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헌원
임헌원
  • Видео 95
  • Просмотров 17 042
Vaghissima sembianza (S.Donaudy, 1846-1919)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nt to the height of true artistry. Since the 1960's she has appeared in recital over 400 times with well-known vocalists and instrumentalists at home and abroad. She inspires confidence in the soloist with imagination, as well as her warm and maternal aura, creating rhythms animated more like a pulse ...
Просмотров: 166

Видео

Sento nel core (A.Scarlatti, 1660-1725)
Просмотров 72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Se florindo e fedele (A.Scarlatti, 1660-1725)
Просмотров 60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Piacer d'amor (G.Martini, 1741-1816)
Просмотров 56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O del mio amato ben (S.Donaudy, 1846-1919)​
Просмотров 154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Non t'amo piu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106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Lungi dal caro bene (G.Sarti, 1729-1802)
Просмотров 158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La Serenata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73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La promessa (G.A.Rossini, 1792-1868)
Просмотров 172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Ave Maria (L.Luzzi, 1828-1876)
Просмотров 82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Malia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145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A vucchella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55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Invito alla danza (O.Respighi, 1879 - 1936)
Просмотров 178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Notturno (O.Respighi, 1879 - 1936)
Просмотров 29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Tanto bella (O.Respighi, 1879 - 1936)
Просмотров 1096 лет назад
임헌원 교수는 반주 음악을 높은 예술로 이끌어 올린 한국 최초의 피아니스트이다. 1960년대부터 국내외의 성악, 기악 연주자들과 무려 400 회 이상의 협연을 하여 다양한 레퍼토리를 소화할 만큼 뛰어난 포용력과 적응력을 갖고 있다. 그녀의 연주는 사랑과 자비가 넘치는 후덕한 성품처럼 품위있고 협연자들에게 상상력과 영감을 주며, 메트로놈이 아니라 인체의 맥박과도 같은 살아있는 리듬을 불러 일으키도록 협연자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려준다. 한국인으로서는 처음으로 반주학을 미국 맨하탄 음악대학 대학원에서 전공하였고, 귀국 후에는 성신여대 음악대학과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재직하였다. Hun-Won Yim is the first pianist in Korea to elevate piano accompanime...
L'ultima ebbrezza (O.Respighi, 1879 - 1936)
Просмотров 816 лет назад
L'ultima ebbrezza (O.Respighi, 1879 - 1936)
Terra e mare (G.Puccini, 1858 - 1924)
Просмотров 206 лет назад
Terra e mare (G.Puccini, 1858 - 1924)
Storiella damore (G.Puccini, 1858 - 1924)​
Просмотров 246 лет назад
Storiella damore (G.Puccini, 1858 - 1924)​
Vorrei morire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206 лет назад
Vorrei morire (F.P. Tosti, 1846-1916)​
Vorrei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416 лет назад
Vorrei (F.P. Tosti, 1846-1916)
Tormento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606 лет назад
Tormento (F.P. Tosti, 1846-1916)
Chanson de ladieu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226 лет назад
Chanson de ladieu (F.P. Tosti, 1846-1916)
Addio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426 лет назад
Addio (F.P. Tosti, 1846-1916)
Ideale (F.P. Tosti, 1846-1916)
Просмотров 826 лет назад
Ideale (F.P. Tosti, 1846-1916)
Caldo sangue (A . Scarlatti, 1660 - 1725)
Просмотров 656 лет назад
Caldo sangue (A . Scarlatti, 1660 - 1725)
Tristezza (F.P.Tosti, 1846 - 1916)
Просмотров 486 лет назад
Tristezza (F.P.Tosti, 1846 - 1916)
Stornello (G. Verdi, 1813 - 1901)
Просмотров 1666 лет назад
Stornello (G. Verdi, 1813 - 1901)
Spiagge amate (C.W. Gluck, 1714 - 1787)
Просмотров 4376 лет назад
Spiagge amate (C.W. Gluck, 1714 - 1787)
Sogno (F. P. Tosti, 1846 - 1916)
Просмотров 376 лет назад
Sogno (F. P. Tosti, 1846 - 1916)
Segreto (F. P. Tosti, 1846 - 1916)
Просмотров 366 лет назад
Segreto (F. P. Tosti, 1846 - 1916)

Комментарии

  • @파란유리-o2k
    @파란유리-o2k 2 года назад

    피아니스트의 독주곡입니다. 반주용으로는 부적하니 참고하세요.

  • @DanielRyooClarinet
    @DanielRyooClarinet 4 года назад

    좋은 반주 감사해요 ~ 반주에 맞춰서 클라리넷 연주 해보았어요 ^^;; ruclips.net/video/FAYmJr8InOo/видео.html

  • @kukcho3183
    @kukcho3183 5 лет назад

    1.일송정 푸른 솔은 늙어늙어 갔어도 한 줄기 해란강은 천 년 두고 흐른다 지난 날 강가에서 말 달리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2.용두레 우물가에 밤새 소리 들릴 때 뜻 깊은 용문교에 달빛 고이 비친다 이역 하늘 바라보며 활을 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3.용주사 저녁종이 비암산에 울릴 때 사나이 굳은 마음 길이 새겨 두었네 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선구자 지금은 어느 곳에 거친 꿈이 깊었나

  • @영구와땡칠이74
    @영구와땡칠이74 5 лет назад

    일출봉에 해 뜨거든 날 불러주오 월출봉에 달 뜨거든 날 불러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님 오지 않고 빨래 소리 물레 소리에 눈물 흘렸네 봉덕사에 종 울리면 날 불러주오 저 바다에 바람 불면 날 불러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님 오지 않고 파도 소리 물새 소리에 눈물 흘렸네

  • @delicious_grass
    @delicious_grass 5 лет назад

    떡갈나무 숲속에 졸졸졸 흐르는 아무도 모르는 샘물이길래 아무도모르라고 도로 덮고 내려오지요 나 혼자 마시곤 아무도 모르라고 도로 덮고 내려오는 이 기쁨이여

  • @sunrise00700
    @sunrise00700 6 лет назад

    한국 최고의 피아노 반주가 임헌원 교수님의 가곡반주곡을 접하니 참 기쁩니다. 과거에 겨울 나그네 반주곡 cd를 구입하여서 전곡을 불러 보았던 기억이 떠 오르네요.

  • @가가호호-e2p
    @가가호호-e2p 6 лет назад

    와 드디어 그토록 찾았던 산아반주가! 구독하겠습니다! 그런데 혹시 원키 (c마이너)로도 올려주실수 있으신가요?^^

  • @jurankim4628
    @jurankim4628 6 лет назад

    아멘아멘아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