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호
이성호
  • Видео 893
  • Просмотров 187 704

Видео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9차시. 테마 32 문제 풀이우주 구성 요소
Просмотров 18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9차시. 테마 32 문제 풀이우주 구성 요소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7차시. 테마 31 문제 풀이(빅뱅 이론)
Просмотров 48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7차시. 테마 31 문제 풀이(빅뱅 이론)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8차시. 우주 구성 요소(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28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8차시. 우주 구성 요소(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6차시. 빅뱅 이론(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17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6차시. 빅뱅 이론(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5차시. 테마 30 문제 풀이(허블의 법칙)
Просмотров 24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5차시. 테마 30 문제 풀이(허블의 법칙)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4차시. 허블의 법칙(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26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4차시. 허블의 법칙(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3차시. 테마 29 문제 풀이(외부 은하)
Просмотров 21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3차시. 테마 29 문제 풀이(외부 은하)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2차시. 외부 은하(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46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2차시. 외부 은하(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1차시. 테마 28 문제 풀이(외계 생명체 탐사)
Просмотров 13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1차시. 테마 28 문제 풀이(외계 생명체 탐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0차시. 외계 생명체 탐사(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72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60차시. 외계 생명체 탐사(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9차시. 테마 27 문제 풀이(외계 행성계 탐사)
Просмотров 37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9차시. 테마 27 문제 풀이(외계 행성계 탐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8차시. 외계 행성계 탐사(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64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8차시. 외계 행성계 탐사(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7차시. 테마 26 문제 풀이(별의 에너지원)
Просмотров 41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7차시. 테마 26 문제 풀이(별의 에너지원)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5차시. 테마 25 문제 풀이(별의 진화)
Просмотров 29Месяц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5차시. 테마 25 문제 풀이(별의 진화)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6차시. 별의 에너지원(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35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6차시. 별의 에너지원(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4차시. 별의 진화(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98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4차시. 별의 진화(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3차시 테마 24 문제 풀이(별의 물리량)
Просмотров 40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3차시 테마 24 문제 풀이(별의 물리량)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2차시. 별의 물리량(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34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2차시. 별의 물리량(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1차시. 테마 23 문제 풀이(지구 온난화)
Просмотров 23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1차시. 테마 23 문제 풀이(지구 온난화)
2025 수능완성 지구과학1 풀이 - 실전 모의고사 5회
Просмотров 1502 месяца назад
2025 수능완성 지구과학1 풀이 - 실전 모의고사 5회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0차시. 지구의 온난화(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18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50차시. 지구의 온난화(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9차시. 테마 22 문제 풀이(복사 평형)
Просмотров 27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9차시. 테마 22 문제 풀이(복사 평형)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8차시. 복사 평형(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35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8차시. 복사 평형(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7차시. 테마 21 문제 풀이(기후 변화의 내적 요인)
Просмотров 25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7차시. 테마 21 문제 풀이(기후 변화의 내적 요인)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5차시. 테마 20 문제 풀이(기후 변화의 외적 요인)
Просмотров 48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5차시. 테마 20 문제 풀이(기후 변화의 외적 요인)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4차시. 기후 변화의 외적 요인 (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31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4차시. 기후 변화의 외적 요인 (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6차시. 기후 변화의 내적 요인(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30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6차시. 기후 변화의 내적 요인(개념 정리)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3차시. 테마 19 문제 풀이(엘니뇨와 라니냐)
Просмотров 23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3차시. 테마 19 문제 풀이(엘니뇨와 라니냐)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2차시. 엘니뇨와 라니냐(개념 정리)
Просмотров 322 месяца назад
2024 사상고 2학년 지구과학1 수업 - 42차시. 엘니뇨와 라니냐(개념 정리)

Комментарии

  • @Minchong2
    @Minchong2 Месяц назад

    이성호 선생님 잘 지내시죠?! 열정적이신 모습은 어디서든 한결같으신 듯 합니다. 수능 다시 준비 중인데 선생님 생각이 많이 납니다… 언젠가 좋은 소식으로 연락드리고 싶네요:)

    • @이성호
      @이성호 Месяц назад

      음... 궁금하지만 누구인지 알 수가 없네요. 그래도 반갑습니다. 새로운 꿈을 위해 도전을 택하셨는데... 좋은 결과 전해지길 바랍니다.^^

    • @Minchong2
      @Minchong2 Месяц назад

      @@이성호 감사합니다^^ 이렇게라도 말씀 나눌 수 있어 기쁘네요. 언젠가 좀 더 떳떳해진 제자의 모습으로 안부연락 드리겠습니다!

