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Видео 18
- Просмотров 56 687
두근두근한옥 (한옥은 설레임이다)
Южная Корея
Добавлен 16 май 2020
알고 싶은 한옥, 살고 싶은 한옥, 짓고 싶은 한옥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보는 채널입니다.
평창직업한옥학교 홍보 동영상
평창직업한옥학교 홍보 동영상
전통한옥대목수 양성과정 6개월 국비무료 4월 17일 개강
전통소목수 짜맞춤가구 과정 6개월 국비무료 4월 9일 개강
서양식 목조건축 과정(경량 목구조) 6개월 국비무료 6월 개강
문의 : 033 333-0204
www.hanokschool.biz
전통한옥대목수 양성과정 6개월 국비무료 4월 17일 개강
전통소목수 짜맞춤가구 과정 6개월 국비무료 4월 9일 개강
서양식 목조건축 과정(경량 목구조) 6개월 국비무료 6월 개강
문의 : 033 333-0204
www.hanokschool.biz
Просмотров: 100
Видео
평창직업한옥학교 목조건축 훈련생 모집 홍보 동영상
Просмотров 91Год назад
평창직업한옥학교 목조건축 목수 양성과정 훈련생 모집 모집기간 : 2023년 11월 30일까지 교육기간 : 2023년 12월 5일 ~ 2024년 5월 22일(113일, 900시간) 교육비 : 658만원 전액 무료(국비) 모집문의 : 033 333 0204 010 6684 1423(학교장)
나만 몰랐던 한옥이야기 # 12 - 보 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7 тыс.4 года назад
지붕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하고, 기둥을 전후좌우로 잡아 주는 보의 종류와 다양한 명칭에 대해 알아 봅니다. ▬▬▬▬▬▬▬▬▬▬▬▬▬▬▬▬▬▬▬▬▬▬▬▬▬▬▬▬ ♬ HYP - Be With You ♬ BGM provided by HYP MUSIC ♬ ruclips.net/video/MNgY-jg3m-Y/видео.html ▬▬▬▬▬▬▬▬▬▬▬▬▬▬▬▬▬▬▬▬▬▬▬▬▬▬▬▬
쉬어 가고 싶은 한옥 #4 - 보성 열화정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4 года назад
보성 득량면 강골마을에는 지역 선비들이 학문과 정치를 논하던 '열화정'이 있습니다. 마을 뒤편에 조금은 은밀하게 감춰진 이곳. 함께 알아볼까요? ♬Music by (HYP MUSIC) ruclips.net/video/-6cyi6SNrPc/видео.html [BGM] 잔잔한 노래 | 차분한 감성 노래 | 저작권 없는 음악 HYP - How To Love ♬Music by (HYP MUSIC) ruclips.net/video/5jk99vDjP1E/видео.html 피아노 연주곡 | 저작권 없는 브금 | HYP - It's Dangerous Outside The Blanket(이불밖은 위험해) | NCS
나만 몰랐던 한옥 이야기 #11 지붕을 떠 받들다 - 기둥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4,1 тыс.4 года назад
한옥에는 여러 형태의 다양한 기둥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어떤 기둥들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같이 살펴 보시죠 ▬▬▬▬▬▬▬▬▬▬▬▬▬▬▬▬▬▬▬▬▬▬▬▬▬▬▬▬ ♬ HYP - Release ♬ BGM provided by HYP MUSIC ♬ BGM Link: ruclips.net/video/nOKg2BsOmZk/видео.html 저작권 없는 피아노 브금 | 잔잔한 노래 음악 | 슬픈 음악 | HYP - Release ▬▬▬▬▬▬▬▬▬▬▬▬▬▬▬▬▬▬▬▬▬▬▬▬▬▬▬▬
쉬어 가고 싶은 한옥#3 영암 열무정
Просмотров 4294 года назад
전남 영암읍에 위치한 '열무정'입니다. 열무정은 조선시대 활쏘기를 하던 활터에 지어졌던 건물입니다. 현재 열무정은 옛 영암읍성터인 언덕에 옮겨 설치돼 있습니다. 호남에서 제일 오래된 '사정'인 열무정의 매력으로 함께 가 보시죠~ ▬▬▬▬▬▬▬▬▬▬▬▬▬▬▬▬▬▬▬▬▬▬▬▬▬▬▬▬ ♬ HYP - Come to play ♬ HYP - In your Sea ♬ BGM provided by HYP MUSIC ▬▬▬▬▬▬▬▬▬▬▬▬▬▬▬▬▬▬▬▬▬▬▬▬▬▬▬▬
