가 썩었다는것만 알고계세요

  • @Tamgusanghwal
    @Tamgusanghwal 6 дней назад

    사람들 안죽으면 인구감소문제 해결됨. 경제적으로는 좋은일.

    • @칼치기-g8m
      @칼치기-g8m 4 дня назад

      그러면 인타임 실현이지 1년 노화방지 주사 1억

  • @TV-dg2xt
    @TV-dg2xt 6 дней назад

    이제 200살 사는건가

  • @후루루티야
    @후루루티야 6 дней назад

    중국 제약회사꺼임?.?

  • @폐급용사
    @폐급용사 6 дней назад

    Ai 아나운서인가

  • @user-gv7ll2gr1y
    @user-gv7ll2gr1y 6 дней назад

    절대 먹지마라 ㅋㅋㅋㅋ

  • @Light-r2m6n
    @Light-r2m6n 6 дней назад

    AI 아나운서 불쾌한 골짜기 장난아니네

  • @xuxk5528
    @xuxk5528 6 дней назад

    야이 사기꾼들아

  • @TT-nn8co
    @TT-nn8co 7 дней назад

    딥마인드~

  • @갱스터깍지
    @갱스터깍지 7 дней назад

    상용화해야지 믿지

  • @NaughtyRobin
    @NaughtyRobin 7 дней наза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 @Jaemmin90
    @Jaemmin90 7 дней назад

    앵커 AI라 그런지 신뢰가 안 감

  • @nam1zn
    @nam1zn 7 дней назад

    텔로미어를 연구해야지

  • @Jj-no5zk
    @Jj-no5zk 7 дней назад

    국내연구진이 >> 여기서부터 믿거 제약에선 제네릭말고는 잘하는거없는 칸쿡

  • @doobu691
    @doobu691 7 дней назад

    1000천 뒤쯤에 나온다네요

  • @오늘도안빈낙도
    @오늘도안빈낙도 7 дней назад

    사람들 보니까 다 안보고 댓글부터 다는건가? 뉴스 제목부터 어그로 끌려고 하는게 보이긴 하는데... 목표가 막 늙은 사람을 젊음으로 돌리고 그런 허무맹랑한 소리가 아니라 온몸에 필요한 산소운반을 원할하게 해서 나이 먹은 사람도 건강하게 늙도록 하고 젊은 사람도 건강하게 오래 살도록 하겠다는게 핵심인데... 항산화기능의 약제나 비타민제 먹는거도 같은 맥락이자나... 무턱대고 까대는 글들 보니 역겹네 ㅉㅉ

    • @서영득-v8e
      @서영득-v8e 3 дня назад

      웃기네 이미 제목부터 어그로 끌었으니 욕하는거지

  • @그그링-q3u
    @그그링-q3u 7 дней назад

    적당한 나이까지만 살게 두세요 좀 ..;;

  • @chl2779
    @chl2779 7 дней назад

    장수 연구 과학자들에게 권고 최근 양자컴퓨터가 개발되었다더군요. 이건 슈퍼컴퓨터 보다 더한 놈인가 봅니다. 왜냐하면 인공지능까지 걸쳤으니까요. 당장 신약개발에 동원된다니 그 신약보다는 인생을 젊게 하는 이런 생명약을 양자컴퓨터를 이용해서 개발해 보시길. 이 슈퍼맨으로 수고를 덜 하면서 성과 내세요 수고하세요!

  • @dlfmatjd9940
    @dlfmatjd9940 7 дней назад

    산소 공급이 늘면 산화가 많이 일어나는데

  • @hyunyoon8952
    @hyunyoon8952 7 дней назад

    김동익 교수가 먼저 사용해야 할것 같은데?

  • @user-rg7fg9iw1c
    @user-rg7fg9iw1c 7 дней назад

    신의 뜻을 거스르는건데 저걸 믿냐ㅋㅋㅋㅋㅋㅋㅆㅂ 능지~ㄹㅈㄷ

  • @성민-w2k
    @성민-w2k 7 дней назад

    이게 진짜면 노벨상감인데 가만히 있는다? 개사기

  • @maremi2023
    @maremi2023 7 дней назад

    AI아나운서?

