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a는 자연수로 -a는 6보다 작습니다. 즉 6보다 왼쪽에 위치하죠! 우리가 구하고자하는것은 집합 P와 Q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닌경우! 즉 교집합이 존재해야하는 경우를 찾는것이기 때문에, a가 6보다 수직선상 오른쪽에 존재하게되면 교집합이 존재하게 됩니다! 당연히 8을 넘어가도 교집합이 집합Q 자체가 되므로 교집합이 존재하는 조건을 만족하게됩니다. 포함관계가 바뀌는것과 교집합의 존재여부는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실수 x에 대해 p이면 q이다 인경우 집합 P가 집합 Q의 부분집합이 되어야 하고, 포함관계에 있지만! 문제는 어떤 실수라는 조건임에 포커스를 가지시면 됩니다👍🏻 어떤 실수라 하면 적어도 하나만 존재해도 그 명제는 참이죠?!🙈
집합의 연산 성질입니다😆 부분집합으로 포함되는 집합에서 포함하는 집합을 빼면 공집합이죠!👍🏻 여집합이 있어 당황하지 마시고 A C B 인 경우로 생각하시면 A-B는 공집합이 되겠죠?🥹 위와같은 성질을 이용한것입니다! 현재 명제보단 집합의 성질을 다시한번 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더하는것은 각각의 경우를 따로 보는것이고, 곱하는것은 각각의 경우를 연결해서 생각한다고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간단한 방법은 직접 나열해보면 아~ 12개로 곱해야되는거구나! 아실것같네요👏🏻👏🏻 -1,0,1 모두가 대응하는 경우 하나를 한가지경우로 생각해야합니다🙏🏻
예를 들어 집합 A={1,2} 에서 원소 1,2가 포함 유무 경우의 수가 각각 2가지라서 동시에 일어나니까 곱의 법칙 2×2. 즉 부분집합의 개수가 2^(원소 개수) 인건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반드시 원소로 갖고/안갖고 라 그러면 왜 지수에다가 2^{(원소 개수)-(k개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안갖는 개수)} 꼴로 빼는것인가요?
@@user-jimin92010 예를들어, 전체집합U={1,2,3,4}라 했을때, 그 부분집합 A가 원소 1,2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원소 1,2를 제외한 3,4만 가지고 부분집합의 개수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남은 원소가 2개 이므로 2의 제곱 즉 4개의 부분집합이 생기겠죠?👏🏻 이번엔 1,2를 반드시 포함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는 생각을 다르게 하셔야합니다. 우선 1,2를 반드시 포함한다 했지만 제외시키겠습니다! 제외를 하고 부분집합을 나열해보면 공집합 {3} {4} {3,4} 로 총 4개의 부분집합이 생성되겠죠? 여기에 각각 반드시 포함 한다고 했던 1,2를 넣어주기만 한다규 생각해서 {1,2} {1,2,3} {1,2,4} {1,2,3,4} 가 되는것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포함하든 포함하지않든 부분집합을 세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마지막으로 1은 반드시 포함 2는 포함하지 않는다면? 1,2를 제외한 공집합 {3} {4} {3,4} 여기에 반드시 포함하는 1만 각각 넣어주어 {1}, {1,3}, {1,4}, {1,3,4}가 되어 또다시 4개의 부분집합이 생성되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BapulMath 네 어떤 말씀인지는 알거 같은데 공식 응용화가 된 식을 모르겠어요. 2^n 에다가 2^(n-k) 꼴로 변형 시킨 이유요. 저 식을 (n>k) 조건에서 바꾼다하면 (2^n)/(2^k) 랑 똑같잖아요? 이것의 의미를 모르겠어요. n>k 인 이유도요.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의 개수에다가 2^k 꼴로 나눈다는게 뭘까요.
@user-hw8oe5tz2k 지수법칙을 이용해 나누어 지수를 빼는 개념보다는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의 부분집합이 2^n인 부분은 이해하신것 같으니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에서 반드시 k개의 원소를 포함 또는 k개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n-k개의 원소를 이용한 부분집합 갯수를 구하게 되겠죠~?👏🏻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당!😆 그리고 당연하게도 n은 원래 원소개수이고 k는 반드시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갯수이니 n>k가 되겠죠~!👍🏻
선생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저는 y축 위에서 수직으로 만난다길래 y=마이너스 이분의 +1에다 x좌표에 0넣어서 (0,1) 구하고 그걸 a와 b로 되어 있는 식에다 넣어서 관계식 하나 구하고 그 다음에 a=2 인걸 이용해서 위에 식에다 대입해서 b값을 구했는데 이렇게 풀어도 괜찮은걸까요?