    • @이성호
      @이성호 Месяц назад

      @ 그래요.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서로 안부 전합시다. 힘내요!!!^^

  • @vv2781
    @vv2781 2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께 종종 도움 받았던 학생입니다 12번 ㄷ보기에서 우주배경복사는 빛이 방출될 당시의 온도가 우리에게 진행되면서 낮아진 온도를 보는 것인데 그게 곧 현재 우주의 온도 분포를 보는 것 아닌가요ㅠ 개념이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 @이성호
      @이성호 2 месяца назад

      네, 현재 그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고 있으니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 빛이 오는데 시간이 시간이 걸리죠. 1억 광년 거리의 표면이 노란색인 별에서 빛이 출발해서 우리에게 도달하면 표면이 노란색이니 태양과 유사한 온도를 가지고 있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건 1억 년 전의 그 별의 표면온도이지 1억년이 지난 지금은 다른 온도일 수 있죠. 현재 온도라고 단정지어 말할 수 없죠. 마찬가지로 우주배경복사 역시 빅뱅 이후 38만년이 지난 시점에 나온 빛이 우리에게 지금 도달하고 있으니 그 당시의 온도 분포를 알려주고 있는 것이지 현재의 분포는 아니죠.

    • @vv2781
      @vv2781 2 месяца назад

      정확히 이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 @Ann-kx9zk
    @Ann-kx9zk 2 месяца назад

    👍

  • @승현한-u6z
    @승현한-u6z 2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2 месяца назад

      @@승현한-u6z 작으나마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 @승현한-u6z
      @승현한-u6z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성호 수능이 임박함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됩니다 설명 정말 잘하세요

  • @llolllololll-e3c
    @llolllololll-e3c 2 месяца назад

    7번 문제에서 C(암흑물질)의 비율이 과거에서 현재 미래순으로 시간이 진행할때 각각 22.4/26.8/16.9늘어났다가 줄어드는것이 이해가 잘되지 않아요 ㅠㅠ

    • @이성호
      @이성호 2 месяца назад

      이 문항은 내용 오류로 나와있습니다. T3에 22.4 10.5 67.1 로 정정해야 하는 것으로 공지되었습니다. 생각하신대로 암흑물질(보통물질도)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감소합니다.

  • @나는아기독수리
    @나는아기독수리 2 месяца назад

    4번문제에서 수능완성 정오표에는 A는 ㄷ,B는 ㄱ,C는 ㄴ 이라고 나와있는데 어떤게 맞는건지 헷갈리네요..ㅠㅠ

    • @이성호
      @이성호 2 месяца назад

      네. 정오표대로 하는게 맞네요. 저역시 실수를 했네요. 동일한 거리 상에 척력 작용으로 팽창속도가 A가 가장 클 것이다 판단해서 속도로 구분을 했네요. 이건 부족함이 있구요. 속도가 후퇴속도이니 이는 은하들의 적색편이를 관측하여 얻은 값입니다. 배우신 개념 중 우주의 가속 팽창 사실을 알아낸 것이 초신성 Ia 의 겉보기 밝기인데 팽창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했을 때보다보다 실제 관측한 겉보기 밝기가 더 어둡게 보였다는 것은 더 빠르게 팽창했다. 가속 팽창했다는 것을 의미하죠.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같은 거리인데... 같은 후퇴속도(적색편이)인데... 어느 우주가 더 빠르게 팽창하였는냐?(어느 우주에서 은하가 더 멀리 가 있는냐?)로 판단하면 됩니다. 그러니 세로축의 값이 일정할 때 가로축의 값이 어느 우주가 더 크냐면(세로축의 한 값에서 가로줄을 그러 각 그래프가 만나는 곳이 각 우주에서 은하의 거리)... A가 가속팽창이니 가장 거리값이 커야해서 ㄷ, B는 중력이 더 우세하게 작용하여 팽창속도가 느리니 은하의 거리가 가장 작아야 되니 ㄱ이 되어야 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2 месяца назад

    별의 위치는 무게중심에 대해 행성의 반대편에 있으니 B일 때 행성이 시선방향에 45도이니 그 반대편도 45도 동일하죠!

