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원스터디
제원스터디
  • Видео 35
  • Просмотров 631

Видео

사회문화현상을 바라보는 연구법 중 하나인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 순서 살펴보기
Просмотров 31Год назад
문제제기 - 가설설정- 연구설계-자료수집-자료분석-가설검증- 결론도출(일반화)- 대책 수립단계
사 회 문 화 현 상 연 구 방 법 꽁트와 베버
Просмотров 4Год назад
사 회 문 화 현 상 연 구 방 법 꽁트와 베버
백석 모닥불
Просмотров 10Год назад
백석 시인의 모닥불을 알아보고, 그 시를 통해 영향을 받아 창작된 안도현 시인의 모닥불까지 살펴보자.
광야,울타리밖 문제풀이
Просмотров 15Год назад
광야,울타리 문제풀이
9월 모의고사 투명인간 문제풀이
Просмотров 15Год назад
꼼꼼히 보시길
세종어제 훈민정음 (2)
Просмотров 17Год назад
세종어제 훈민정음 (2)
훈민정음 언해본 (1)
Просмотров 169Год назад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주의사항 최대한 한자음과 비슷하게 표기하려고 했던 세종대왕의 뜻에 따라 동국정운식 표기를 따랐기 때문에 형식종성, 듕귁 같은 것들 잘 체크 1) 나라 ㅅ 관형격조사 쓰임 2)말씀 이 주격조사 이, 이어적기, 말(높이거나 낮춤) 의미축소 ,ㅆ 각자병서 3)듕귁에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중세국어 때 "에"는 처소부사격조사가 아니라 중국 vs 우리를 비교하는 비교부사격 조사이다. 4)달아 여기서 쓰이는 o은 후두유성 마찰음이라 이어적기를 했음에도 끊어적기 한 것 처럼 보임 ㄹㅇ활용형으로 (현대국어는 ㄹㄹ 활용형 ) 결론) 끊어적기 아님 5) 문자와 동국정운식 표기(형식종...
2차시 사라진자음과 모음
Просмотров 2Год назад
여린 히읗 순경음비읍 반치음 옛이응
1차시
Год назад
기본자 원리 초성
1차시 기본 한글 pdf
Просмотров 3Год назад
1차시 기본 한글 pdf
예금,주식,채권은 무엇일까 (통합사회)
Просмотров 84Год назад
배당수익:주식회사가 이득을 남겼을 때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돈 (따라서 주식에만 있어요!) 시세차익: 오르내림에 따라 이득을 보는 것 (가령 500원 주식을 사서 1000원에 판다면 이득 500원을 보겠죠? 이것이 시세차익입니다.) 채권 역시 가격이 오르내림 하기 때문에 시세차익은 채권과 주식의 공동점이라 할 수 있죠 이자 수익:쉽게 말해서 돈을 빌려줬으니까 갚을 때 이자를 주는 거죠 그러니까 돈을 빌려주는 예금과,채권의 경우에는 이자수익을 기대할 수 있겠죠 ㅎㅎ {정리해보아요} 시세차익은 오르내림이 있는 주식과 채권의 공통점 배당수익은 주주들에게 주는 돈 이므로 주식만 해당 이자수익은 돈을 빌려주고 받는 혜택이므로 채권과 예금 !
상대 높임법과 주체 객체 상대 모두 높여버리긔 ^^
Просмотров 4Год назад
상대 높임법과 주체 객체 상대 모두 높여버리긔 ^^
객체 높임법에 대해 알아보자
Просмотров 1Год назад
객체 높임법에 대해 알아보자
높임 표현
Просмотров 9Год назад
주체높임법: 행위를 하는 주체를 높임 실현 방법: 님(접미사) 주격조사 이/가 께서 선어말 어미 "시" ex) 하시었다. 특수 어휘 - (진지,댁 연세/춘추,약주,성함/존함, 이 그 저분,계시다 주무시다.돌아가시다 잡수시다) 말씀은 남의 말을 높일 때 뿐만 아니라 자기 말을 낮출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주체 높임법의 종류 -직접 높임: 그 사람 자체를 높이는 것 -간접 높임: 그 사람의 신체 부분,생각 소유물 , 성품) 등을 높이는 것 다만 이 경우에는 특수한 어휘(계시다 등등) 를 사용XX 선어말 어미 '시'를 통해서만 실현된다. ex) 아버지는 생각이 깊으시다.
17
Год назад
17
기출문제 16번
Просмотров 1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16번
기출문제 15번 (조사의 쓰임새)
Просмотров 1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15번 (조사의 쓰임새)
기출문제 13번 14번 ( 13번- 품사와 문장성분 , 14번- 조사의 종류)
Просмотров 3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13번 14번 ( 13번- 품사와 문장성분 , 14번- 조사의 종류)
형태소와 품사 의미 관련 기출문제 문제 12번 구와 합성어
Просмотров 12Год назад
형태소와 품사 의미 관련 기출문제 문제 12번 구와 합성어
기출문제 7번 다의어의 대립적 의미
Просмотров 5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7번 다의어의 대립적 의미
기출 11번 어간 어근 구분하기
Просмотров 11Год назад
기출 11번 어간 어근 구분하기
기출 10번 (용언이 활용될 때 쓰이는 어간과 어미 , 단어의 형성때 쓰이는 어근과 접사)
Просмотров 3Год назад
기출 10번 (용언이 활용될 때 쓰이는 어간과 어미 , 단어의 형성때 쓰이는 어근과 접사)
기출 9 (본용언 보조용언)
Просмотров 14Год назад
기출 9 (본용언 보조용언)
기출문제 8번 (본용언과 보조용언)
Просмотров 8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8번 (본용언과 보조용언)
기출문제 6번 (다의어의 중심의미와 주변의미)
Просмотров 27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6번 (다의어의 중심의미와 주변의미)
기출문제 용언 활용 5번
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용언 활용 5번
어휘적 빈자리 기출문제(4번)
Просмотров 3Год назад
어휘적 빈자리 기출문제(4번)
어휘적 빈자리 (기출문제 3번 )
Просмотров 3Год назад
어휘적 빈자리 (기출문제 3번 )
기출문제 1번 풀이 (이형태)
Просмотров 16Год назад
기출문제 1번 풀이 (이형태)

Комментарии

  • @현승백-e4d
    @현승백-e4d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

  • @user-yoo1n004
    @user-yoo1n004 Год назад

    설명 너무 최고에요!!!!!!!!!!! 월요일날 국어 보는데 진짜 이해 팍팍 왕따봉

  • @제원스터디
    @제원스터디 2 года назад

    +않다: 앞에 나오는 본용언의 품사의 따른다 ex)쉽지는 않겠다 (본용언 쉽다=형용사) 즉 않겠다는 보조형용사 *A ex)가지 않았다 ( 본용언 = 동사) 즉 않았다는 보조 동사 * C + 보다 어떤 일을 경험한다는 의미 (보조 동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걱정 ( 보조 형용사) ex)야단맞을까 봐 ( 혼날까봐 ㅠㅠ 걱정) 보조형용사 *B ex)이런일을 당해보지 않은 사람 (무언가 당하다 경험하다) 보조 동사 *E +하다 앞말의 행동이나 상태에 대한 바람 (보조동사) ex) 성실했으면 한다 (네가 성실하길 바람)보조동사 *D 즉 보조동사는 c d e 보조 형용사는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