많이들 착각하는 부분이 갑자기 왜 y가 등장하지?! 입니다. 이차식,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이차부등식 이것들을 하나로 생각하여 연계하지 못하면 유연스럽게 문제를 접근하기가 힘듭니다. 사실 다 다른 단원으로 진행되지만 이것들은 모두 하나라고 생각해주셔야 합니다. 지금 x에 대한 이차식의 값들을 2의 거듭제곱으로서 표현해야 로그값이 자연수가 됩니다. 이때의 2의 거듭제곱들을 y로서 표현하여 이차함수로 접근하였고, 그래프로서 이해하시도록 문제풀이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y값을 만족하는 부분들의 점의 개수가 x의 개수가 되는거구요🙏🏻
@@안뇽-y2o 음… 어떻게 설명을 드려야 이해하실까요🤔 최소 길이와 최대 길이는 각각 1개씩 존재하는건 이해하시는걸까요? 최소 길이를 기준으로 (1,1)을 지나는 선분을 시계방향으로 조금 기울이면 짧은 선분보다 긴 선분이 등장하겠죠? 그렇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같은 방법으로 기울이면 같은 길이의 선분이 존재하게됩니다🤭
왜 t를 x로 바꾸는지 설명해주세요
문자만 t를 x로 바꾸어 x에 관한 식으로 바꾸어 표현해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문제에서 원하는건 x에 관한 식이니까요!
왜 a=2인 가요?
강의를 다시한번 시청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20<x<30 이라면 이에 해당하는 x의 최고자리 숫자는 모두 2입니다👏🏻
문제고 금촌고 이해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파주 1등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1)에서 왜 2가 최소를 갖는지 알 수 있을까요
이차함수는 정의역이 모든실수인 경우, 이차항 계수가 양수일때, 꼭짓점에서 최솟값을 갖고👏🏻 이차항 계수가 음수일때, 꼭짓점에서 최댓값을 갖게 됩니다!👏🏻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 개념을 다시 살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2랑 3은 그냥 유추를 해야하는 건가요?
네 맞습니다!👏🏻
@@BapulMath 감사합니다!
0:40 에서 둘이 대각선으로 곱하면 왜 저런식으로 등식이 만들어지나요? ㅠㅜ
a/b = d/c에 양변에 bc를 곱하면, ac=bd가 되는 원리 입니다.👍🏻👍🏻
0: 26에서 □=2분의 3이다 꼴인데 □에다가 a엑스 제곱을 하면 2분의 3에다가도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이유가 궁금합니다..
네모에다가 a엑스제곱을 한게 아니라 분모, 분자에다가 a엑스제곱을 했기 때문에 답인 2분의 3에다가는 a엑스제곱을 해 줄 필요가 없어요
@@REDWOODys 대신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im g(2x+1)을 왜 g(3)이라고 표현하나요..?
함수 g(x)는 일차함수 즉, 다항함수입니다. 다항함수는 좌극한 우극한이 모두 함숫값과 동일한 값을 갖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이해가잘돼요 ㅠㅠㅠ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그럼 사각순환도형안에 점 두개가 있는경우는 어떻게 풀어야하나요…😢
그부분까진 다루지 않으려고 합니다🥲 도움을 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근데 2번문제에서 0은 자연수가 아니지 않나요? 2:31
네 0은 자연수가 아닙니다!👏🏻 문제에서 이야기한 부분은 세자리 자연수입니다~! 각자리가 자연수일 필요는 없습니다! 십의자리, 일의자리는 0이 올수 있죠!🙈
@ 헉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2:33 1/2x+3/2 라고 할 때 (1,2), (3,3)에 적용해도 똑같아야 한다면서 3/2가 나왔는데 이 부분이 무슨 말일까요.. 답변 부탁드려요ㅜ
직선 즉, y=ax+b 꼴의 식을 가지므로, (1,2)와 (3,3)을 대입했을때 y=1/2x+3/2가 나오게 됩니다!👏🏻
@@BapulMath간단한 문제였군요ㅜㅜ ㅋㅋㅋㅋㅋ 감사합니다
@@BapulMath그럼 혹시 6:19 부분에서 그래프를 그릴때 연결이 어떻게 될까요? 😢
구간별로 함수식에 따른 그래프를 그려보시면 됩니다~!👏🏻
2:00 때 역수를 왜 하는거죠??