나만 몰랐던 한옥 이야기 #10 - 초석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4,5 тыс.4 года назад
물과의 전쟁 그 2번째 이야기 기둥 하부를 습기로 부터 방어하라! 오늘은 건물의 하중을 지면으로 전달하고, 기둥 하부를 물로부터 차단시켜 주는 초석에 대해 알아봅니다. 과연 초석은 언제부터 사용돼 왔으며, 그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 HYP - Full Of Sunshine ♬ BGM provided by HYP MUSIC ♬ BGM Link: ruclips.net/video/3UdqK47iNIA/видео.html ▬▬▬▬▬▬▬▬▬▬▬▬▬▬▬▬▬▬▬▬▬▬▬▬▬▬▬▬
쉬어 가고 싶은 한옥#2 - 다산 정약용 창작의 산실 : 강진 다산초당
Просмотров 1,2 тыс.4 года назад
목민심서를 비롯한 다산 정약용의 얼이 서려 있는 곳. 강진 다산초당을 방문해 보았습니다. 정면 5칸, 측면 2칸. 조선 후기의 대표적 사상가인 정약용(丁若鏞)이 1801년(순조 1)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강진으로 귀양와 이곳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중, 1808년에 윤규로(尹奎魯)의 산정이던 이 초당으로 처소를 옮겨 1818년 귀양에서 풀릴 때까지 10여 년간 생활하면서, 《목민심서》 등을 저술하고 실학을 집대성함으로써 실학사상의 산실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58년 지역민으로 구성된 다산유적보존회가 무너진 초당을 복건하여 이 해 사적 제107호(정다산유적 丁茶山遺蹟)로 지정받았다. 건물은 도리단층기와집으로 문화재관리국에서 관리하고 있다. 1970년, 1971년, 1975년에 보수공사를 하였으며, ‘茶山...
나만 몰랐던 한옥 이야기#9 - 물과의 전쟁1 : 기단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9 тыс.4 года назад
한옥의 비롯해 집을 지을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습기. 한옥은 어떤 방법으로 물과의 전쟁을 치러왔을까요? 오늘은 한옥과 물과의 전쟁 1편 기단이야기입니다. music by hyp music music : spring
나만 몰랐던 한옥이야기 #8 - 한옥의 조상? 움집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4 года назад
먼 과거의 조상들은 어떤 집을 짓고 살았을까요? 현재의 한옥형태가 갖춰지기 전에 지어졌던 '움집'에 대해 같이 알아보시죠~ music : release music by hyp music
쉬어 가고 싶은 한옥 #1 - 우중한옥(영암 부춘정)
Просмотров 1,4 тыс.4 года назад
비가 오는 날에도 맘 편히 쉬어 갈 수 있는 곳. 비가 오면 오히려 더 가고 싶어 지는 곳. 쉬어 가고 싶은 한옥 첫번째 순서는 비오는 날의 우중한옥 영암 부춘정입니다. '영암 부춘정'은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에 있는 조선후기 진주강씨 문중에서 건립한 누정으로 전라남도 시도유형문화재입니다. 영암읍내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으며, 정자의 안쪽이 전부 실로 구성된 구조로 보아 단순한 정자로서의 기능보다는 서재와 학숙으로서의 기능도 함께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주변의 풍광이 뛰어난 곳에 위치하고 관련 시문이 다수 전하여 오고 있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영암 부춘정 [靈巖富春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Track : I saw you in my dream Mu...