  • @이각현님
    @이각현님 2 месяца назад

    19:29 왜 각도가 45도가 되는건가요?

  • @gtffvdr
    @gtffvdr 3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해요ㅠㅠ 최고❤

  • @군침-o7z
    @군침-o7z 3 месяца назад

    성호선생님 훌륭하십니다. 건승하십시오.

  • @이오이일-n4g
    @이오이일-n4g 3 месяца назад

    7번 t3에 왜 보통물질 비율이 암흑물질 비율보다 높나요?

    • @이성호
      @이성호 3 месяца назад

      아닙니다. 암흑물질 비율이 더 높아야죠~! 해당 문항은 내용 오류로 나와있습니다. T3에 22.4 10.5 67.1 로 정정해야 합니다.

  • @우쿨판다
    @우쿨판다 3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지구온난화에 가장 많이 기여하는 온실기체는 수증기(30%~70%) 아닌가요?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이성호
      @이성호 3 месяца назад

      네~ 지구 온실효과에 가장 역할을 하는 것이 수증기가 맞습니다. 온실효과!! 온난화는 말 그대로 지구의 온실효과 증가로 인해 지구의 온도 증가 현상을 의미하니.... 과거와 비교해 온실효과를 증가 시킨 요인이 온난화의 원인이 되죠!! 수증기의 양은 과거나 지금이나 큰 변화가 없습니다. 그러니 수증기에 의한 온실효과는 과거나 지금이나 큰 변화 없죠! 그렇지만 이산화탄소, 메테인 등의 온실 기체들은 산업화 이후 급증해서 지구의 온실효과를 높였고 그로 인해 지구의 온도가 증가한 것이죠!! 지구의 온난화이니 지구의 온도가 증가하게 된 원인, 변하게 된 원인, 변한 것이 무엇인지 등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rimsworld472
    @rimsworld472 3 месяца назад

    오 쫌 치네

  • @멍승멍
    @멍승멍 3 месяца назад

    와 이거 진짜 미쳤다 나한테만 보이는 영상이었으면 좋겠다 진짜 감사합니다 🥹🥹❤

  • @blacklogic4600
    @blacklogic4600 4 месяца назад

    3:16 평행부정합이 아니라 난정합 아닌가요?

    • @이성호
      @이성호 4 месяца назад

      Q와 C가 난정합이지만 퇴적층인 B와 C는 평행부정합이죠~

    • @blacklogic4600
      @blacklogic4600 4 месяца назад

      @@이성호 진짜 감사합니다ㅠ

  • @grmrgwehskr
    @grmrgwehskr 4 месяца назад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됩니다

    • @이성호
      @이성호 4 месяца назад

      도움이 되셨다니... 저역시 뿌듯하고 감사하네요~

  • @whereismypay
    @whereismypay 4 месяца назад

    11번이 끊겼어요 ㅠ

    • @이성호
      @이성호 4 месяца назад

      ruclips.net/video/IOlz6ki-auU/видео.html 누락되었네요.^^;

  • @vv2781
    @vv2781 4 месяца назад

    선생님 4강 2점 문제에 질문이 있습니다..! 너무 항상 친절하게 대답해주셔서 질문드립니다😂 4강 2점 7번 문제에 B가 있었고 그다음 A가 있었다는 건 이해가 되는데 꼭 A가 관입한 상태여야 하나요? B가 있었고 융기,침식,침강 한 후 퇴적되다가 A가 관입하고 다시 융기,침식,침강하여 C와 난정합을 이룰 수는 없는 건가요?

