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I TV
STEPI TV
  • Видео 510
  • Просмотров 202 804
[AI시리즈] AI활용 누군가는 뒤쳐지고 있다?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STEPI Brief ▶ www.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34&pageIndex=1&cateCont=A0513&searchYear=&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Sort=
연구보고서 ▶ www.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pageIndex=1&cateTypeCd=STEPI_REPORT&tgtTypeCd=ALL&searchType=SUB_CONT&reIdx=1173&cateCont=A0202&cbIdx=0&searchKey=%EC%9D%B8%EA%B3%B5%EC%A7%80%EB%8A%A5
Просмотров: 91

Видео

[AI시리즈] 72%의 기업은 왜 AI를 외면할까?
Просмотров 46221 день назад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STEPI Brief ▶ www.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36&pageIndex=1&cateCont=A0513&searchYear=&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Sort= 연구보고서 ▶ www.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pageIndex=1&cateTypeCd=STEPI_REPORT&tgtTypeCd=ALL&searchType=SUB_CONT&reIdx=1173&cateCont=A0202&cbIdx=0&searchKey=인공지능
[제461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 "호라이즌 유럽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방안"
Просмотров 67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2월 18일(수) "호라이즌 유럽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제461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832&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461회 과학기술정책포럼] #1 "호라이즌 유럽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방안" ㅣ이명화 연구위원(STEPI)
Просмотров 78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2월 18일(수) "호라이즌 유럽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제461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명화 연구위원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832&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461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개회사 윤지웅 원장
Просмотров 21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2월 18일(수) "호라이즌 유럽을 통한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방안"이란 주제로 제461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윤지웅 원장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832&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STEPI Brief💡] 보이지 않는 안보위협, 해저케이블 공급망 정책
Просмотров 525Месяц назад
과학기술정책 현안을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영상보고서 '과학기술정책 Brief' 이번 주제는 '보이지 않는 안보위협, 해저케이블 공급망 정책' 입니다!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29&pageIndex=2&cateCont=A0513&searchYear=&searchCondition=1&searchKeyword=&searchSort=PUBLIC_DT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 "생성형 AI시대 과학기술인재 수급 진단과 정책방안 논의"
Просмотров 76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1월 27일(목) "생성형 AI시대 과학기술인재 수급 진단과 정책 방안 논의"란 주제로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796&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 #2 "확장적 기술인력 공급 진단과 지원과제" ㅣ이혜선 부연구위원(STEPI)
Просмотров 134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1월 27일(목) "생성형 AI시대 과학기술인재 수급 진단과 정책 방안 논의"란 주제로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혜선 부연구위원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796&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 #1 "AI기술 발전에 따른 수요 변화 진단과 정책방안" ㅣ이치호 부연구위원(STEPI)
Просмотров 92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1월 27일(목) "생성형 AI시대 과학기술인재 수급 진단과 정책 방안 논의"란 주제로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치호 부연구위원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796&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개회사 윤지웅 원장
Просмотров 38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1월 27일(수) "생성형 AI시대 과학기술인재 수급 진단과 정책 방안 논의"란 주제로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윤지웅 원장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796&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축사 구혁채 실장
Просмотров 50Месяц назад
지난 2024년 11월 27일(목) "생성형 AI시대 과학기술인재 수급 진단과 정책 방안 논의"란 주제로 제460회 과학기술정책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구혁채 실장 발제자료는 하기 링크를 통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40796&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본 영상내용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힙니다.
[STEPI Brief💡] 트럼프의 귀환, 한국 과학기술의 위기와 기회
Просмотров 224Месяц назад
과학기술정책 현안을 가장 빠르게 반영하는 영상보고서 '과학기술정책 Brief' 이번 주제는 '트럼프의 귀환, 한국 과학기술의 위기와 기회' 입니다!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www.stepi.re.kr/site/stepiko/report/View.do?reIdx=39&pageIndex=1&cateCont=A0513&searchYear=&searchCondition=&searchKeyword=&searchSort=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2 "민간주도 역동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 확장 설계"
Просмотров 68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2 "민간주도 역동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 확장 설계"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1 "민간주도 역동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 확장 설계"
Просмотров 68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1 "민간주도 역동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 확장 설계"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3 "저탄소 산업구조로의 재편에 대응한 중소기업 지원 전략 ㅣ 이상원 부연구위원(산업연구원)
Просмотров 76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3 "저탄소 산업구조로의 재편에 대응한 중소기업 지원 전략 ㅣ 이상원 부연구위원(산업연구원)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2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R&D 지원 전략" ㅣ 조용래 연구위원(STEPI)
Просмотров 108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2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R&D 지원 전략" ㅣ 조용래 연구위원(STEPI)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1 "중소기업 R&D 지원의 재설계 방향" ㅣ 김선우 중소벤처기술혁신정책연구센터장(STEPI)
Просмотров 123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1 "중소기업 R&D 지원의 재설계 방향" ㅣ 김선우 중소벤처기술혁신정책연구센터장(STEPI)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축사 정광천 이노비즈협회장
Просмотров 18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축사 정광천 이노비즈협회장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개회사 윤지웅 원장
Просмотров 39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9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개회사 윤지웅 원장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 "축소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Просмотров 93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종합토론 "축소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2 "축소사회 대응을 위한 지역신 전략" ㅣ 한웅규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Просмотров 1642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2 "축소사회 대응을 위한 지역신 전략" ㅣ 한웅규 연구위원(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1 "인구변동과 과학기술의 대응" ㅣ 이상림 책임연구원(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Просмотров 1653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1 "인구변동과 과학기술의 대응" ㅣ 이상림 책임연구원(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축사 우동기 위원장
Просмотров 453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축사 우동기 위원장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개회사 윤지웅 원장
Просмотров 923 месяца назад
[제458회 과학기술정책포럼] 개회사 윤지웅 원장
🚨한국 대통령이 북침을 선언했다?!🚨 대통령 딥페이크 영상이 퍼지면 생기는 일 ㅣ 국난극복 R&D 2편
Просмотров 1,7 тыс.3 месяца назад
🚨한국 대통령이 북침을 선언했다?!🚨 대통령 딥페이크 영상이 퍼지면 생기는 일 ㅣ 국난극복 R&D 2편
🔫화약무기 강국 조선은 왜 임진왜란 굴욕을 당했을까? ㅣ 국난극복 R&D 1편
Просмотров 1,3 тыс.5 месяцев назад
🔫화약무기 강국 조선은 왜 임진왜란 굴욕을 당했을까? ㅣ 국난극복 R&D 1편
[STEPI Brief💡] 핵융합 상용화를 향한 질주 한국의 전략은?
Просмотров 7367 месяцев назад
[STEPI Brief💡] 핵융합 상용화를 향한 질주 한국의 전략은?
[2024 STEPI GLOBAL SYMPOSIUM] - Panel Discussion
Просмотров 2617 месяцев назад
[2024 STEPI GLOBAL SYMPOSIUM] - Panel Discussion
[2024 STEPI GLOBAL SYMPOSIUM] - Keynote Presentation
Просмотров 2007 месяцев назад
[2024 STEPI GLOBAL SYMPOSIUM] - Keynote Presentation
[2024 STEPI GLOBAL SYMPOSIUM] - Opening
Просмотров 1497 месяцев назад
[2024 STEPI GLOBAL SYMPOSIUM] - Opening