로그 성질입니다! 밑의 지수는 로그 앞으로 나올때 분모로 가니까요!👏🏻 1 / (1/2) = 2🙈
1번을 판별식은 0보다 크다를 이용해서 해결하년 안되는 건가요? 해봤더니 답이 무한 개가 나오는데 이 방법이 잘못된 건가요?
범위가 제한된 문제에서는 판별식을 함부로 사용해선 안됩니다!👏🏻 반드시 그래프를 그려 확인하세요!🙏🏻
p가 1이 아닌 양수인 거랑 이차방정식의 해가 항상 양수인 거랑 무슨 상관인가요? 이차방정식의 그래프 중에서 x축보다 위에 있는 것만을 말하는 거 아닌가요? 잘 모르겠어요ㅠㅠ
이차방정식의 해가 항상 양수라는 조건은 없습니다!🥲 이차방정식>0이라는 것이 이차방정식의 해가 0보다 크다라고 착각하신듯합니다🙈
이 유형을 풀때 임의로 대입하는 값을 어떻게 정해서 푸나요?ㅠㅠ
@@user-dl7ow9gf5i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값으로 유도해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연습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근데 3:48에서 g(x)의 범위가 0이상 1미만인데 어떻게 y값이1일때를 가정으로 할수 있는 건가요?
범위를 구분하기위해 등호를 빼고 붙였지만 양쪽 범위 모두 등호를 붙여도 관계없습니다!👏🏻 즉, g(x)가 0이상 1이하로 이해해주셔도 무방합니다!👏🏻
3:55에 b=2 아닌가요??
@@iloveyou-1031 오류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b=2가 맞습니다!👏🏻
강의가 너무 유익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63번 문제 원의 중심과 직선사이의 거리 7아닌가요?
질문하신 부분이 63번이 맞으실까요?! 63번 문제는 직선이 아닌 점과 원사이의 거리문제입니다🙈
이차함수가 증가하기에 f(x)=x성립하는 거 맞나요?
네 정확하게 알고계시네요~!👍🏻
설명 진짜 기막히게 하시는듯
감사합니다🙈
a가 8을 넘어가도 괜찮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8을 넘어가면 포함관계가 바뀌는거 아닌가요?
우선 a는 자연수로 -a는 6보다 작습니다. 즉 6보다 왼쪽에 위치하죠! 우리가 구하고자하는것은 집합 P와 Q의 교집합이 공집합이 아닌경우! 즉 교집합이 존재해야하는 경우를 찾는것이기 때문에, a가 6보다 수직선상 오른쪽에 존재하게되면 교집합이 존재하게 됩니다! 당연히 8을 넘어가도 교집합이 집합Q 자체가 되므로 교집합이 존재하는 조건을 만족하게됩니다. 포함관계가 바뀌는것과 교집합의 존재여부는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실수 x에 대해 p이면 q이다 인경우 집합 P가 집합 Q의 부분집합이 되어야 하고, 포함관계에 있지만! 문제는 어떤 실수라는 조건임에 포커스를 가지시면 됩니다👍🏻 어떤 실수라 하면 적어도 하나만 존재해도 그 명제는 참이죠?!🙈
선생님 0:38 부분에서 월래부분에서 왜 저렇게 변화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외워서 푸는건가요…
집합의 연산 성질입니다😆 부분집합으로 포함되는 집합에서 포함하는 집합을 빼면 공집합이죠!👍🏻 여집합이 있어 당황하지 마시고 A C B 인 경우로 생각하시면 A-B는 공집합이 되겠죠?🥹 위와같은 성질을 이용한것입니다! 현재 명제보단 집합의 성질을 다시한번 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BapulMath 혹시 그러면 포함관계 일경우는 모양 관계 없이 집합의 연산의 성질로 바꾸어서 표현 할수있는건가요?