    • @이성호
      @이성호 4 месяца назад

      네.가능합니다. 그럴수도 있죠 위 내용 중 "B가 있었고 융기,침식,침강 한 후 퇴적되다가 A가 관입"에서 침강한 후 퇴적은 알 수는 없죠. 만약 퇴적되었다면 문제 상의 자료에서는 모두 침식으로 제거가 된 것으로 봐야하죠.(확인 안되는 사실들이 좀 있죠 그래도 가능은 하죠) 그렇게 해석하더라도 문제의 답은 맞죠~

  • @vv2781
    @vv2781 4 месяца назад

    안녕하세요 선생님 항상 잘 참고하여 공부하고 있습니다 6번 문제 흑체의 플랑크 곡선에서 반지름은 고려할 필요가 없는 건가요??

    • @이성호
      @이성호 4 месяца назад

      네. 플랑크곡선은 무조건 표면온도에 의해서만 결정된 그래프입니다. 가끔 다른 조건을 주면서 플랑크곡선의 형태를 보이는 방출에너지 곡선의 경우 광도인지 슈테판 볼츠만의 법칙(표면온도 4승에 비례)인지 구분이 필요한 문제도 있구요.(곡선 아래 면적이 에너지의 양 - 광도 또는 슈테판 볼츠만의 법칙 값) 그렇지만 명확하게 플랑크곡선이라 제시하였으면 표면온도 4승에 의해 결정되는 그래프입니다~

  • @vv2781
    @vv2781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3번 문제에서 대륙붕이라고 했으니 해양환경으로 봐야하는 건데 여기를 연안환경의 삼각주라고 볼 수는 없는 건가요???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이성호
      @이성호 5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삼각주 맞죠!! 하천수가 유입되는 해안 퇴적지이니... 보다 정확히 보면 삼각주와 접해있는 대륙붕이죠. 지금은 삼각주이지만 해수면이 상승하면 좀 더 깊은 바다 지형이 될 것이고 해수면이 하강하면 육지가 될 것입니다. 그래서 현재의 삼각주는 연안 즉 육지와 바다가 접하는 부분에 한정된 곳이지만 문제 상의 A, B, C는 물 속의(바다 속의) 지형이니 대륙붕이 되죠. 그래서 삼각주 존재하는 또는 접해있는 대륙붕이라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생각합니다.

  • @yuiwns-e1pjtlndw
    @yuiwns-e1pjtlndw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정말 이해가 잘 됩니다🥺 감사드려요

    • @이성호
      @이성호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작으나마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공부용계정-o9b
    @공부용계정-o9b 5 месяцев назад

    핵심요약에다가 자막까지 최고내요

  • @김찬미-n9q
    @김찬미-n9q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덕분에 수특이해 잘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조금이라도 도움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 @keeppoint2897
    @keeppoint2897 6 месяцев назад

    컴팩트 굳

  • @nawu-n2l
    @nawu-n2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유완입니다! 대학교 와서 전공시험 공부하다가 유튜브 알고리즘에 선생님 수특 강의하시는 영상이 떠서 오랜만에 영상 봅니다 ㅎㅎ 선생님 덕분에 지구과학에 흥미가 생겨서 지구과학교육과 왔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 @이성호
      @이성호 8 месяцев назад

      안그래도 주완이 만났을 때 그렇게 들었는데...ㅎㅎ 늦었지만 축하하고 환영한다. 아무쪼록 학업과 진로가 적성에 맞았으면 좋겠고 무엇보다 즐거운 대학 생활들 되었으면 한다. 대학 생활이 공부도 있겠지만 많은 경험을 하며 더 단단하고 큰 사람이 되어가길 바래~~^^

    • @nawu-n2l
      @nawu-n2l 8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다음에 한 번 찾아뵙겠습니다!