Комментарии

  • @니니-e9n
    @니니-e9n 22 дня назад

    이미 한국은 늦음ㅋ

  • @kyeong-sugkim9449
    @kyeong-sugkim9449 22 дня назад

    결국 해저케이블은 데이터 공급망 그 자체네요 보고서는 2월에 나오는건가요?? 발표하실때 흥미로웠는데요

  • @Himineral
    @Himineral 24 дня назад

    BGM이랑 효과음이 목소리보다 커서 내용이 귀에 잘 안들어와요 😢 밥 먹으면서 알고리즘으로 떠서 봤는데 라디오처럼 듣기 좋게 마스터링이 됐으면 좋겠어서 댓글 남깁니다

  • @pizza_saver
    @pizza_saver 25 дней назад

    진짜 할 뻔 했.....

  • @dnlee6803
    @dnlee6803 29 дней назад

    지금도 꽉막힌 한국은 여전해 포방부로만 가려하네 드론이 대세라 해도 주야장천 탱크와 포로 도배한다.가성비 안되는 탱크와 포 가망이 없는 나라.중국에게 배워라 쯧쯧 한심 그자체

  • @황지민-c6x
    @황지민-c6x Месяц назад

    소리가 거의 안 들리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 @인성-g1t
    @인성-g1t Месяц назад

    외국 대비하여 이공계는 택도 없이 부족 함.광역시 마다 시도립 기초과학 및 공과계 연구실 설립해야 함

  • @whaleKingBlue
    @whaleKingBlue Месяц назад

    오호 근데 이 해저케이블을 발트해에서 중국선박이 끊어먹은거군요 허허허허

  • @최수정-y6m
    @최수정-y6m Месяц назад

    문제의 본질은 ....기술보다 제도가 더 문제인 사안일 겁니다. 한국에 해저케이블 보호에 관한 법이 있는지 보시길요...기술때문에 안보위협이 있는 사안이라기 보다 제도적 미비로 인한 보호체계가 없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봅니다.