@@bring1913 그렇습니다~! 연산 성질이 성립해야하니까요🙆🏻♂️
감사합니다
@@dohyeon-p1g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1:31 항상 잘 보고 있습니더 왜 2 3 2를 더하는게 아니라 곱하는건가요?
더하는것은 각각의 경우를 따로 보는것이고, 곱하는것은 각각의 경우를 연결해서 생각한다고 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간단한 방법은 직접 나열해보면 아~ 12개로 곱해야되는거구나! 아실것같네요👏🏻👏🏻 -1,0,1 모두가 대응하는 경우 하나를 한가지경우로 생각해야합니다🙏🏻
1:15 a가 -3은 왜 안돼나요?
9로 묶어 루트 밖으로 나오면 3이지 -3은 아닙니다😅 착각하고 계시는듯 합니다✍🏻 다시한번 생각해보세요🥹
감사합니다
@@bbbbbbbbbb-n3v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예를 들어 집합 A={1,2} 에서 원소 1,2가 포함 유무 경우의 수가 각각 2가지라서 동시에 일어나니까 곱의 법칙 2×2. 즉 부분집합의 개수가 2^(원소 개수) 인건 어느정도 이해를 했는데, 반드시 원소로 갖고/안갖고 라 그러면 왜 지수에다가 2^{(원소 개수)-(k개를 반드시 원소로 갖는/안갖는 개수)} 꼴로 빼는것인가요?
@@user-jimin92010 예를들어, 전체집합U={1,2,3,4}라 했을때, 그 부분집합 A가 원소 1,2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원소 1,2를 제외한 3,4만 가지고 부분집합의 개수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남은 원소가 2개 이므로 2의 제곱 즉 4개의 부분집합이 생기겠죠?👏🏻 이번엔 1,2를 반드시 포함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는 생각을 다르게 하셔야합니다. 우선 1,2를 반드시 포함한다 했지만 제외시키겠습니다! 제외를 하고 부분집합을 나열해보면 공집합 {3} {4} {3,4} 로 총 4개의 부분집합이 생성되겠죠? 여기에 각각 반드시 포함 한다고 했던 1,2를 넣어주기만 한다규 생각해서 {1,2} {1,2,3} {1,2,4} {1,2,3,4} 가 되는것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포함하든 포함하지않든 부분집합을 세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마지막으로 1은 반드시 포함 2는 포함하지 않는다면? 1,2를 제외한 공집합 {3} {4} {3,4} 여기에 반드시 포함하는 1만 각각 넣어주어 {1}, {1,3}, {1,4}, {1,3,4}가 되어 또다시 4개의 부분집합이 생성되는것입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BapulMath 네 어떤 말씀인지는 알거 같은데 공식 응용화가 된 식을 모르겠어요. 2^n 에다가 2^(n-k) 꼴로 변형 시킨 이유요. 저 식을 (n>k) 조건에서 바꾼다하면 (2^n)/(2^k) 랑 똑같잖아요? 이것의 의미를 모르겠어요. n>k 인 이유도요. 어떤 집합의 부분집합의 개수에다가 2^k 꼴로 나눈다는게 뭘까요.
@user-hw8oe5tz2k 지수법칙을 이용해 나누어 지수를 빼는 개념보다는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의 부분집합이 2^n인 부분은 이해하신것 같으니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에서 반드시 k개의 원소를 포함 또는 k개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n-k개의 원소를 이용한 부분집합 갯수를 구하게 되겠죠~?👏🏻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당!😆 그리고 당연하게도 n은 원래 원소개수이고 k는 반드시 포함하거나 제외하는 갯수이니 n>k가 되겠죠~!👍🏻
@@BapulMath 아 잠시만요. 그러면 원소의 개수가 n개인 집합에서 반드시 k개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면 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뺀 나머지가 부분집합의 개수니까 2^(n-k) 가 맞는데 반드시 k개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것도 왜 동일한것이죠?
@@user-jimin92010 다행입니당👍🏻
감사합니다
@@서현-h6m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너무 도움되요❤❤❤
@@user-yc4gq9yk7h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좋아요!!
