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이
여전이
  • Видео 421
  • Просмотров 5 087
청화백자 특별전
청화백자 특별전
Просмотров: 6

Видео

목련나무에 말걸기
Просмотров 7Месяц назад
목련나무에 말걸기
호수를 품에 안다
Просмотров 92 месяца назад
호수를 품에 안다
그릇이 큰 사람
Просмотров 3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릇이 큰 사람
계릴라 가드닝
Просмотров 182 месяца назад
계릴라 가드닝
킨 포크족
Просмотров 23 месяца назад
킨 포크족
시간의 흔적
Просмотров 163 месяца назад
시간의 흔적
스페인의 몰락
Просмотров 14 месяца назад
스페인의 몰락
고산대
Просмотров 34 месяца назад
고산대
겨우살이
Просмотров 205 месяцев назад
겨우살이
오디푸스의 길
Просмотров 5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디푸스의 길
철조 약사여래 불
Просмотров 56 месяцев назад
철조 약사여래 불
불행증 다행이댜
Просмотров 46 месяцев назад
불행증 다행이댜
책가의
Просмотров 9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책가의
장하다 노란 눈썹 솔새
Просмотров 8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장하다 노란 눈썹 솔새
일본에 상륙한 기독교
Просмотров 5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일본에 상륙한 기독교
뿌 리 찾기
Просмотров 3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뿌 리 찾기
응급실 풍경
Просмотров 611 месяцев назад
응급실 풍경
나의 쉼터
Просмотров 4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나의 쉼터
편히 짐들고 싶다
Просмотров 2Год назад
편히 짐들고 싶다
아파트공화국
Просмотров 1Год назад
아파트공화국
칭기스칸을 보고 배운다
Просмотров 3Год назад
칭기스칸을 보고 배운다
억새서 억새라네
Просмотров 5Год назад
억새서 억새라네
문경지교
Просмотров 2Год назад
문경지교
들고양이와 전쟁
Просмотров 2Год назад
들고양이와 전쟁
가슴이 ㄸㅏ뜻한 사람
Просмотров 16Год назад
가슴이 ㄸㅏ뜻한 사람
화조도와 문자도 뜻
Просмотров 2Год назад
화조도와 문자도 뜻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
Просмотров 4Год назад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
논어 술이편 이야기
Просмотров 6Год назад
논어 술이편 이야기
창을 든 마지막 전사
Просмотров 6Год назад
창을 든 마지막 전사

Комментарии

  • @도익석
    @도익석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정보 ㅡ❤

  • @전문시낭송tv
    @전문시낭송tv 3 месяца назад

    배음 잇으면 더 좋을것같습니다..

  • @bn1009
    @bn100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 응원합니다

  • @bn1009
    @bn1009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ㅡ

  • @도익석
    @도익석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으악새 슬피울어 ㅡ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집터 다지는 일을 지경이라 하지요? 온 마을 청년들이 모여 울력으로 다지는... 잘 들었네요.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찌를 바라보는 시간은 멈추어 있지요.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좋은 말씀입니다.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우리 고운님!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공감!

  • @화이팅-z5m
    @화이팅-z5m Год назад

    장희자 작가님 늘 멋지십니다~^*^👍🌻 (함태선)

  • @도익석
    @도익석 Год назад

    잘 들었어요.

  • @화이팅-z5m
    @화이팅-z5m 2 года назад

    작기님의 가슴은 언제나 마르지 않는 샘물 같으세요~^*^(함태선)

  • @이경진-l4i
    @이경진-l4i 2 года назад

    오래간만에 들어왔는데 한 편의 멋잇는 수필, 잘 감상했습니다.?

  • @sunumiae
    @sunumiae 2 года назад

    와이로~~ 일본어,인 줄 알았어요

  • @sunumiae
    @sunumiae 2 года назад

    재밌있네요 끝까지 듣게 됩니다

  • @sunumiae
    @sunumiae 2 года назад

    잘 듣고 갑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2 года назад

    선견지명에다 훌륭하신 어머님께 박수를 보납니다.

    • @여전이-q9b
      @여전이-q9b 2 года назад

      부족한 글 읽어 주시고 격려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현이-v3h3u
    @현이-v3h3u 3 года назад

    그런데 아무리 후손이라고 해도 인성은 다르지 결혼하는 여자 인성 같은 부모 한테 태어나도 성격 인간성이 다르다 같은 형제끼리도 착한사람 나뿐사람 이 있다

    • @여전이-q9b
      @여전이-q9b 3 года назад

      현이님 방문해 주시고 답글까지 주셔서 고맙습니다. 현이 님 말씀이 맞는것 같습니다. 형제간에도 성격은 물론 외모도 많이 다르니까요.

  • @TV-qb8vb
    @TV-qb8vb 3 года назад

    강원수필 문학상 수상을 축하드립니다. 상복이 넘치시는 가 봐요.

    • @여전이-q9b
      @여전이-q9b 3 года назад

      고맙습니다. 문학단체 일을 많이 한 결과겠지요. 선생님 글은 역사와 관계있는 특징이 있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 @chongmaria
    @chongmaria 3 года назад

    밴드에 올려주세요 좋아요

  • @강원문화콘텐츠
    @강원문화콘텐츠 3 года назад

    좋아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여전이님 명 수필 잘 감상했습니다

    • @여전이-q9b
      @여전이-q9b 3 года назад

      부족한 글 매일 읽어 주셔서 고맙습니다.