    • @kyeong-sugkim9449
      @kyeong-sugkim9449 22 дня назад

      조원선 박사님 발표 들어보니 법제도 다 다루시더라구요 관련 법제가 얼마나 커버하고 무엇이 추가되어야하는지 ㅡ 보고서 기다리고있습니다 유일한 데이터 해저케이블 연구네요

  • @humanitiesalgorithm
    @humanitiesalgorithm Месяц назад

    깔끔한 브리핑 감사합니다☺

  • @jillneleson2466
    @jillneleson2466 2 месяца назад

    그때도 윤석열이 있었나봐요

    •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2 месяца назад

      세조라고...서울대, 충암고 해쳐먹듯, 끼리끼리 해먹으면서 조선재정을 박살내고 조선 군사력도 박살냅니다.(세조 이전까지 평안, 함경의 기병만 3만여 보병까지 더하면 10만에 달하고, 염초도 10만근 비축해놨었는데, 세조 등극 이후 평안, 함경 기병은 1만 남짓, 총병력은 4만여까지 줄어들고 비축한 염초는 모두 명나라에 팔아 공신들 뒷주머니로 찔러줍니다.)

    • @shinyoungyoon3262
      @shinyoungyoon3262 2 месяца назад

      리짜이밍이겠죠

    • @MAXIM_MOCA_GOLD
      @MAXIM_MOCA_GOLD 2 месяца назад

      @@shinyoungyoon3262 집권도 못했는데 너 따위가 어떻게 판단하겠니? 윤석렬은 집권했으니 답 나오잖아? ㅋㅋㅋㅋ

  • @Simulink-fx2mw
    @Simulink-fx2mw 3 месяца назад

    ^_^b

  • @이태영-q5x
    @이태영-q5x 3 месяца назад

    음… 요즘 전문가들 다 이거 아니라던데…;;;

  • @DHK-vc5xg
    @DHK-vc5xg 3 месяца назад

    랄도지님이 하면됨

  • @user-anythingandeverything
    @user-anythingandeverything 3 месяца назад

    좋은 영상에 감사를 표합니다!

  • @chingchaenghanji-9s
    @chingchaenghanji-9s 3 месяца назад

    진정한 애국대통령

  • @보라매21
    @보라매21 3 месяца назад

    몇수앞을 보고계십니까?

  • @ARHong-r2s
    @ARHong-r2s 3 месяца назад

    역사를 유익하게 배울수 있다니 널리 알려야겠네요!

  • @강주호-t8b
    @강주호-t8b 4 месяца назад

    디자인권의 보호기간은 출원후 15년에서 20년으로 2014년 7월1일부로 변경되었습니다.

    • @STEPITV
      @STEPITV 4 месяца назад

      설명란에 반영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 @mingyukim1980
    @mingyukim198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좋은 컨텐츠네요. 조선시대는 여러모로 아쉬움이 많이 남는 시기 입니다.

  • @Ginafromeverywhere
    @Ginafromeverywhere 5 месяцев назад

    과거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과거를 공부해서 다시는 이런일이 없도록 노력해야겠네요

  • @soo-hongmin1010
    @soo-hongmin1010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오- 우연히 봤는데, 내용과 구성이 정말 흥미롭습니다. 탁월한 분석과 명쾌한 설명에, 나름 설득됐어요. 👻 아주 잘 만들었네요! 👏👏👏👏

  • @bermuleemr
    @bermuleemr 5 месяцев назад

    유익한 영상이네요~ 잘봤습니다

  • @TheSecretRep
    @TheSecretRep 7 месяцев назад

    ❤❤❤

  • @김영훈-l3p
    @김영훈-l3p 9 месяцев назад

    Smart farm 이 답이겠네요~ 좋은 내용,감사합니다 ❤

  • @양익서-g8j
    @양익서-g8j 9 месяцев назад

    그래도 나라는 잘 풀릴듯.