  • @안녕-l3l7c
    @안녕-l3l7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안녕-l3l7c
    @안녕-l3l7c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선생님 잘 보고 있습니다

  • @pure_heeng
    @pure_heeng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bw4958
    @bw4958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진짜 지구과학 올리시는 선생님들 중에 최고입니다 ..작년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줄 알았는데…올해도 도움을 받네요 😂😂

    • @이성호
      @이성호 9 месяцев назад

      네. 올해만 만나죠!! 후회없는 한 해 보내시고 원하는 결과 만들어 가시길 바랍니다.^^

  • @정영록-s1l
    @정영록-s1l 9 месяцев назад

    02년생 수능준비생입니다.. 여의치않은 상황에도 배달도 하고 알바도 하면서 수능준비하는데 유익한 채널 알게된거같아요 감사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9 месяцев назад

      자신의 꿈을 향해 누구보다 열심히, 치열하게 생활하시고 있으시네요. 작게나마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 @한국산도토리
    @한국산도토리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감사합니다

  • @IMkitty_sitter
    @IMkitty_sitter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10번에서 (나)가 열점이면 열점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깊이가 100키로미터 부근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그 깊이가 왜이리 얕은지 알 수 있나요? 열점에서는 외핵맨틀 경계부터 쭉 마그마가 올라오는 것 아닌가요? 좋은 해설 감사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안녕하세요.^^ 마그마 형성 과정이 있죠. 그 중 해령과 열점은 상승에 의한 압력 감소에 의해 마그마 형성이죠. 열점도 마그마가 외핵과 맨틀의 경계에서 마그마 자체가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맨틀 물질이 상승하여 압력 감소로 마그마가 만들어지고 이것이 다시 상승하여 지표에서 분출되는 것이죠. 그래서 열점도 플룸 상승류이죠.(플룸 - 맨틀 물질의 상승 및 하강)

    • @IMkitty_sitter
      @IMkitty_sitter Год назад

      감사합니다 이해했습니다!

  • @Xdaeunx123
    @Xdaeunx123 Год назад

    8:34초에 시선방향과 공전축이 수직일때 식현상이 잘 발생한다고 하였는데 시선방향이 수직이면 식현상 관측이 불가능한거 아닌가요 ?? 나란할때만 이용기능한거 아닌가요 ?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일반적으로 묻는 것은 시선방향과 공전궤도면과의 관계이죠. 그렇지만 이 문항에서는 궤도면이 아닌 궤도면과 수직관계인 공전축과 시선방향에 대해 물었으니 반대가 되죠~

  • @DS_student
    @DS_student Год назад

    1:11 혹시 지금이라도 댓글을 달아주실 지 모르겠지만, 질문을 남겨봅니다. 1번 문제에서 관측자 Q 시점에서 어떻게 보아야 수직하게 보이는 건가요? 반대로 생각하면 P에서 수직으로 보이고 Q에서 나란하게 보일 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문제에서 P와Q의 시선 방향이 행성의 공전 궤도면과 나란하다는데 어째서 Q만 수직하게 보이는 것인가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우선 공전궤도면과 시선 방향이 나란다는 것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행성이나 별이 공전할 때 그리는 공전궤도의 면과 시선이 나란하다는 것은 관측자가 그 궤도를 본다면 그 궤도면이 누워져 있는 상태로 보는 것이라 하나의 선으로 보이죠(종이면과 나의 시선이 일치한다는 것은 종이 면이 누워져 있는 상태에서 옆에서 보는 것, 즉 종이 한 장의 옆을 보니 선으로 보이죠) P와 Q의 관측하는 때는 현재 그림의 위치 관계일 때입니다. 제시된 그림 상황이니... 별의 현재 위치에서 그 순간의 운동 방향만을 고려해야 합니다. 그 순간의 운동 방향만을!!(풀이 과정에서 초록색 방향) 그렇다면 P에서 본다면 P가 바라보는 방향(시선 방향)과 나란하고 Q가 바라보는 방향(시선 방향)에 대해서는 수직으로 가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참고로 시선 방향은 관측자와 관측 대상을 이은 방향이 시선 방향이 되겠죠.(관측자가 관측 대상을 바라보는 방향이 둘을 이은 선의 방향이니... )

    • @DS_student
      @DS_student Год назад

      음 어느 정도 이해한 것 같습니다. 설명 친절하게 해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4개월 전 영상이라 답변을 해주실지 안 해주실지 긴가민가 했는데 해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또한 영상 퀄리티가 정말 엄청나시네요 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naturexx365
    @naturexx365 Год назад

    11:27

  • @naturexx365
    @naturexx365 Год назад

    8:14

  • @민서김-t2m
    @민서김-t2m Год назад

    10:29 9번에 동태평양 적도부근은 라니냐때 수온 하강 아닌가요 ㅠ?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라니냐 때 동태평양 적도 부근 수온 하강 맞습니다. 수온 편차 색을 보세요!! 밝은 색은 수온 감소!! A시기는 밝은 색이죠!!