@@loveyou07116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네요👍🏻
아하
@@종건-u9r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최댓값이 4가 되도록 하는 양수가 2개밖에 없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저는 -1, 0, 1, 2를 각각 정의역으로 두고 이를 대입해서 문제를 시도했었는데, 왜 2개밖에 해당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정의역 즉, x는 범위에 해당하는 실수지 정수가 아닙니다~!🤭 정수로 제한하고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dohyeon-p1g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너무 이해가 안 되요😮
@@수학브롤스타즈의신김 문제가 많이 어렵죠😵💫 최대한 자세히 설명드리려고 했는데 부족했나봅니다🥲 도움을 드리지못해 죄송합니다😅
@@BapulMath 괜찮아요. 선생님의 노력이 중요한데요.
f3(0)=f(1)이 바로 어찌 되는지 설명해주세요
f³(0)=f(f²(0))=f(1) 입니다👏🏻
친절하게 다 이야기 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Fjfjm-v6z7p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목소리 좋아요
@@드럼킹-c5i 감사합니다🤭
(2)번에 5번에서 {2,3}을 {{2,3}} 이렇게 해서 A의 부분집합이라고 하면 맞는건가요?
그렇습니다👍🏻👍🏻
2:10 직각이등변삼각형 아닌가요?
네 맞습니다 앞에서 두변의 길이가 같음을 이야기 했기 때문에 직각삼각형으로 표기하였습니다😅 보다 정확한 표현은 “AB=CA인 직각이등변삼각형” 입니다.
선생님 궁금한게 있습니다! 저는 y축 위에서 수직으로 만난다길래 y=마이너스 이분의 +1에다 x좌표에 0넣어서 (0,1) 구하고 그걸 a와 b로 되어 있는 식에다 넣어서 관계식 하나 구하고 그 다음에 a=2 인걸 이용해서 위에 식에다 대입해서 b값을 구했는데 이렇게 풀어도 괜찮은걸까요?
평행이동을 하지 않고 대입을 하셨다는 말씀이실까요..? 질문이 잘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죄송합니다😅 평행이동한 직선이 y축과 수직으로 만나므로 평행이동을 먼저 한 그래프 식을 표현하고 이에 따른 y절편이 같다 그리고 수직이다를 이용합니다🙏🏻
왜 8보다 크고 16보다 작다는 식이 나온건가요? 문제 선지를 보고 왜 저런 풀이과정이 나왔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실수 x의 개수가 6개일때 모든 자연수 a의 값을 구하는건데 왜 y값의 범위를 구하는건가요?
많이들 착각하는 부분이 갑자기 왜 y가 등장하지?! 입니다. 이차식, 이차방정식, 이차함수, 이차부등식 이것들을 하나로 생각하여 연계하지 못하면 유연스럽게 문제를 접근하기가 힘듭니다. 사실 다 다른 단원으로 진행되지만 이것들은 모두 하나라고 생각해주셔야 합니다. 지금 x에 대한 이차식의 값들을 2의 거듭제곱으로서 표현해야 로그값이 자연수가 됩니다. 이때의 2의 거듭제곱들을 y로서 표현하여 이차함수로 접근하였고, 그래프로서 이해하시도록 문제풀이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y값을 만족하는 부분들의 점의 개수가 x의 개수가 되는거구요🙏🏻
그리고 53번애서 왜 직선이 두개씩 가능한지를 잘 모르겠어요
이부분은 그림으로 표현해 드렸습니다. 각각 노란색, 초록색, 보라색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색이 연해서 잘 안보이셨나봐요😅
@@BapulMath 아! 그 선을 보긴 봤는데 왜 2개씩 그려지는지 잘 모르겠어서요… 😢
@@안뇽-y2o 음… 어떻게 설명을 드려야 이해하실까요🤔 최소 길이와 최대 길이는 각각 1개씩 존재하는건 이해하시는걸까요? 최소 길이를 기준으로 (1,1)을 지나는 선분을 시계방향으로 조금 기울이면 짧은 선분보다 긴 선분이 등장하겠죠? 그렇다면 시계반대방향으로 같은 방법으로 기울이면 같은 길이의 선분이 존재하게됩니다🤭