나만 몰랐던 한옥 이야기 #7 - 보이지 않아도 가장 중요한 그 것 : 한옥의 기본기(기초)
Просмотров 2,2 тыс.4 года назад
공부, 스포츠, 예술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기본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또 강조합니다. 한옥에도 매우 중요한 '기본기'가 있습니다. 보이진 않지만 매우 중요한 한옥의 '기본기' 같이 알아보시죠 music by hyp music how to love
나만 몰랐던 한옥이야기 #6 과거의 건축법 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1,4 тыс.4 года назад
현재 집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 들을 지으려면 반드시 '건축법'의 규정들을 따라야 합니다.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누구든 원하는 대로 집을 지을 수 있었을까요? 아니면 현재와 마찬가지로 각종 지켜야할 사항들이 있었을까요? 함께 알아 보시죠~ music by hyp music I can not heard you
나만 몰랐던 한옥이야기 #5 - '한옥'과 레오나르도 다빈치?
Просмотров 2,3 тыс.4 года назад
"인체는 만물의 척도다"라고 주장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 '한옥'과 그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또 '한옥'은 어떤 척도를 기준으로 지어졌을까요? music by hyp music emotional hip pop
나만 몰랐던 한옥이야기 #4 - '한옥' 과 '칸' 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8 тыс.4 года назад
'곳간', '외양간', '방앗간' 등 유독 한옥에는 ' 칸' 이라는 명칭이 많습니다. 한옥에서 작은 건물을 지칭할 때 많이 사용되는 '칸'의 의미는 과연 무엇일까요? 같이 알아보러 가시죠 Music by HYP music 'in your sea'
당 앞에 승자가 붙은것은 이유가있는거야 천민들이 알겠냐 말하기싫다 무지한것들
ピタットハウスに申込金を持ち逃げされて困ってます
참 유익합니다
한중일 삼국 중 우리나라의 기단이 유독 높게 발달했다고 하셨는데 대비되는 건축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높게 발달했다는 의미가 기단의 높이와 규모로 설명하신 건지 궁금합니다^^
명칭과 실물 표시가 안 되어 있어서 매치가 거의 안 되네요. ㅠㅡㅠ
대들보는 뭔가요??
와 멋지네요.
이렇게 좋은 교육이 있다고요? 배우러 가야겠어요.
와~평창이네^^...6개월 살기 도전^^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방에서 공부하고 이해흐는데 도움이 되어요
감사합니다~ 조만간 컴백해 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말 재밌는 한옥이야기, 하나하나 배우고 있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해요.
많은 것을 배워야겠다 😅
한옥이 4근이네요?
배우 분들이 이렇게 먼곳까지 오셔서 촬영 하셨구나.
설명감사합니다
설명 너무 너무 잘해주셔서 잘배우고 갑니다 다른 영상도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잘배우고.갑니다
감샤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반복해서 들어보겟습니다 영상이 궁금증해결에 많은도움이되엇습니다
감사합니다. 수십 년 동안이나 궁금했어도 시원하게 설명해 주는 곳이 없었는데 ... 항상 99칸 이야기 나오면 방이 99개인 것으로 추정했었고(그럼에도 개수 헤아려보면 안 맞는 것 같아 고개를 갸웃둥해 하기도 했었고...) 가끔 설명해주는 경우도 두리뭉실 넘어가서 명확히 아는 사람인지 의구심이 들기도 했었는데,, 비디오로 깔끔하게 보여주시니 혜안이 열리는 듯....
이글을 읽고서 왜 우리집이 습기에 약한지 알았습니다. 집자체를 잘못시공했어요. 곰팡이로 쌀을 여름에 바깥에 못두고 냉장고에 두어야 할만큼 기단이 낮고 방바닥이 습합니다. 그래서 이제 이사를 가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곰팡이로 인해 살수가 없고 2층 지붕다락방은 곰팡이로 여름에 도배되어서 한숨만 나옵니다. 집이 북서향집인것도 문제긴 합니다 . 역시 집을 지을때는 기단이 높아야 하고 집위치가 굉장히 중요하다는걸 알겠습니다.
한옥 관련 자료를 많이 찾아볼 수 있는 곳이 따로 있을까요?
문화재청 사이트나 국가한옥센터 사이트 한번 가보시길 권해 드리빈다.
단칸방도 같은 어원인가요?