  • @Therights-vz9vr
    @Therights-vz9vr 10 месяцев назад

    산학 하는것 없이 간접비 떼가고 일처리 느려터진데 없애주세요

  • @이숙이-z4e
    @이숙이-z4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미국못믿어

  • @이숙이-z4e
    @이숙이-z4e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한극전쟁대비해반도체미국많이해야해

  • @살라모하메드-j3h
    @살라모하메드-j3h 11 месяцев назад

    동시통역사 목소리 겁나 좋음;;

  • @false-prophet-abc
    @false-prophet-abc Год назад

    R&D 효율성이 32위라고 하던데요. 말씀하신 지표들은 “R&D 자체는 잘되고 있다”에 관련된 것들 같습니다. 반면, R&D 효율성은 상업화 관련이구요. R&D 자체는 잘되는데 왜 사회적 부가가치는 낮은가? 이게 R&D 패러독스의 핵심으로 알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특허를 예로 들자면, 연구비 대 특허수는 R&D 자체에 관련된 것이고, 특허의 상업화율은 R&D 효율성/상업화/패러독스에 관련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의 특허 상업화율은 미국의 1/2 수준입니다. 연구비 규모를 고려하면 실로 엄청난 차이죠.

  • @yangjookim
    @yangjookim Год назад

    김교수님, 김양줍니다. 오랜만이네요. 오늘아침 TV 봤습니다. 너무 반가웠어요. 산책하면서 유튜브방송도 봤네요. 이제 자주 들어야죠. 잘 지내고 좋은 얘기 많이 하세요.

  • @seankim3139
    @seankim3139 Год назад

    좋은 정보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시니 좋으네요. 앞으로도 좋은 정보 많이 알려주세요

  • @STEPITV
    @STEPITV Год назад

    전체영상 👉 ruclips.net/video/3xDyPhbECYo/видео.html

  • @STEPITV
    @STEPITV Год назад

    전체영상👉 ruclips.net/video/_qEVv5dVzf0/видео.html

  • @pectclare7784
    @pectclare7784 Год назад

    학위는 취업을 위해 따면 안되는 것 같습니다. 그냥 호기심에 공부하다보니 따라오는게 학위여야할 듯 하네요.

  • @STEPITV
    @STEPITV Год назад

    발제자료 보러가기 stepi.re.kr/site/stepiko/ex/bbs/View.do?bcIdx=39689&viewIndex=3&chkKoEn=&cbIdx=1210&searchYear=&searchMonth=&searchCateg=

  • @false-prophet-abc
    @false-prophet-abc Год назад

    ODA 가 무슨 약자인가요?

    • @STEPITV
      @STEPITV Год назад

      안녕하세요! ODA는 'Officai Development Assistanc'의 약자로 '공적개발원조'를 뜻합니다. 폭넓게는 '국제개발협력'으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false-prophet-abc
      @false-prophet-abc Год назад

      @@STEPITV 한국이 다른 나라를 돕는다는 뜻인가요?

  • @STEPITV
    @STEPITV Год назад

    전체영상 보러가기 ruclips.net/video/jQjT9aEMeuQ/видео.html

  • @charleschoi6186
    @charleschoi6186 Год назад

    기술규범의 개념이 어려운데 혹시 설명해주실분 있나요?

  • @bio4349
    @bio4349 Год назад

    하루종일 일만하고 운동한다고 하네 ! 하루에 노동시간은 6시간에서 8시간이면 적절합니다. 일 많이하면 빨리 죽는데 적당히 일 합시다

  • @내가낸데곡선긋기
    @내가낸데곡선긋기 Год назад

    연구안보는 국제화 및 연구개방과 관련된 위험으로 부터 연구자와 연구자산을 보호하고 연구생태계 가치를 수호하는 것 (과거의 냉전 후 자유연구에서, 신냉전??(미중패권전쟁)으로의 변화로 인한 연구안보 개념이 중요해졌다.) 개인의 연구진실성. 위반사례는 바이오메디컬 분야

  • @STEPITV
    @STEPITV Год назад

    👉 전체영상 보러가기 ruclips.net/video/MWxwKs4uusQ/видео.html

  • @붉도부
    @붉도부 Год назад

    북극항로 및 자연실태 파악....과기부 중심 북극권 위성해양탐사...기후변화 연구 등...과기부가 능동적인 기술주권 아젠다와 펀딩을 매칭해야...개인과 출연연 개별 기관에 만 맡기지 말고...국내국제 아젠다 발굴 등 능동적으로 나서 주기를...그것이 추격형과 선도형의 차이...

  • @붉도부
    @붉도부 Год назад

    개인이나 평가기관 중심 국제협력을, 기존 형태에 추가로 과기부외교부산자부 차원의 국제이슈 발굴과 국제공동협력 펀딩 확장에 적극적으로 해 주기를...과기부와 스태피를 응원합니다...

  • @junghyunyoon9905
    @junghyunyoon9905 Год назад

    바이오 분야의 최신트렌드와 중요성을 알기쉽게 설명해주셨네요~~!^^

  • @단호박-u8s
    @단호박-u8s Год назад

    퍼가요~

  • @triathloncoach
    @triathloncoach Год назад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