  • @조현재-c2v
    @조현재-c2v Год назад

    선생님 항상 감사합니다! 이해가 너무 잘됩니다!

  • @Keei-pt6tl
    @Keei-pt6tl Год назад

    27:08 ㄷ에서 정단층인 경우에도 정단층의 지표면 부분은 연령 변화가 연속적일 수 있는거 아닌가요? --- ---- \ | | \ 이렇게되면 지표면(---)의 연령은 상반 하반 차이가 없을 수 있는거 아닌가요 이해가 잘 안가요 ㅜㅜ

  • @juuuuuuuuuong
    @juuuuuuuuuong Год назад

    2번에서 우리은하도 시간이 지나면 팽창해서 위치가 옮겨지니까 거리가 2배가 되는게 아니라 더 멀어지는거 아닌가요..? 사진에선 우리은하는 T일때 위치고 B는 시간이 더 지났을때 위치라서 다른 시점일때 위치니까요..! 우리은하를 기준으로 봐서 시간이 지나도 그 자리에 있는걸로 생각해야하나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그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문제에서 허블의 법칙을 만족한다는 조건이 제시되어 있는데요. 허블의 법칙은 은하의 후퇴에 의한 적색편이 관측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죠. 즉 관측자를 기준으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바로 관측자는 지구에 있으니 우리 은하를 관측의 중심(우주의 중심이라는 의미는 아님)에 두고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은하와 B와 B'가 일직선상에 있다는 것도 우리 은하를 관측의 중심에 뒀다고 볼 수 있겠죠. 다른 곳이 관측의 중심이었다면 우리은하와 B와 B'가 일직선상에 놓이지는 않았을테니까요.

    • @juuuuuuuuuong
      @juuuuuuuuuong Год назад

      @@이성호 아 이해됐어요!! 항상 도움 많이 받고있어요. 감사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juuuuuuuuuong 거의 다 왔네요. 잘 마무리 하셔서…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 @Keei-pt6tl
    @Keei-pt6tl Год назад

    17:11 7번문제에서 A,B지괴가 회전했다면 성립이 안되지 않나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그럴수도 있는데... 그렇게 되면 A와 B 지괴에 잔류자기를 이용한 당시 자기극의 위치를 기반으로 한 두 지괴의 위치도 자료와는 달라지게 됩니다. 지괴의 이동과 회전까지 모두 고려된 것이 현재의 위치라 봐야할 듯 하네요.

  • @이웃집아이들
    @이웃집아이들 Год назад

    잔류자기방향과 고지자기극은 다른건가요? 8번 ㄱ선지를 풀때 헷갈렸습니다 이유는 이전에 고지자기극 표시해놓고 지괴가 서로 멀어지니 한 방향을 향하지않는다 라는 그림을봐서 그랬어요 잔류자기방향 고지자기극 헷갈려요

    • @이웃집아이들
      @이웃집아이들 Год назад

      그 그림은 하나의 대륙이었던 a/b대룩이 2억년전 자북극이 향하는 점이 서로 다르고 그 두 점이 현재 자북극과도 다른 총 3개의점이있는그림이었습니다

    • @이웃집아이들
      @이웃집아이들 Год назад

      하나의 점으로 수렴한다는게 무한정으로 연장해서 일단 수렴하는게 있긴하다 이런의미라면 애초에 당연히 두 직선은 교점 있으니까 이 의미는 아닌것같은데..어려워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다르죠. 잔류자기는 말 그대로 암석에 잔류(자화되어 남아있는) 자기입니다. 나침반들도 자화된 상태에 있는 것이죠. 암석들이 생성 당시의 자기력선 방향대로 배열(자화)되어 하나의 자석(나침반)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자화된 암석들(나침반)들은 당시의 자기극 방향으로 자화되었으니 모두 그 방향을 향하죠. ㄱ과 ㄴ은 연령이 동일하니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고... 그리고 문제 상에서 생성될 당시라 그랬으니 한 시점에서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겠죠. 님이 보신 자료는 생성될 때 같은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굳은 후 이동하면 서로 다른 지점을 향하게 되는 것을 의미하죠. 문제 상에서 생성될 당시라고 했으니 그 시기를 의미하는 것이니 어렵게 생각안하셔도 됩니다.