네 맞습니다. 공간이 한칸짜리 방밖에 없어서 단칸방이죠~
안녕하세요. 경남교육청에서 고교학점제 '생활과 과학'교과목 수업 도움 공개 영상을 만들고 있는 교사 입니다. '한옥의 멋과 과학'소단원 영상 제작시 이 영상을 출처를 정확히 밝히고 사용하고 싶습니다. 제작된 영상은 비상업용 공개 영상으로 경남교육청에 탑재되게 됩니다. 활용 가능할까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안녕하세요~ 많이 부족한 영상이지만 학생들 교육에 도움이 된다면 마음껏 사용하셔도 됩니다. 그리된다면 제가 오히려 영광입니다. 감사합니다~^^
다산 유배생활 18년입니다
부분적으로 보수를 했네
옷소매불은끝동 보다가 300km 넘는 길을 가버렸지요
한옥에 관심이많아 수곳을 답사 다니고 있습니다.많은곳을 보다보니 정리가되지않아 생각이복잡하던차에 두근두근 님 설명에 환해지는듯한 느낌 입니다 감사합니다
조선왕조실록 기록에 와옥(瓦屋)으로 천자문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즉 기와집이 통상적 용어로 한옥( 韓屋)은 서양의 외래가옥 즉 양옥 과 구분하기 위해 한옥이라는 용어를 창작해 사용한것으로 전통적 숭조사상 측면의 시각에서 본다면 역사성없는 창작용어가 한옥으로 한옥 대신《기와집 또는 와옥》또 억새나 짚으로 엮은 집은 초가집 또는 초옥 (草屋)이 그시대 표준화된 용어라 하겠습니다 .
네 좋은 말씀 감사 드립니다~
어쩌면 저와 똑같은 열화정을? 아니 저보담 훨 멋진 영상입니다! 한옥 전문가님의 해설을 보니 열화정에대한 더 깊은 공부가 되는군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제가 올린 열화정 이야기도 한번 방문해주시면 영광 이겠습니다!
한옥이라는 말은 나중에 만들어졌기때문에 초가집을 한옥이라고 하긴 어렵지요~??
요즘은 구둘장이 없으니 한옥의 기단을 낮춰도 될까요?
온돌이 기단의 발전에 어느정도 기여했다고 볼순 있지만 기단을 높게한 이유 전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서민들은 기단을 높게할 만큼의 여유도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가난한 서민들은 흙을 조금 쌓고 다진 토축기단위에 소박한 집을 짓고 살았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물론 그마져도 못하고 살았던 이들도 많았겠죠. 기단의 가장 큰 이유는 지면의 습기가 기둥 등의 나무 부재에 미치는 악영향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그 목적을 충분히 충족하는 선에서의 기단 높이만 확보되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두근두근한옥 돌은 10cm x 3 도 10kg가 넘는데, 개인이 한개인의 수입을 책임(석공 및 운반자)질 수 없는 서민은 조달이 불가능함... 유럽도 산업혁명 이전에는 강 주변의 교회나 성만 석조고, 서민은 목조주택 임.
목소리 너무 좋습니다❤️ 귀에 쏙쏙 들어와요!