  • @정수김-j5f
    @정수김-j5f 8 дней назад

    한국판 노화의 종말입니다 영상 감사합니다

  • @b8f57
    @b8f57 8 дней назад

    별다른 감정 없이 다른 사람들 죽어나가는거 보면서.. 소. 돼지. 사체나 먹으며 천년. 만년 살면 뭐하냐..

    • @ww2sol47
      @ww2sol47 6 дней назад

      모두 다 영생이 보편화면 상관 없지비 ㅋㅋ

  • @라인-b5z
    @라인-b5z 8 дней назад

    구라치네

  • @HYUNrealtor
    @HYUNrealtor 8 дней назад

    믿음이 안가네...이런 연구가 한두개였어야지...시간 지난 지금은 단 한가지도 남아있지를 않지

    • @사랑해요-z8v
      @사랑해요-z8v 6 дней назад

      빨리 죽는약을 발명해야함. 여기서 노인이 더 늘어난다고?

  • @호모사케
    @호모사케 8 дней назад

    유전자가 아니고 산소공급이라니.. 그걸로 되겠나..

  • @ryankim145
    @ryankim145 8 дней назад

    세포분열에서 유전자가 마모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산소공급은 의미 없을 텐데? 이거 주식 작업치는 채널인가? ㅋㅋ 코스닥 바이오로 한 탕 해먹을라고 ㅋㅋ

  • @Hkckjkhk
    @Hkckjkhk 8 дней назад

    난 임상연구 참여하고 싶은데..어떻게 안될까나?

  • @하늘-n3o8k
    @하늘-n3o8k 8 дней назад

    죽을때 죽자

  • @Hyuchan1002
    @Hyuchan1002 8 дней назад

    수명을 늘리는 방법은 연구되어 있지 ㅋ 대신 생식 기능을 잃어야 하는게 에바라서 그렇지 ㅋ

  • @너무죠흐다
    @너무죠흐다 8 дней назад

    제애발 되라 ㅠ.ㅠ 젊게 오래살고 시퐁...

  • @매일유연성근력유산소
    @매일유연성근력유산소 9 дней назад

    이것 때문인가 노화가 되는 병인가 바이러스인가 예언에 나오네요

  • @김사랑-u7q
    @김사랑-u7q 9 дней назад

    나이가 먹을수록 세포가 줄어들어 주름살 등 생기죠

  • @chk8398
    @chk8398 9 дней назад

    아무리 늙어서 뭘해도 젊은 20대 피부로 되돌릴 수 없음. 꽃은 피면 지고 인생도 태어나는 시점부터 성장 후 노화로 다가가는데 더 얻을려는건 욕심이지..한평생 길어봤자 100년 전후인데 무엇을 더더더..

    • @불개미애벌레
      @불개미애벌레 8 дней назад

      과학 연구 결과를 말하면 꼭 이런 빡통들이 튀어나옴. 뭘해도 항상 부정적인 폐급류

    • @deokdeok-
      @deokdeok- 8 дней назад

      뭔소리여 세포가 젊어지면 피부도 당연히 젊어짐

    • @겜파고게임수집가
      @겜파고게임수집가 7 дней назад

      뭔소리여 이미 해외연구에서 70대사람 20대피부로 돌려놓은 실험성공했는데 물론 피부만이지만

  • @달별해-q8r
    @달별해-q8r 9 дней назад

    어느세월에..

  • @vuuuuuulllllllllllllIUuuuuuuuu
    @vuuuuuulllllllllllllIUuuuuuuuu 9 дней назад

    탈모나 좀 제발

  • @베이더-p8z
    @베이더-p8z 10 дней назад

    명절은 니미 ᆢ일해라 그냥

  • @성령의검-n8b
    @성령의검-n8b 10 дней назад

    산소 많이 투여하면 삭화가 많이 되어 오히려 더 늙습니다. 운동선수들 보면 아실텐데.

  • @전시메일
    @전시메일 10 дней назад

    딱히 새로운 뉴스는 아니다. 잘 사는 사람은 비싼 가격에 신경쓰지 않고, 못사는 사람은 언제나 사지 못한다. 10년 전에도 그랬고, 10년 후에도 그럴 것이다.

  • @mr.kimwriter
    @mr.kimwriter 11 дней назад

    산소가 노화의 원인 아니었음?ㅋ 막 늘려도 되나?

  • @edwardmaeng7004
    @edwardmaeng7004 12 дней назад

    훌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