  • @이웃집아이들
    @이웃집아이들 Год назад

    3번에서 무조건 초록색 선 대륙판과 해양판 하나의 판 아닌가요? 팡의경계를 문제에서 명시해줘서 저는 그렇게 생각했어요

    • @이웃집아이들
      @이웃집아이들 Год назад

      추가로 에이 왼쪽에 해형이 있는것 제가 저렇게 그래프를 추가로 그려서 생각해도 되는건가요? 저는 수렴형경계임은 알겠지만 해령이있는건못찾았어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맞습니다. 해양판과 대륙판이 하나의 세트로 이뤄진 판으로 해석하는 것이 더 합당합니다. 그리고 ㄱ을 통해 A가 해양이면 해양지각은 해령에서 생성되고 해령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먼저 형성되어 많이 이동해 온 지각이니 지각 연령은 증가하죠. 역으로 나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가면 해령이 위치하게 되죠.

  • @눈사람-j7m
    @눈사람-j7m Год назад

    7번 문제에서 궁금한 점이 두가지가 있는데요 1. ㄴ선지 해설에서 생명 가능 지대로 설명하셨는데, 각각의 중심별로부터 지구와 ㄱ행성의 거리는 비슷하지만 광도는 태양이 더 높기 때문에 지구가 표면 온도가 더 높다고 해석해도 되나요? 어떻게 보면 ㄱ행성이 중심별로부터 더 가까운데, 왜 생명가능지대인 이유만으로 지구의 표면온도가 더 높은지 궁금합니다 2. ㄷ선지에서 '단위 면적당 중심별로부터 받는 총 에너지양'은 광도에 비례하고 거리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생명가능지대에 있는 행성들은 대체로 이 값이 같은건가요? ㄷ선지에서 단지 두 행성이 생명가능지대에 머무르는 시간만 고려하셔서 푸는것을 보고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1. 네 님이 생각하는 광도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그러니 광도가 크면 생명가능지대도 멀어지게 되죠!! 광도가 방출하는 에너지 총 양이니… X의 생명가능지대가 태양보다 가깝다는 것은 광도가 즉 방출하는 에너지가 태양보다 작은 것. 그리고 생명가능지대는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 조건이니 별을 난로라고 생각하면 가까우면 온도가 높아 기화되는 것(생명 가능지대 안 쪽)이고 멀면 온도가 낮아져 물이 얼게 되죠(생명 가능 지대 밖). 너무 가까우면 X보다는 태양이 화력(광도)이 더 좋은 난로인데 지구는 그래도 생명가능지대 안쪽이니 액체 상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온도이고 ㄱ의 경우 생명가능지대 밖이니 얼음이 존재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이죠. 2. ㄷ 때문에 문제에서 지구와 ㄴ이 생명가능지대 가운데 있다고 조건을 준 것입니다.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지구와 조건이 비슷하다면 0~100도씨)의 중심(가운데)라고 했으니 온도가 비슷하다는 것!! 온도를 결정하는 것이 얼만큼의 에너지를 받고 있는지에 의해 결정되니 단위시간 단위면적에 받는 에너지라 한 것이죠! 그러니 더 진화가 느린 X가 생명가능지대 거리와 폭의 변화도 느리니 더 오래 에너지를 받을 수 있죠 이미 태양이 진화해서 백색왜성이 되더라도…

  • @gawa6874
    @gawa6874 Год назад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 @박소현-r6b
    @박소현-r6b Год назад