감사합니다. 저는 전통건축을 하는 입장에서 전통단위의 필요성에 대해서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자 합니다. 두근두근 한옥님의 동영상을 계속 보고 있는데 너무 많은 감명을 받습니다. 너무 소중하고 귀한 이야기를 아주 쉽게 정리를 해 놓으신 것에 대해서 감사하다는 생각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전통건축의 기둥에 대해서 완벽하게 정리가 된거 같습니다. 짧은 시간안에, 누구나 쉽고, 이해 할수 있게 정리해 놓은 당신에게 "깊은 존경심"을 나타냅니다. 저도 전통건축을 하는 입장에서 , 앞으로도 질 좋은 많은 정보를 많은 이들에게 전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한옥의 용어나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쉽게 접할수 있는데 , 이렇게 그 의미를 풀이해 주는 곳은 거의 없는것 같습니다. 저는 두근 두근 한옥님이 잘 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특히 초,중,고에서 학습 교본으로 사용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부족한데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말씀으로 듣겠습니~
좋은 채널을 우연히 접하고 여럿 영상을 감사히 보았습니다. 도시촌넘인 제가 덕분에 호강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염치없이 부탁드리고 싶은 것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시각을 건물 전체(지붕 끝이나 건물 모서리 등)를 반드시 담았으면 합니다. (정면, 좌우 측면, 후면 등...) 그리고 주요 부분을 클로즈업해나갔으면... 조명을 활용하여 그림자가 지는 곳을 나뭇결이 보일 정도로 선명하게 촬영한 영상을 더한다면 금상첨화~ 그러면서 제작자님의 해박한 지식을 곁들인다면 정말 훌륭한 한옥 전문 채널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카메라 움직임을 좀더 천천히 했으면 합니다. 상이 뭉게져서 흐릿하게 보일 뿐만 아니라 천천히 음미할 수 없어서 아쉽다. 한옥의 한가롭고 힐링되는 기분도 조금 반감되기도하고... 저는 오래되어 건물의 골조가 약간 뒤틀릴 정도로 오래된 고가를 좋아합니다. 세월의 풍상에 나뭇결이 선명하게 들어나는 오래된 목재들의 멋도 좋아합니다. 한옥을 사랑하시는 분들도 아마 저와 그리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이런 멋을 살릴 수 있는 영상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것을 몇 가지 적어봤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영상 기대합니다.
정성스런 댓글 감사합니다. 영상쪽으론 미흡한 점이 많습니다. 말씀해주신 내용 참고해서 더 나은 영상을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요즘은 인조짚이 개발 초가집 지을 수 있습니다.
네 인조짚이 처음엔 좀 어색하지만 1~2년 지나면 색깔도 자연스러워지고 초가집에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산초당은 원래크기보다 확장되서 다시 지어진겁니다. 그건물은 의미없는 신축건물. 정약용선생님이 쪽팔려하실겁니다.
네 다산초당은 지어진지 얼마 안됐죠~ 지어질 당시 초가로 할지 와가로 할지 고민하다 결국 관리상의 문제를 이유로 기와지붕이 됐죠~ 연못도 새로 만들어진 걸로 압니다. 다만 '정석'이나 '약천' '다조' 등은 당시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이유로 주변 건물들이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고 주변 일대가 사적으로 지정됐습니다. 관심 가져 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옥의 매력이 이런거구나~이제야 느껴지네요 감사해요^^
명칭들이 어렵네요.많이 들어본것도 있지만~~~~ 그래도 동영상을 듣고보니 이해도 되고 한옥을볼때 더 신중히 볼것같아요^^👍
처음 한옥을 접할때 가장 어려운게 명칭인것 같아요~ 그래도 찬찬히 반복해서 보고, 듣다보면 금방 익숙해지실 거에요~
매력적인 장소네요. 나중에 꼭 한 번 가보고 싶어요 ~
요즘 여행 못하고 집에만 있는데 눈으로나마 잘보았습니다 ^^
멋진 한옥& 연못 아름답네요
그런 한옥에 살고 싶은 마음입니다~
하나만 묻고싶어요. 왜 두근두근 이라고 지으셨나요? 답을 기다리겠습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멀리서 한옥 그림자만 보여도 가슴이 설레이고 '두근두근' 거리던 때가 있었습니다. 어떤분들은 '한옥'이라고 하면 '춥고 불편한 집'으로만 기억하는 분이 계시고, 반면 한옥의 그 불편함마저 낭만적으로 느끼는 분 역시 계십니다 처음의 그 설레임을 계속 간직하고 싶고, 그 느낌을 공유하고 싶어 '두근두근한옥'으로 지었습니다. 답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추운날 건강 조심하세요~
가장 알고 싶었던 내용인데 완벽하게 정리가 되었습니다. 감사
도움되셨다니 다행이네요~
초가삼간(间)...... 우리는 공간 단위, 즁국은 건물 세는 단위로~~~.
Good luck all the time 천상운집👨👩👧👧千祥雲集 苟日新 구일신 日日新 일일신 又日新 우일신 기🙏원 {소확행 小確幸) 작지만 확실한 Felicity 더할나위 없는 행😂복 (행복)팔여거사(八餘居士)(부끄) 🐢삼🐢구🐢PHLsystem
오랜만에 보네요 자주 올려주세요^^
네 앞으로 더 자주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