  • @화이팅-z5m
    @화이팅-z5m 3 года назад

    장희자 작가님 사랑의 감성을 듣고 또 듣습니다 감사드립니다 건강하십시오~^*^(함태선)

    • @여전이-q9b
      @여전이-q9b 3 года назад

      아직 부족한 것이 많습니다. 고맙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제가 젊은 시절 태백 장성 황지. 평창 대관령에 12년 정도 근무했는데요. 돌이 오줌을 싼다 그런 얘기 많이 들었어요. 그 옛날 매봉산 등 고랭지대 출장 다니던 생각이 나네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여름철 모시 입은 어른들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한결 품위있게 보이는 우리 조상님들의 옷이지요. 세모시, 설송! 같을 여, 앞 전 자 여전, 참 좋은 호입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잘 감상했습니다.

  • @화이팅-z5m
    @화이팅-z5m 3 года назад

    작가님 멋지십니다 조석으로 공기가 많이 찹니다 감기 조심하시고요^*^(함태선)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우리나라도 독일식 교육제도가 필요한데 그 제도의 우수성을 알지만 도입이 어럽습니다. 부모 모두 자식들 대학 보내려하고 또 좋은 대학 졸업장이 있어야 출세하는 세상이다보니 그렇게 흐러온 것 같습니다. 최근 조금 변화는 있지만 사농공상, 좋은 대학 선호사상은 유교문화인 우리나라로선 한 30년 정도 지나야 가능하지 않을까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이이구 전혀 관싱을 두지 못했던 유물을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직접 찾이보겠습니 다.

  • @TV-qb8vb
    @TV-qb8vb 3 года назад

    들러 봤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춘천의 명소 하나 하나에 대해 다시 잘 배우고 있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까치는 영리해서 동네 사람을 다 기억한다는 얘기가 재미있네요. 까치수난사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지난 2일 김유정문학촌에서 뵈었는데 문학촌 사진도 보이는군요. 오래전부터 가지고 계시던 [동백꽃] 소설책을 기념사업회에 기증하셨는데 전시가 안 되어 섭섭하다고 하셨죠. 아주 소중한 자료를 누가 가로챈 것 같아 분노가 생깁니다. 그 소중한 책을 가로챈 사람이 누굴까? 잘 감상했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김창흡은 조선 중기의 유명한 유학자죠. 예전 하서현 강대 전 총장님, 최승순 교수님, 최상익 교수님과 회천 사내면의 곡운계곡을 다녀온 적이 있습니다. 바위에 성리학 관련 도면과 글이 있더군요. 잘 들었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말씀 자체가 한 편의 수필이네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문자를 사용하기 전의 인류가 석기시대 사람들이지요. 타제 석기를 쓴 구석기 인, 마제석기를 쓴 신석기 인, 구리 종류를 쓴 청동기 인. 그 후 철로 무기나 농기구. 생활용품을 만들어 쓴 철기인들이 세상을 지배하게 되었죠. 구석기인은 채집. 수렵으로 살았고 신석기 시대가 되어서야 정착생활에다 농경문화가 시작되었다고 배웠습니다. 잘 들었습니다.

  • @이병옥-y8l
    @이병옥-y8l 3 года назад

    아름다운 소양로 성당의 역사와 아일랜드 신부님들의 신축과정 소개 잘 들었습니다. ♡♡♡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초담 선생이 먼저 댓글 다셨군요. 잘 들었습니다. 가슴 아린 사연이군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저도 대충대충 짓는데요 뭐. 운동삼아 하니 힘이 덜 들어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소양1교에서 후평동 방향 강둑에 간판이 있는 것을 본 것 같은데요. 글씨가 음각되어 있긴한데 흐려서 읽기 힘들더군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예전 이맘 때 찔레순 꺾어먹던 생각이 나는 군요. 한 줌씩 꺾어 질근질근 씹어 먹었지요.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소양로 성당에 그런 내력과 숨은 뜻이 있었군요. 잘 알게 되었습니다.

  • @jongkichoi6787
    @jongkichoi6787 3 года назад

    질마의 국홬곷 설명 과 향기 담고갑니다

  • @TV-qb8vb
    @TV-qb8vb 3 года назад

    잘봤습니다.

  • @jongkichoi6787
    @jongkichoi6787 3 года назад

    역사를 재조조명 할수있어 참좋은 공간 유투버로 등장함을 축하드닙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그동안 역사 공부하신 내공이 넘쳐나는군요. 세조 피부병 치료 관련 전설은 보은군 법주사에도 있는 것 같습니다.

  • @이경진-l4i
    @이경진-l4i 3 года назад

    저도 춘천 산지 오래되었으나 봉의산 중턱에 그런 곳이 있는지 몰랐습니다. 전설은 들었는데 말입니다. 반기문 총장 관련 글을 2000년대 초에 본 적이 있는데요. 춘천 출신 한승수씨가 미국대사인지 유엔대사인지를 하고 있을 때 한직으로 도는 반기문씨를 불러 근무하도록 했다 합니다. 미국에서도 춘고 출신 모임이 있어 이따금 동창들 끼리 만났는데 반기문씨가 저도 동문이라면서 참석해달라고 했답니다. 그는 청주고 출신인데 영어로 춘고나 청주고 모두 C고라서 그렇다고 했답니다. 그만큼 사교성이 뛰어나다는 표현입니다. 그는 유엔대사 선임인 한승수씨보다 잘 되어 유엔총장 까지 했습니다. 이제 보니 그의 조상과 그는 춘천과 이런 저런 인연이 많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