    질문이있어요 7번 문제에서 태양계의 중심별보다 외계행성계X의 중심별이 그래프상에서 질량이 더작잖아요 주계열성이니 광도도 더 작을거구요 중심별의 광도가 커짐에 따라 생명가능지대가 멀어지고 폭이 넓어지지않나요? 근데 왜 광도는 외계행성계 X의 중심별이 태양보다 더 작은데 생명가능지대의 폭은 더 넓은거죠?ㅠㅠㅠ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님의 생각대로 광도와 생명 가능 지대 거리 및 폭 모두 비례 관계 맞습니다. 위의 자료(많은 기출 문제에서도) 가로 축을 지수적(10의 -1승 = 0.1, 10의 0승 = 1, 10의 1승 = 10, 10의 2승 = 100 등으로...)으로 수를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가로축 0.1의 1cm 정도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값과 1.0의 1cm 정도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 값의 크기는 서로 다르죠!! 1.0의 1cm가 훨씬 큰 값입니다. 우주에서 1AU 정도는 너무도 작은 값입니다. 큰 범위를 표현하려니 가로축의 값을 지수적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로 만약 가로축의 값을 한 칸을 1AU 단위로 한다면...1AU, 2AU, 3AU, 4AU, 5AU 정도밖에 표현이 안되겠죠.

  • @눈사람-j7m
    @눈사람-j7m Год назад

    지표면의 평균 온도는 에너지 흡수량이 아니라 방출량의 영향을 받는 게 잘 이해가 안가네요ㅠ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충분히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흡수가 그 대상의 온도를 결정할 수도 있죠! 흡수를 많이 하면 온도가 높아지고 감소하면 온도가 내려가겠죠. 그렇지만 흡수가 늘었다고 해서 바로 반영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간의 평형(흡수량=방출량)을 이루기 위한 과정들이 있죠. 그런데 방출량은 방출 그 당시의 표면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니 그 당시의 온도를 잘 나타내 주는 것이죠. 다시 말하면...방출량은 순간 순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에너지 양입니다. 그러니 어떤 물체의 표면 온도에 의해 결정이 되죠!! 온도가 얼마냐인지에 따라 방출하는 에너지의 양이 결정이 되는 것이죠.(별의 물리량에서 슈테판-볼츠만의 법칙(단위 시간/단위 면적당 방출 에너지 양)이나 광도(단위 시간 동안 총 면적에서의 방출 에너지 양)처럼요.

    • @눈사람-j7m
      @눈사람-j7m Год назад

      @@이성호 아하 방출량과 표면 온도를 별 단원 배울때의 개념과 접목시키니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 @패드아이-f5s
    @패드아이-f5s Год назад

    선생님 ㅠㅠ 혹시 pdf파일 있으신가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받으실 메일 주소라도….

  • @강민재-k4f
    @강민재-k4f Год назад

    9번 문제 (나) 그래프 해석에 질문 있습니다. 설명하신 방식대로의 해석은 이해하지만 지진파의 속도가 밀도가 높을 수록 빠르면 깊이가 0인 지점에서의 출발 속도가 a그래프가 더 느리므로 a그래프가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대륙판인 B 아닌가요? 이렇게 풀면 결과가 반대로 나오더라고요.

    • @이성호
      @이성호 Год назад

      네. 실제로 지진파의 속도는 밀도에 반비례합니다. 그런데.. 지진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체적탄성계수와 전단계수, 밀도 이 3가지에 의해 결정됩니다.(s파는 체적탄성계수 외에 2가지에 의해 결정) 그렇지만 이에 대한 내용은 교육과정 상 다루지 않습니다. 지하 깊이에 따라 이 3가지 요소들이 모두 변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밀도 큰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에서 속도가 빠르게 분포하는 것처럼 나타나는 것이죠. 우리는 이 과정까지 다루지 않기에 결과적인 것을 제시하는 것이구요. 밀도만을 절대 기준으로 잡지 마시고... 저속도층이 나타나는 깊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그리고 온도를 기준으로 잡으면 더 좋구요. 해양보다 대륙이 깊이 증가에 따른 온도 증가가 작습니다.(같은 깊이라면 온도가 더 낮죠) 온도와 지진파 전파 속도는 반비럐

    • @강민재-k4f
      @강민재-k4f Год назад

      @@이성호 와우.. 빠르고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합니다! 완전 해결됐어요

  • @강스루기
    @강스루기 Год назад

    밤나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